||<-2>
{{{#373a3c,#dddddd '''{{{+1 에쿠우스}}}'''[br]Equus[* 흔히 통용되는 표기법인 [[에쿠스]]와 다르게 이 [[희곡]]을 한국에서 굳이 '에쿠우스'라고 표기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극중에서 주인공이 [[말(동물)|말]]에게로 도피하는 계기가 되는 여러 이유 중 하나가 '우' 발음이 연달아 나오는 독특함 때문이기에 이를 살린 것. 또한 1986년 개정 전까지만 해도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은 [[장음 표기#s-2|장단음 구분이 확실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쿠우스 출판본 페이퍼백 커버.jpg|width=100%]]}}} || || '''장르''' ||[[희곡]] || || '''작가''' ||피터 셰퍼 || || '''번역가''' ||○○ || || '''출판사''' ||○○ || || '''초연일''' ||[[1973년]] || || '''쪽수''' ||○○ || || '''ISBN'''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화 [[아마데우스(영화)|아마데우스]]의 [[아마데우스(희곡)|원작 희곡]]으로 유명한 [[극작가]] 피터 셰퍼의 [[1973년]] 희곡. [[영국]] 잉글랜드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서퍽]]에서 [[말(동물)|말]] 여섯 마리의 [[안구|눈]]을 찌른 17세 소년의 [[https://www.bbc.co.uk/threecounties/content/articles/2008/03/18/equus_review_feature.shtml|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한 [[희곡]]이다. == 줄거리 == 정신과 의사인 마틴 다이사트(Martin Dysart)는 [[영국]]의 뉴햄프셔에서 [[말(동물)|말]] 7마리의 눈을 찔러 멀게 한 17세 소년 [[앨런|알런]] 스트랑(Alan Strang)[* 원어로는 [[앨런]] 스트랭이라고 읽지만 작품이 한국에 처음 소개된 1970년대 당시의 [[외래어 표기법]]은 '알런'이었다.]의 치료를 맡게 되면서, 알런이 광신도인 어머니와, 강압적인 아버지에서 도피한 것이 말인 것을 알게 된다. 말은 알런에게 하나의 종교가 되었다. 알런의 의사를 경계하는 마음과 누군가에게 말하고 싶다는 욕망 사이에서 그의 이야기를 끝까지 듣게 된 다이사트는 '이 소년의 기억에서 말을 제거하여 사회가 원하는 모습으로 바꾸어 놓는 것이 과연 치료라고 볼 수 있을까?'라는 고민과 무력감을 토로하며 막을 내린다. [[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4|기사]] == 발매 현황 == [[1973년]]에 [[영국]]에서 공연되었을 때 초연 뒤에 소재가 파격적이고 [[야외 섹스|성관계]] 장면[* 그렇지만 [[말(동물)|말]]과의 수간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 [[https://www.varsity.co.uk/theatre/8032|기사]], [[https://www.londontheatredirect.com/news/the-naked-truth-behind-the-most-shocking-scene-in-equus|기사 2]]]과 [[나체|전라]] 노출이 있는 등 수위가 높아 세계적으로 [[https://tour.g-enews.com/view.php?ud=201410291046420121265_1|화제]]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현대 외국 희곡 중 한 작품으로, 한국에는 [[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4|1975년]]에 처음으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401836?sid=103|공연]]되었다. == 특징 == 해가 갈수록 마지막 [[마구간]]에서의 장면의 연출이 대담해져서, 작품의 주제가 아닌 배우들의 [[나체|전라]]가 [[노출]]된 연기만 화제가 된다. 아래 나오듯 [[다니엘 래드클리프]]가 알런 역을 맡아 화제가 된 것도 같은 이유. 한국에서는 전라로 나올때도 있고 속옷을 입고 나올 때도 있다. 덕분에 당시 19살[* 만 나이는 17세로 알런과 나이가 같다.]로 미성년자인 [[서영주]]가 전세계에서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1910151801001|최연소]]로 알런 역을 맡기도 했다.[* 물론 [[서영주]]는 속옷을 입고 연기했다.] 때문에 같은 연극인데도 상황에 따라 관람 등급이 달라진다. 알런 역은 젊은 배우에게 엄청난 연기력을 요구하는 만큼 스타 배우의 산실로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7/29/2006072970133.html|유명]]한데, 한국 공연에서 알런을 맡은 [[강태기]], [[김영민(배우)|김영민]], [[송승환]], [[최민식]], [[최재성(배우)|최재성]], [[조재현]] 등은 모두 인기 스타가 되었다. 초연 당시 알런은 [[피터 퍼스]]가 [[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4|맡았고]], 퍼스는 이후 [[브로드웨이]] 공연과 영화판에서도 알런 역을 맡았다. 그리고 브로드웨이에서 퍼스 [[https://www.nytimes.com/1975/07/17/archives/stage-perkins-in-equus-shaffer-drama-is-still-magnificent-theater.html|다음]]으로 알런 역을 맡은 배우는 다름아닌 훗날 셰퍼의 다른 작품 [[아마데우스(희곡)|아마데우스]]의 영화판에서 모차르트 역을 맡은 [[톰 헐스]]. 정도전 전문 배우였던 [[김흥기]]의 유작이기도 하다. 2004년 1월 30일에 [[https://www.mk.co.kr/news/sports/3227391|공연]]을 끝낸 후 쓰러져[* 알런을 돕는 정신과 의사 마틴 다이사트를 [[https://www.mk.co.kr/news/sports/3227391|연기]]했었는데, 이날 커튼콜을 끝낸 후 무대에서 내려와 연습실 앞에서 쓰러졌다. 당시 알런을 연기했던 [[조재현]]의 인터뷰에 따르면 "김흥기 씨는 고혈압에 시달려 혈압약을 복용하였지만, '연기에 집중을 할 수 없다.' 하여 약을 끊고 우황청심원을 줄곧 마셔 뇌출혈로 쓰러진 것 같다."라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본래 마틴 다이사트 배역에 김갑수에게 먼저 캐스팅 제의가 왔지만 무인시대의 최충헌 배역제의로 고사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작품에 하차한 뒤라 [[김흥기]]가 캐스팅되었다. 훗날 뇌출혈로 쓰러지고 나서 김갑수는 본의 아니게 자신 때문에 그리된 것 같아 상당히 미안하고 안타까운 마음이었다고 심정을 밝혔다.] 5년 간의 투병 끝에 2009년에 세상을 떠났다.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주인공 해리 포터 역으로 유명한 [[다니엘 래드클리프]]가 2007년 [[웨스트엔드]] 프로덕션의 에쿠우스에서 알런 역을 맡고 [[https://www.nocutnews.co.kr/news/436304|전라 연기]]를 해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93698.html|화제]]가 되었다. 이때 같은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버논 더즐리 역을 맡은 [[리처드 그리피스]]도 마틴 다이사트 역으로 나왔다. 해리 포터로 유명한 배우가 노출해 화제가 되어서 그런지 나체 사진이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911601012|유출]]되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영화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1부]]에 이 공연의 포스터가 나오기도 했다. [[https://www.reddit.com/r/MovieDetails/comments/77u9by/in_the_background_of_the_cafe_in_harry_potter_and/?sort=old|링크]],[* 제목에는 2부라고 나와있지만 틀렸으며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1부|1부]]가 옳다. 댓글에서도 지적되었고 [[https://www.reddit.com/r/MovieDetails/comments/77u9by/in_the_background_of_the_cafe_in_harry_potter_and/?sort=old|해당 글]]을 쓴 사람도 실수를 인정했다.] [[https://imgur.com/Pknu5Br|이미지]]. 이 인연 때문인지 해리 포터 FANDOM 위키에 [[https://harrypotter.fandom.com/wiki/Equus|문서]]가 있다. == 미디어 믹스 == === 영화 === [[1977년]], [[시드니 루멧]] 감독, [[리처드 버튼]], [[피터 퍼스]] 주연으로 영국·미국 합작 [[영화화]]되기도 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093848|기사]]. 평 자체는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 주연 버튼과 조연 [[피터 퍼스]]가 [[골든글로브]] 주, 조연상을 가져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쿠스, version=114, paragraph=3)] [[분류:희곡]][[분류:1973년 작품]][[분류:논픽션]][[분류:1977년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영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