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분류:게임 내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 [include(틀: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70F2A 15%, #035376 65%, #31588E)" [[파일:AOE4_Civ_Japanese.png|width=10%]][br]{{{#D8A872 {{{+1 '''일본인'''}}}}}}[br]{{{#D8A872 {{{-1 Japanese}}}}}}[br]{{{#D8A872 서기 794 - 1616년}}}}}} || ||<-2>일본 땅을 통치하는 다이묘는 농업을 발전시키고 사무라이를 고용하여 영토를 지킵니다. 독특한 대장간은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끊임없이 칼날을 갈고 닦습니다. 용맹한 사무라이 기병은 다양한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어 승리를 쟁취합니다. || || '''특화''' || 농업, 기수, 보병 || || '''난이도''' || ★★☆ || ||<|16> '''특징''' || '''다이묘''' || ||마을 회관은 다이묘 숙소, 다이묘 궁전, 막부 성이라는 특수 건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이 건물은 인근 마을 주민의 작업 농장 생산량에 25%, 50%, 75% 보너스를 제공하고, 사무라이 기수의 수용량을 +1, +2, +3 증가시키며, 방어력을 향상시킵니다. || || '''하타모토 사무라이''' || ||근처에 있는 보병과 기병에게 +15% 추가 피해를 주는 전장 정예 사무라이 기병입니다. 기수 사무라이가 사망하면 일정 시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합니다. || || '''고요한 정신''' || ||암흑 시대(I)에서 사무라이를 생산하세요. 사무라이는 주기적으로 근접 공격이나 원거리 공격을 막을 수 있는 굴절 방어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 '''농가 및 대장간''' || ||제련소는 금과 석재를 획득할 수 있는 곳으로, 채광 캠프와 대장간을 대체합니다. 또한, 암흑 시대(I)에서 추가 근접 공격 기술을 제공합니다. || || '''오다 요새''' || ||제국 시대(IV)의 더 강력한 성채를 이용하여 체력과 로켓 배치 비용이 높아집니다. 로켓 발사기는 빠르게 공격하여 단일 대상에게 큰 피해를 입힙니다. || || '''은 채굴''' || ||주민이 금을 모으면 20%의 추가 석재가 생산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 || '''종교적 선택''' || ||시대 III 랜드마크를 선택해 신도와 불교 중에서 선택합니다. 신도를 선택하면 신도 사제를 잠금 해제합니다. 불교를 선택하면 불교 승려를 잠금 해제합니다. 이 종교 유닛은 고유 보너스를 제공합니다. || || '''어업 마을''' || ||어선의 생산 비용이 30% 감소합니다. || ||<|7> '''특수[br]유닛''' ||사무라이 : 무장 병사를 대체하는 유닛으로,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굴절 갑옷을 지닌 근거리 중보병입니다. || ||기마 사무라이 : 기병을 대체합니다. 굴절 방어구를 가지고 있는 중기병입니다. || ||유미 아시가루 : 이동 속도가 향상되어 비용과 체력이 감소한 궁수입니다. || ||여전사 : 빠른 이동 속도와 긴 무기 사거리로 상대를 경계할 수 있는 근접 경보병입니다. || ||여무사 : 석궁병을 대체하는 유닛으로, 기마 궁사로 기동력이 향상되어 이동 속도가 낮은 대상을 반복 공격할 수 있습니다. || ||시노비 : 첩자로 활동하거나 건물을 파괴하거나 대상을 암살할 수 있는 첩보 유닛입니다. 코카 마을 랜드마크에서 생산됩니다. || ||오즈쓰 : 공성 피해와 범위 피해가 높은 거대한 휴대용 대포를 장착한 중화기 보병입니다. 다네가시마 총포 랜드마크에서 생산됩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기[* 일본 역사에서 꽤 기나긴 시기를 대표해야 하므로 특정 가문의 [[가몬(일본)|가몬]] 대신 하얀색 바탕에 일본 황실의 문장인 [[일본 국장|십육엽팔중표국문]]을 넣은 가상의 국기다. ]|[[파일:에오엠4 일본인.jpg|width=100%]]|| || [youtube(g22QzcMTAq0)] || [youtube(CPeqMVuy9VY)] || || 술탄의 승천 공식 트레일러 || 일본인 문명 테마 곡 || 2023년 11월 15일에 추가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의 [[일본인]] 문명에 대해 서술한 문서.[*작성기준 2023년 11월 15일 빌드 9.1.176] * 술탄의 승천 확장팩에서 등장하면서 [[에오엠4 중국|중국인]], 비잔틴과 함께 에오엠 시리즈에 한번도 빠짐없이 등장하게 된 3개의 문명중 동아시아권의 문명으로, 핵심 문명 특성은 일본 특유의 봉건 제도를 반영한 [[다이묘]] 시스템과 다채로운 고유 병종이다. [[에오엠4 말리|말리인]]과 비슷하게 대다수의 공용 유닛이 일본만의 고유 유닛으로 대체되며 그에 맞춰 특이한 종교 및 경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일본이라 하면 떠올리기 쉬운 [[사무라이]]나 [[닌자]] 등등이 고유 유닛으로 등장한다. * [[에오엠2 일본|2편의 일본]]에서 특이한 효과를 가진 보병 및 해상 관련 특성과 [[에오엠3 일본|3편의 일본]]에서 특이한 경제 구조와 주변 유닛을 향상시키는 오오라 효과를 계승한 보병 특화의 공격적인 설계를 보인다. 타 문명에 없는 각종 특수 능력을 지닌 다양하고 강력한 보병 유닛들이 매 시대마다 포진해있으며 전반적으로 [[러시#rush, RTS 용어|빠르게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견제#게임에서의 견제|견제]]를 넣기에 좋은 구성이다. 기존 문명권과 판이하게 다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3편의 일본처럼 가축이나 야생 동물을 [[육식금지령|사냥 못하는 페널티]]는 없으며 오히려 열매나 농업 같은 식량 수급이 더 좋은 점을 그대로 가져왔다. * 모티브가 된 시기는 [[간무 덴노]]가 [[헤이안쿄]]로 [[천도]]하며 열린 헤이안 시대([[794년]])부터 1603년에 정이대장군에 취임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시키고 천하패권을 확립한 시기인 에도 시대 개막([[1616년]])까지의 [[일본]]이다. ## 가마쿠라 막부,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남북조시대(일본), 무로마치 막부, 오닌의 난, 전국시대,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임진왜란 == 문명 특성 == * '''시작 자원''' : [[파일:AOE4_Food.png|width=22]]200[[파일:AOE4_Wood.png|width=22]]150[[파일:AOE4_Gold.png|width=22]]100 * 일반 문명권과 비교해 목재를 덜 받고 시작한다. * '''시작 유닛 및 건물''' : 랜드마크 마을 회관, 정찰병 1기, 주민 6기 * [[#다이묘 시스템|'''마을 회관 건물을 [[파일:AOE4_Stone.png|width=22]]자원을 소모하여 업그레이드 가능, 업그레이드된 회관 건물은 각종 추가 효과를 제공하고 하타모토 기수 유닛의 최대 생산치를 늘림''']][*원문1 마을 회관을 업그레이드하여 방어를 개선하고, 근처에 있는 농장의 수확 속도를 높이고, 사무라이 기수 부대의 생산 한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 '''각 군사 건물에서 동일 병종에게 공격력 향상 효과를 제공하는 [[#하타모토 유닛|하타모토 기수 유닛]] 생산 가능, 최대 생산치는 다이묘 시스템에 따라 결정됨'''[*원문2 사무라이 기수 부대가 근처에 있는 보병과 기병에게 보너스를 제공합니다. ] * '''모든 사무라이 유닛은 공격을 무효화하는 '굴절 방어구' 능력 보유'''[*원문3 사무라이는 원거리 또는 근접 공격을 막을 수 있는 굴절 갑옷이 있습니다. ] * 중보병 역할의 일반 사무라이 유닛만이 아니라 기마 사무라이 및 하타모토 유닛 전부 해당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집과 제분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농가|농가 고유 건물]] 건설 가능'''[*원문4 농가는 식량의 비축 장소이며 인구 수를 제공합니다. ] * '''채광 캠프와 대장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련소|제련소 고유 건물]] 건설 가능'''[*원문5 대장간은 금과 석재의 비축 장소이며 군사 업그레이드를 제공합니다. ] * '''주민 유닛이 [[파일:AOE4_Gold.png|width=22]]자원 수집 후 보관 시, [[파일:AOE4_Gold.png|width=22]]비축량의 20% 만큼 [[파일:AOE4_Stone.png|width=22]]자원을 추가로 얻음, [[파일:AOE4_Stone.png|width=22]]자원 수집 후 보관 시 동일한 방식으로 [[파일:AOE4_Gold.png|width=22]]자원을 추가로 얻음'''[*원문6 주민이 금을 모으면 보너스 석재가 생성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 * 금을 채광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석재를 '''공짜'''로 받으며 그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다. 석재를 많이 소모하는 일본인 입장에서 굉장히 유용한 특성으로, 비잔티움인의 올리브 오일과 다르게 두가지 자원을 동시에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자원 보관 시에 공짜로 추가 생성]]되는 것이란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대장간 건물의 근거리 공격력 관련 기술들을 [[#고유 기술|제련소 건물의 고유 기술들]]로 대체, 암흑 시대부터 연구 가능'''[*원문7 암흑 시대(I)에서 추가 근접 공격력 업그레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일반적인 근공업과 다르게 최대 4단계까지 강화가 가능하며 암흑 시대 기술이 추가되었다. * '''성주 시대 종교 랜드마크를 통해 두가지 종교 중 하나를 선택, 각종 혜택을 제공함'''[*원문8 성주 시대(III) 랜드마크를 선택하여 불교 승려나 신도 사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해당 특성 때문에 게임을 성주 시대부터 시작할 경우, 성주 시대 랜드마크를 건설할 수 없어 '''종교 건물을 못 짓고 종교 유닛을 전혀 생산할 수 없다'''는 특이점이 있다. 아직까지는 수정 안된 사항. * '''성채 건물을 제국 시대에 건설 가능하며 화전 무기를 발사하는 [[#성|성 고유 건물]]로 대체'''[*원문9 제국 시대(IV)에는 성채에 포대가 배치되며 체력이 증가합니다.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어선|어선 선박 유닛]] 생산 비용 -30%'''[*원문10 어선의 생산 비용이 감소합니다. ] * 게임 내 문명 특성과 소개 항목에서는 분명히 30% 할인이라고 써있지만 현재 실제로는 생산 가격이 [[파일:AOE4_Wood.png|width=22]]45 자원, 즉 '''40% 할인'''을 받는다. 의도된 사항인지 버그인지는 확실치 않다. === 다이묘 시스템 === ||
<-6> [[파일:AOE4_Town_Center.jpg]][br]'''{{{+1 마을 회관}}}[br](Town Center)'''[br]경제 및 인구 건물 || || '''미니맵[br]아이콘''' ||<-5> [[파일:AOE4_TC_Landmark_Minimap.png]] (랜드마크) [[파일:AOE4_TC_Minimap.png]] (일반) || || '''내구도''' ||<-5> (랜드마크)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4,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5,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7,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0,500[br](일반)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3,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5,5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8,500 || ||<-2> '''화염 방어력''' ||<-4> [[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0 → [[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0 → [[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2 → [[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3 || ||<-2> '''유닛 수용량''' ||<-4>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15기(랜드마크)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7기(일반) || || '''크기''' || 4 × 4 || '''시야 범위''' || 11.56 타일[* 랜드마크 마을 회관에 한해서만 은폐 지형을 뚫고 은폐 상태인 유닛을 감지하는 은폐 탐지 기능이 있다. ] || '''인구수 제공''' || [[파일:AOE4_Population_Cost.png|width=22]]10 || ||<-6> 추가 건설 가능한 일반 마을 회관 건물에만 해당 || || '''시대''' || 봉건 시대 || '''건설 비용''' || [[파일:AOE4_Wood.png|width=22]]400[[파일:AOE4_Stone.png|width=22]]350 || '''건설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0초 || ||<-6> 마을 회관 업그레이드 비용 || ||<-2> [[파일:AOE4_Daimyo1.png|width=48]][br]다이묘 저택[br](Daimyo Manor) ||<-2> [[파일:AOE4_Daimyo2.png|width=48]][br]다이묘 궁전[br](Daimyo Palace) ||<-2> [[파일:AOE4_Daimyo3.png|width=48]][br]막부 성[br](Shogunate Castle) || ||<-2> [[파일:AOE4_Stone.png|width=22]]3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0초 ||<-2> [[파일:AOE4_Stone.png|width=22]]6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0초 ||<-2> [[파일:AOE4_Stone.png|width=22]]12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0초 || ||<-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각종 공격 수치 보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격 종류''' || 화살 공격 || 유닛 수용시 || 화전[br](막부 성)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랜드마크)[br][[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다이묘 저택)[br][[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다이묘 궁전)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6 ×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수용된 유닛 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0 || || '''추가 공격력''' ||<-2> 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10 || 보병 및 기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 110[br]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330 || || '''공격 사거리''' ||<-2> 8 타일 || 9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88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3.88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12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75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3.75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00초 ||}}}}}}}}} || ||<-6> {{{#!folding [테크 트리 보기] ||
<|2> 암흑[br]시대 || [[파일:AOE4_Villager_Europe.jpg|width=48]] || [[파일:AOE4_Scout.jpg|width=48]] || || 주민 || 정찰병 || ||<|2> 봉건[br]시대 || [[파일:AOE4_Textiles.jpg|width=48]] || || || 직물 || || }}} || * '''보유 효과''' * [[파일:AOE4_Ability_Town_Bell.png|width=30]] '''마을 종을 울리세요(Ring the Town Bell)'''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과 동일 * [[파일:AOE4_Ability_Return_All_Work.png|width=30]] '''모두 작업으로 복귀(Return All to Work)'''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과 동일 * [[파일:AOE4_Ability_Daimyo_Farm.png|width=30]] '''다이묘 농장 오라(Daimyo Farm Aura)''' : "인근 농장의 수확 속도를 +25/50/75% 올리는 오라입니다." * 다이묘 단계에 따라 해당 건물 10 타일 범위 내 모든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건물의 [[파일:AOE4_Food.png|width=22]]수집 속도 증가. ## 중첩 적용 되는지, 더 높은 단계 효과로 덮어 씌워지는지 확인 필요 * 다이묘 저택 : 25% → 다이묘 궁전 : 50% → 막부 성 : 75% * [[파일:AOE4_Samurai_Mask.png|width=30]] '''하타모토 생산 제한치''' * 다이묘 단계에 따라 각 마을 회관 건물이 모든 [[#하타모토 유닛|하타모토 기수 유닛]]의 생산 제한치를 일정 수치만큼 늘림. * 다이묘 저택 :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1 → 다이묘 궁전 :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3 → 막부 성 :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6 헤이안 시대부터 서서히 시작된 [[봉건제#일본|실제 일본의 봉건 제도]]를 반영한 일본인 문명의 특유 시스템. 타 문명과 달리 일본인 문명은 모든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 건물에서 석재 자원을 소모하여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수집 효율을 올리는 효과와 함께 해당 회관 건물의 내구도를 크게 올리고 동시에 공격력 버프 오라 효과를 제공하는 [[#하타모토 유닛|하타모토 기수 유닛]]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업그레이드된 회관 건물은 실제로 외형이 바뀌며, 명칭과 건물 아이콘도 해당 다이묘 단계에 맞춰 변경된다. 해당 시스템 때문에 일본인 문명은 시대 발전을 이루어도 마을 회관의 외형이 바뀌지 않으며, 석재 소모에 따라 시대 발전과 전혀 관계없이 제국 시대에서도 허름한 외형의 암흑 시대 회관으로 남거나 시대를 초월해서 먼저 호화로운 [[천수각]]을 세울 수도 있다. ~~[[지역 갈등/아시아/일본|적절한 실제 역사 반영]]~~ 회관 1채를 건설할만한 석재 자원으로 '다이묘 저택' 첫번째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건물 내구도가 늘어나고 유닛 수용이 필요 없는 기본 화살 공격 1발이 추가되며, 해당 회관의 넓은 범위 내에 '''모든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건물의 작업 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일본인의 식량 경제 [[#고유 기술|고유 기술들]]은 '''열매 나무 외에 식량 수집 속도를 전혀 올려주지 않으므로''', 반드시 농장 체제로 식량 수급원을 전환할 시점이 오기 전에 최소한 회관 1채는 업글하는 것이 좋다.[* 단, 어업으로 식량을 초반부터 빠르게 수급 가능한 물맵에서는 필요성이 상당히 줄어든다. ] [[#하타모토 유닛|기수 유닛]] 최대 생산치가 1기 늘어나는 효과도 주기 때문에, 기수 유닛을 이른 타이밍에 사용하기 위해서도 빠르게 회관을 업글할 이유가 분명히 있다. 문명 특성으로 금 및 석재 자원을 더 받지만, 이 회관 업글을 위해서 석재를 상당히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석재 자원 관리'''와 추가 마을 회관 또는 이미 있는 회관 업글 중 하나를 타이밍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일본인 문명의 '''중요한 운영 요소'''가 된다. 특이점으로, 시즌 6 패치에서 모든 랜드마크가 아닌 일반 회관 건물은 유닛 수용 시 나가는 화살 방어 공격의 사거리가 8 타일에서 6 타일로 크게 줄어들었지만 일본인 회관은 여전히 모든 회관이 8 타일 사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여담으로, 각 단계별 건물의 이름이 상당히 어색하게 번역되어있다. 헤이안 시대에 [[장원(농업)#일본|장원]]이 생기며 슈고 다이묘가 등장하였으니 '다이묘 저택'이나 '다이묘 숙소'보다는 '다이묘 장원'이란 명칭이 더 어울리며, [[궁전]]은 한국어에서 임금이나 최고 권력자인 군주의 거처를 주로 뜻하므로 고작 다이묘 '''따위'''에 쓰이기엔 부적절한 명칭이다. 관저 또는 번저(藩邸)나 에도 시대 [[#참근교대|참근교대 제도]]를 참고하여 옥부(屋敷) 같은 단어가 충분히 있는데 상당히 아쉬운 부분. '막부 성'은 오역이 아니지만 굳이 역사적인 어감을 살린다면 '쇼군 거성'으로도 번역이 가능하다. 실제로 일본어 및 중국어판에서는 다이묘노쇼엔(大名の荘園)과 다이묘야시키(大名屋敷), 다이묘 부저(大名府邸)와 다이묘 관저(大名官邸)로 훨씬 더 자연스럽게 번역되었다. == 설명 == 서술 예정. == 테크트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 ||
||<-2> '''마을 회관''' ||<-2> '''농가''' || '''제재목[br]캠프''' ||<-6> '''제련소''' ||<-2> '''감시 초소''' || '''시장''' ||<-3> '''종교 건물 및[br]성주 시대 랜드마크''' ||<-3> '''성''' ||<-6> '''대학''' || || '''암흑''' || [[파일:AOE4_Villager_Chinese.jpg|width=48]] || [[파일:AOE4_Scout.jpg|width=48]] || [[파일:AOE4_Survival_Techniques.jpg|width=48]] || [[파일:AOE4_Towara.jpg|width=48]] || [[파일:AOE4_Forestry.jpg|width=48]] || [[파일:AOE4_Tatara.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둘 중 택일) || || || || || || || || || || || || '''봉건''' || [[파일:AOE4_Textiles.jpg|width=48]] || [[파일:AOE4_Daimyo1.png|width=48]] || [[파일:AOE4_Professional_Scouts.jpg|width=48]] || [[파일:AOE4_Takezaiku.jpg|width=48]] || [[파일:AOE4_Double_Broadax.jpg|width=48]] || [[파일:AOE4_Hizukuri.jpg|width=48]] || [[파일:AOE4_Specialized_Pick.jpg|width=48]] || [[파일:AOE4_Steeled_Arrow.jpg|width=48]] || [[파일:AOE4_Fitted_Leatherwork.jpg|width=48]] || [[파일:AOE4_Iron_Undermesh.jpg|width=48]] || [[파일:AOE4_Siege_Engineering.jpg|width=48]] || [[파일:AOE4_Arrowslits.jpg|width=48]] || [[파일:AOE4_Fortify_Outpost.jpg|width=48]] || [[파일:AOE4_Trader.jpg|width=48]] || [[파일:AOE4_Buddhist_Temple.jpg|width=48]] || [[파일:AOE4_Shinto_Shrine.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성주''' || || [[파일:AOE4_Daimyo2.png|width=48]] || || [[파일:AOE4_Fudasashi.jpg|width=48]] || [[파일:AOE4_Lumber_Preservation.jpg|width=48]] || [[파일:AOE4_Kobuse-gitae.jpg|width=48]] || [[파일:AOE4_Acid_Distillation.jpg|width=48]] || [[파일:AOE4_Balanced_Projectiles.jpg|width=48]] || [[파일:AOE4_Insulated_Helm.jpg|width=48]] || [[파일:AOE4_Wedge_Rivets.jpg|width=48]] || [[파일:AOE4_Military_Academy.jpg|width=48]] || [[파일:AOE4_Springald_Upgrade.jpg|width=48]] || || || [[파일:AOE4_Buddhist_Monk.jpg|width=48]] || [[파일:AOE4_Shinto_Priest.jpg|width=48]] || [[파일:AOE4_Herbal_Medicine.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국''' || || [[파일:AOE4_Daimyo2.png|width=48]] || || || [[파일:AOE4_Crosscut_Saw.jpg|width=48]] || [[파일:AOE4_Yaki-ire.jpg|width=48]] || [[파일:AOE4_Cupellation.jpg|width=48]] || [[파일:AOE4_Platecutter_Point.jpg|width=48]] || [[파일:AOE4_Master_Smiths.jpg|width=48]] || [[파일:AOE4_Angled_Surfaces.jpg|width=48]] || || [[파일:AOE4_Cannon_Upgrade.jpg|width=48]] || || || [[파일:AOE4_Piety.jpg|width=48]] || [[파일:AOE4_Tithe_Barns.jpg|width=48]] || || [[파일:AOE4_Springald_Upgrade.jpg|width=48]] || [[파일:AOE4_Cannon_Upgrade.jpg|width=48]] || [[파일:AOE4_Boiling_Oil.jpg|width=48]] || [[파일:AOE4_Chemistry.jpg|width=48]] || [[파일:AOE4_Siege_Works.jpg|width=48]] || [[파일:AOE4_Biology.jpg|width=48]] || [[파일:AOE4_Incendiary_Arrows.jpg|width=48]] || [[파일:AOE4_Court_Architects.jpg|width=48]] || [[파일:AOE4_Oda_Tactics.jpg|width=48]] || ||<-27>{{{#!html  }}} 경제 유닛 {{{#!html  }}} 비경제 유닛 {{{#!html  }}} 기술 || ||
||<-4> '''보병 양성소''' || '''코카[br]마을''' ||<-3> '''궁사 양성소''' ||<-4> '''기병 양성소''' ||<-6> '''부두''' ||<-5> '''공성 무기 제조소''' ||<-4> '''다네가시마[br]총포 대장장이''' || || '''암흑''' || [[파일:AOE4_Spearman1.jpg|width=48]] || [[파일:AOE4_Samurai1.jpg|width=48]] || || || || || || || || || || || [[파일:AOE4_Fishing_Boat.jpg|width=48]] || [[파일:AOE4_Transport_Ship.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봉건''' || [[파일:AOE4_Spearman2.jpg|width=48]] || [[파일:AOE4_Samurai2.jpg|width=48]] || [[파일:AOE4_Onna-Bugeisha2.jpg|width=48]] || [[파일:AOE4_Katana_Bannerman.jpg|width=48]] || [[파일:AOE4_Shinobi.jpg|width=48]] || [[파일:AOE4_Yumi_Ashigaru2.jpg|width=48]] || [[파일:AOE4_Yumi_Bannerman.jpg|width=48]] || || [[파일:AOE4_Scout.jpg|width=48]] || [[파일:AOE4_Horseman2.jpg|width=48]] || [[파일:AOE4_Uma_Bannerman.jpg|width=48]] || || [[파일:AOE4_Trade_Ship.jpg|width=48]] || [[파일:AOE4_Archer_Ship.jpg|width=48]] || [[파일:AOE4_Attack_Ship.jpg|width=48]] || [[파일:AOE4_Incendiary_Ship.jpg|width=48]] || [[파일:AOE4_Extended_Lines.jpg|width=48]] || [[파일:AOE4_Arrowslits.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성주''' || [[파일:AOE4_Spearman3.jpg|width=48]] || [[파일:AOE4_Samurai3.jpg|width=48]] || [[파일:AOE4_Onna-Bugeisha3.jpg|width=48]] || [[파일:AOE4_Odachi.jpg|width=48]] || || [[파일:AOE4_Yumi_Ashigaru3.jpg|width=48]] || [[파일:AOE4_Kabura-ya_Whistling_Arrow.jpg|width=48]] || [[파일:AOE4_Onna-Musha3.jpg|width=48]] || || [[파일:AOE4_Horseman3.jpg|width=48]] || || [[파일:AOE4_Mounted_Samurai3.jpg|width=48]] || [[파일:AOE4_Copper_Plating.jpg|width=48]] || [[파일:AOE4_Extra_Hammocks_new.jpg|width=48]] || [[파일:AOE4_Springald_Upgrade.jpg|width=48]] || [[파일:AOE4_Incendiaries.jpg|width=48]] || [[파일:AOE4_Drift_Nets.jpg|width=48]] || [[파일:AOE4_Armored_Hull.jpg|width=48]] || [[파일:AOE4_Springald.jpg|width=48]] || [[파일:AOE4_Mangonel.jpg|width=48]] || [[파일:AOE4_Trebuchet.jpg|width=48]] || [[파일:AOE4_Battering_Ram.jpg|width=48]] || [[파일:AOE4_Greased_Axles.jpg|width=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국''' || [[파일:AOE4_Spearman4.jpg|width=48]] || [[파일:AOE4_Samurai4.jpg|width=48]] || [[파일:AOE4_Onna-Bugeisha4.jpg|width=48]] || [[파일:AOE4_Nagae_Yari.jpg|width=48]] || || [[파일:AOE4_Yumi_Ashigaru4.jpg|width=48]] || [[파일:AOE4_Handcannoneer.jpg|width=48]] || [[파일:AOE4_Onna-Musha4.jpg|width=48]] || [[파일:AOE4_Navigator_Lookout.jpg|width=48]] || [[파일:AOE4_Horseman4.jpg|width=48]] || [[파일:AOE4_Do-maru_Armor.jpg|width=48]] || [[파일:AOE4_Mounted_Samurai4.jpg|width=48]] || [[파일:AOE4_Warship_Unique.jpg|width=48]] || [[파일:AOE4_Heated_Shot.jpg|width=48]] || [[파일:AOE4_Swivel_Cannon.jpg|width=48]] || [[파일:AOE4_Explosives.jpg|width=48]] || || [[파일:AOE4_Shipwrights_New.jpg|width=48]] || [[파일:AOE4_Bombard.jpg|width=48]] || [[파일:AOE4_Roller_Shutter_Triggers.jpg|width=48]] || [[파일:AOE4_Adjustable_Crossbars.jpg|width=48]] || [[파일:AOE4_Geometry.jpg|width=48]] || [[파일:AOE4_Lightweight_Beams.jpg|width=48]] || [[파일:AOE4_Handcannoneer.jpg|width=48]] || [[파일:AOE4_Ozutsu.jpg|width=48]] || [[파일:AOE4_Ribauldequin.jpg|width=48]] || [[파일:AOE4_Bombard.jpg|width=48]] || ||<-28>{{{#!html  }}} 경제 유닛 {{{#!html  }}} 군사 유닛 {{{#!html  }}} 기술 || === 유닛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 * '''마을 회관'''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주민|주민]] : 자원을 수집하고 건물을 건설 및 수리하는 기본 경제 유닛. 선박이나 공성 무기도 수리할 수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정찰병|정찰병]] : 초기에 1기 제공되는 정찰 유닛. 양을 몰고 다닐 수 있다. * '''시장'''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상인|상인]] : 맵에 존재하는 중립 교역소나 타 플레이어의 시장을 오가며 금을 벌어오는 유닛. * '''보병 양성소'''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창병|창병(암흑) - 단련된 창병(봉건) - 베테랑 창병(성주) - 정예 창병(제국)]] : 기병에 강력한 기본 근접 경보병.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사무라이(암흑) - 단련된 사무라이(봉건) - 베테랑 사무라이(성주) - 정예 사무라이(제국) : [[#사무라이|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여전사(봉건) - 베테랑 여전사(성주) - 정예 여전사(제국) : [[#여전사|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일본도 기수 : [[#일본도 기수|해당 항목 참조]]. * '''[[#코카 마을|'코카 마을' 랜드마크]]'''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시노비 : [[#시노비|해당 항목 참조]]. * '''궁사 양성소'''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유미 아시가루(봉건) - 베테랑 유미 아시가루(성주) - 정예 유미 아시가루(제국) : [[#유미 아시가루|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유미 기수 : [[#유미 기수|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여무사(성주) - 정예 여무사(제국) : [[#여무사|해당 항목 참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총통병|총통병(제국)]] : 제국 시대 화약 원거리 경보병. 가격이 중기병급으로 비싸지만 압도적인 화력으로 최강 원거리 유닛 자리를 차지한다. * '''기병 양성소'''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정찰병|정찰병]]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기마병|기마병(봉건) - 베테랑 기마병(성주) - 정예 기마병(제국)]] : 원거리 유닛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기본 경기병. * [[파일:AOE4_Unique.png|width=22]]기마 사무라이(성주) - 정예 기마 사무라이(제국) : [[#기마 사무라이|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우마 기수 : [[#우마 기수|해당 항목 참조]]. * '''공성 무기 제조소'''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공성추|공성추]]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스프링갈드|스프링갈드]] : 긴 사거리로 적 공성 무기나 주요 유닛을 요격하는 노포 공성 무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망고넬 투석기|망고넬 투석기]] : 광역 방사피해 공격으로 뭉쳐 있는 보병을 잡는데 특화된 공성 무기. 보조 공성 역할을 수행하며 건물 및 원거리 유닛 상대로 추가 피해를 준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평형추 트레뷰셋 투석기|평형추 트레뷰셋 투석기]] : 가징 긴 사거리로 적 건물을 공격하는 공성 무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사석포|사석포(제국)]] : 제국 시대 최강 화약 공성 무기. * '''부두'''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어선|어선]] : 생선 식량 자원을 수집할 수 있고 선박 유닛을 수리하는 해상 경제 유닛. 일본인은 문명 특성으로 생산 가격이 [[파일:AOE4_Wood.png|width=22]]45.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송선|수송선]] : 유닛 수용량 16기의 수송선. 지상 유닛을 수송한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교역선|교역선(봉건)]] : 해안 중립 교역소 또는 타 플레이어의 부두와 교역을 하는 상인 유닛. 바다를 통해 교역하는 점을 제외하면 시장의 상인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궁병선|평저선(봉건)]] : 동아시아 문명권의 궁병선. 속도가 빠르고 시야가 넓은 해상 무금 유닛. 소이선을 잘 잡는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스프링갈드 선박|전투 평저선(봉건)]] : 동아시아 문명권의 공격선. 표준적이면서도 튼튼한 주력 전함. 궁병선을 잘 잡는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소이선|폭발 평저선(봉건)]] : 동아시아 문명권의 소이선. 싼 가격에 빨리 나오는 자폭 무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적 함선에 돌진한다. 공격선과 전투선을 잘 잡는다.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아타케부네(제국) : [[#아타케부네|해당 항목 참조]]. * '''불교 사원 또는 신도 신사''' * [[파일:AOE4_Unique.png|width=22]]불교 승려 : [[#불교 승려|해당 항목 참조]].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신도 사제 : [[#신도 사제|해당 항목 참조]]. * '''야전 제작('공성 기술' 연구 필요)'''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공성추|공성추]] : 가장 빨리 나오는 공성 무기. 유닛 수용량 16기. 나무/돌 성벽 상대로 추가 피해를 주며 공성 무기 중에서 가장 높은 원거리 방어력과 빵빵한 체력을 자랑한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공성탑|공성탑]] : 유닛 수용량 8기. 탑승한 보병 유닛들을 적/아군 돌 성벽 위에 하차시킬 수 있다. *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 랜드마크]]'''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총통병|총통병]]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오즈쓰 : [[#오즈쓰|해당 항목 참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리볼데퀸|리볼데퀸]] : 근접 산탄 포병으로 사거리가 짧고 공격 속도가 느려서 일반적인 공성 역할이 아니라 오히려 돌진해오는 적의 근접 병력을 방사피해 산탄을 연속 발사하여 한방에 녹이는 근접 망고넬 역할이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사석포|사석포]] === 건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 * '''암흑 시대'''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랜드마크)]] : 주민과 정찰병을 생산하고 모든 종류의 자원을 보관 가능. 시작과 함께 주어지는 랜드마크 마을 회관은 내구도가 7,000에 달하며 기본 화살 공격이 존재하고 유닛 수용량이 15이기 때문에 매우 강력하다. 인구수 10 제공. 일본인 문명의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이 적용된다. * [[파일:AOE4_Unique.png|width=22]]농가 : [[#농가|해당 항목 참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제재목 캠프|제재목 캠프]] : 목재 보관 건물.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제련소 : [[#제련소|해당 항목 참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 식량 생산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보병 양성소|보병 양성소]] : 근거리 보병 생산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부두|부두]] : 선박 생산 건물. 범위 내 해상 유닛을 자동으로 수리하고, 교역선의 교역소 역할을 한다. 선박 유닛 상대로만 공격하는 해군 활 발사구를 배치할 수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감시 초소|감시 초소]] : 기본적인 방어 건물로 넓은 시야 범위와 은폐 탐지 기능을 제공한다. 최대 유닛 5기를 배치하여 화살을 발사할 수 있다. 자원을 소모해 추가 무기를 하나 배치 가능하며 내구도 강화도 가능하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나무 성벽/성문|나무 성벽]] : 1 타일 당 목재 7씩 소비하는 방벽 건물. 첫 건설에 최소 3 구간을 건설해야 한다. 성벽이 파괴될 때 양 끝에 연결된 성벽 한 구간이 같이 파괴된다. 아군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나무 성벽/성문|나무 성문]] : 최소 3 타일의 건설 중인 나무 성벽이나 완성된 나무 성벽 위에 겹쳐 지을 수 있는 성문 건물. 문을 통해 아군 유닛이 지나다닐 수 있으며 아군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 '''봉건 시대'''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대장간|대장간]] : 모든 지상 유닛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업그레이드 하는 기본 기술 연구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시장|시장]] : 자원을 사고 팔거나 상인 유닛을 생산해 중립 교역소나 타 플레이어의 시장과 거래해서 금을 얻을 수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 : 봉건 시대부터 추가로 건설할 수 있는 마을 회관은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랜드마크 마을 회관과 달리 내구도가 2,500으로 훨씬 낮고 기본 공격이 없으며 유닛을 7기만 수용할 수 있다. 인구수 제공은 10으로 동일. 일본인 문명의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이 적용된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궁사 양성소|궁사 양성소]] : 원거리 유닛 생산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기병 양성소|기병 양성소]] : 근거리 기병 생산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돌 성벽/성문|돌 성벽]] : 1 타일 당 석재 20씩 소비하는 방벽 건물. 나무 성벽과 다르게 횃불 공격에 면역이며 똑같이 성벽이 파괴될 때 양 끝에 연결된 성벽 한 구간이 같이 파괴된다. 이동 방해물이자 지형지물로 기능하여 무너진 성벽, 돌 성벽 탑, 성문 등을 통해서 보병이 성벽 위로 올라올 수 있다. 성벽 위에 있는 보병은 원거리 및 공성 공격에 대해 66% 감소한 피해량을 받는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돌 성벽/성문|돌 성벽 성문]] : 완성된 돌 성벽 한 구간 위에 추가로 건설할 수 있는 성문 건물. 이 문을 통해서 아군 유닛들이 성벽을 지나다닐 수 있다. 보병은 돌 성벽 성문을 통해 성벽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돌 성벽 성문이 파괴되면 양 끝에 연결된 한 구간의 성벽이 같이 파괴된다. 돌 성벽 탑을 돌 성벽 성문 바로 옆에 지어놓은 경우 함께 파괴되어 버리니 주의하자. 아군 유닛이 관통하여 사격할 수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돌 성벽 탑|돌 성벽 탑]] : 돌 성벽 한 구간에 추가로 건설되는 탑. 연결된 성벽이 파괴되면 같이 파괴된다. 돌 성벽 탑에는 문이 있어 성벽으로 보병이 올라올 수 있다. 성문과 달리 건설 중에도 문을 이용할 수 있다. 성벽 탑 안쪽이나 성벽 위에 있는 적도 이 문을 이용할 수 있다. 돌 성벽 탑에는 스프링갈드가 기본으로 배치되어 있어 근처의 적군을 공격한다. * '''성주 시대'''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수도원|불교 사원 및 신도 신사]] : 불교 또는 신토 종교 유닛 생산 건물. 종교 유닛으로 유물을 배치하면 지속적으로 금 자원 수입을 얻을 수 있다. 일본인 문명은 반드시 성주 시대 랜드마크를 건설하여 두가지 종교 중 하나를 선택해야 종교 건물을 건설 가능하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공성 무기 제조소|공성 무기 제조소]] : 공성 무기 생산 건물. * '''제국 시대''' * [[파일:AOE4_Unique.png|width=22]]성 : [[#성|해당 항목 참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대학|대학]] : 각종 고급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최종 기술 연구 건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불가사의|도쿠가와 사원]] : 불가사의. 건설 시 불가사의 승리 조건을 만족한다. 불가사의 모티브는 [[도치기현]] [[닛코 동조궁]]의 오중탑. == 랜드마크 == === 봉건 시대 랜드마크 === ||
[[파일:AOE4_Kura_Storehouse.jpg]][br]{{{+1 '''쿠라 창고'''}}}[* 쿠라([ruby(倉,ruby=くら)])는 '곳집 창'자에서 알 수 있듯 단순히 [[창고]]나 [[곡창]]을 뜻한다. 즉, '창고 창고'라는 뜻이 되는 셈. 영어 원문부터 '쿠라'를 고유명사 취급하여 명칭하였으므로 오역은 아니다. ~~일본어판은 진짜로 "倉" 이렇게 써있다~~ ][br](Kura Storehouse)[br]경제 랜드마크 || [[파일:AOE4_Koka_Township.jpg]][br]{{{+1 '''코카 마을'''}}}[br](Koka Township)[br]군사 랜드마크 || ||<-2> [[파일:AOE4_Food.png|width=22]]400[[파일:AOE4_Gold.png|width=22]]2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분 35초 || ||랜드마크 주변에 45초마다 농장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비축 위치입니다. 농지가 꽉 차면 농장이 목재를 생산합니다. ||정찰, 사보타주, 암살을 전문으로 하는 시노비 첩보 부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완료 시 시노비를 생성합니다. || ==== 쿠라 창고 ==== * '''해당 건물에 모든 종류의 자원을 보관 가능''' *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유닛 수용량 8기 제공, 해당 건물에서 제분소, 제재목 캠프 및 채광 캠프 건물의 모든 경제 기술을 연구 가능''' * '''보유 효과''' * [[파일:AOE4_Ability_Kura_Rice.png|width=30]] '''농장 생성''' * 매 45초 마다 해당 건물 주변에 최대 12채까지 농장 건물을 생성함, 생성할 공간이 없을 경우 [[파일:AOE4_Wood.png|width=22]]37.5 자원 생성 유닛을 수용 가능하며 '''모든 자원 보관 건물을 합친 역할'''을 맡는 경제 랜드마크로, 신성 로마 제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신성 로마 제국#아헨 예배당|'아헨 예배당']] 및 오스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오스만#쌍둥이 첨탑 신학교|'쌍둥이 첨탑 신학교']] 랜드마크와 비슷한 상당한 경제력 효과를 제공한다. 건설 완료 후 기본 시점에서 랜드마크의 9시 방향(서쪽)부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건물을 하나씩 공짜로 자동 생성하며, 최대 12채까지 시계 방향 순서로 공간이 있을 경우 계속해서 45초 마다 생성한다. 지형 장애물이나 건물로 인해서 남은 공간이 없을 경우, 농장의 절반 가격인 [[파일:AOE4_Wood.png|width=22]]37.5 자원을 생성하며, 농장 생성이 끝나면 실질적으로 '''분당 [[파일:AOE4_Wood.png|width=22]]50 수입을 영구히 제공'''한다. 인구수 필요 없는 영구 목재 수입도 충분히 장기적으로 좋은 점이지만, 해당 랜드마크의 핵심은 '''농장 체제로 전환할 걱정이 아예 없어진다'''는 것으로 빠른 시기인 봉건 시대 랜드마크라 건설해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자동으로 '''[[파일:AOE4_Wood.png|width=22]]900''' 자원 가치의 농장이 생기며 봉건~성주 시대 타이밍에 목재 소모를 관리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운영이 상당히 편해진다. 일본인 문명에는 마침 [[#농가|농가]]와 [[#제련소|제련소]] 고유 건물로 목재를 아끼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목재 수집에 할당할 주민 숫자를 줄이고 석재를 더 캐거나, 목재를 소모하는 무금 유닛 또는 공성 유닛을 더 많이 또는 빠르게 뽑는 등 '''다양한 빌드 오더 최적화가 가능'''하다.[br][br]건설 입지를 크게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견제에 대비하거나 좀 더 안전하게 써먹기 위해 농장 공간 1~2개를 희생하고 시작 랜드마크 회관에 더 붙여 건설하는 경우도 보이며, 좀 더 최적화를 원한다면 농장이 생성되는 순서까지 고려해서 짓는 경우도 있다.[br][br]모티브는 특정한 건물이 아니라 일본 전통 건축 양식으로 건설된 창고[[https://en.wikipedia.org/wiki/Kura_(storehouse)|#]] 전반이다. 농업을 지원하고 모든 자원을 보관한다는 컨셉 자체는 에도 시대 다이묘를 비롯한 유력자들이 거두어들인 쌀이나 특산물을 판매하기 위해 건설했던 창고인 쿠라야시키(蔵屋敷)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 코카 마을 ==== * '''해당 건물 건설 시 시노비 유닛 1기 무료로 즉시 생성''' * '''해당 건물에서 [[#시노비|시노비]] 고유 유닛을 ([[파일:AOE4_Food.png|width=22]]60[[파일:AOE4_Gold.png|width=22]]60) 비용으로 생산함''' 온갖 특수 능력을 보유한 [[#시노비|시노비]] 유닛을 생산하는 군사 랜드마크. 건설 시 바로 시노비 1기가 공짜로 나온다. 시노비 생산 외에는 전혀 아무런 효과가 없으며, 다른 군사 건물에서 생산이 해금되는 것도 아니라 공짜로 받는 유닛 그 자체가 주요 효과다. 시노비 유닛 자체의 성능이나 유틸성은 상당히 준수한 축에 속하지만, 활용이 생각보다 까다로운 유닛이고 등장 시기인 봉건 시대에서는 더 뽑기엔 좀 비싼 가격에 더해 사실 시노비가 견제를 넣으며 활약할만한 여건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실성능은 미묘한 편. 오히려 쿠라 창고로 안전한 경제력을 확보하며 사무라이, 여전사, 유미 아시가루 같은 다른 일본인 고유 유닛이나 기수 유닛을 조합하여 견제를 넣는 쪽이 효율이 높아서 아직까지는 쿠라 창고에게 밀리는 선택지다. [[#시노비|시노비]] 유닛의 자세한 정보와 운용법은 해당 항목 참조.[br][br]모티브는 현 일본의 [[시가현]] [[코카시]]에서 기원한 [[코가류|코가류 닌자 유파]]다. 실제 역사에서 [[오다 노부나가]]군에서 활동한 것 때문인지는 몰라도 다른 유명한 유파인 [[이가류]]를 제치고 등장했다. ~~[[이가의 난]]~~ === 성주 시대 랜드마크 === ||
[[파일:AOE4_Temple_of_Equality.jpg]][br]{{{+1 '''평등함의 사원'''}}}[br](Temple of Equality)[br]종교 랜드마크 || [[파일:AOE4_Floating_Gate.jpg]][br]{{{+1 '''떠다니는 성문'''}}}[* 부적절한 번역으로, 모티브가 물 위에 떠있는 [[토리이]]인 만큼 '떠있는 문'이나 일본어판의 '부유문(浮遊門)' 같은 번역이 더 자연스럽다. ][br](Floating Gate)[br]종교 랜드마크 || ||<-2> [[파일:AOE4_Food.png|width=22]]1,200[[파일:AOE4_Gold.png|width=22]]6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분 50초 || ||-33% 저렴하고, 적의 공격력을 -50% 약화시키고, 전향을 시전하는 동안 주변 아군 유닛에게 +20% 공격력을 가하는 불교 승려를 잠금 해제하십시오. ||신도 사제를 잠금 해제하고 건물에 요리시로를 배치하여 특별 강화를 받으세요. 요리시로는 4분마다 이 랜드마크에서 다시 생성됩니다. || ==== 평등함의 사원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수도원|수도원]] 역할의 종교 랜드마크. 불교를 선택할 시 '불교 사원' 건물을 건설 가능하고 일반 수도사 대신 [[#불교 승려|불교 승려]] 고유 종교 유닛을 생산 가능하다. 불교를 선택하는 것 외에는 랜드마크 건물 자체에서 제공하는 특수 효과는 전혀 없으므로 승려 유닛 자체가 랜드마크의 주요 효과에 가깝다. [[#불교 승려|불교 승려]] 유닛 자체는 확실히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일반 종교 유닛]]의 상위호환이며 나름 괜찮은 특수 능력들을 보유하지만, 신토를 선택해 나오는 요리시로의 경제력 효과가 상당해서 ~~닌자가 농장에 밀리는 것처럼~~ 떠다니는 성문에 비해 밀리는 선택지다. 종교 유닛을 공짜로 주는 것도 아니라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유물|유물]] 확보에는 그렇게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교 승려|불교 승려]]의 자세한 정보와 운용법은 해당 항목 참조.[br][br]모티브는 평등원(平等院)이란 이름을 가진 [[교토부]] [[우지시]]의 [[뵤도인]] 불교 사원. ==== 떠다니는 성문 ==== * '''해당 건물 건설 시 신도 사제 유닛 1기 및 요리시로 2개 무료로 즉시 생성''' * '''보유 효과''' * [[파일:AOE4_Yorishiro.png|width=30]] '''요리시로 생성''' * 매 240초 마다 해당 건물에서 요리시로 1개 생성. 특수한 유물 오브젝트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요리시로|요리시로]]를 정해진 시간마다 생성하는 종교 랜드마크. 신토를 선택할 시 '신도 신사' 건물을 건설 가능하고 일반 수도사 대신 [[#신도 사제|신도 사제]] 고유 종교 유닛을 생산 가능하다. 건설 시 요리시로 2개를 바로 제공하며 다음 요리시로가 새로 생성될 시 효과음을 재생하여 알린다. '''일본인의 고정 랜드마크'''로, 요리시로의 효과가 상당하여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유물|유물]]을 유물 따위로 만들어버리는 엄청난 성능을 자랑한다. 종교 랜드마크이고 건설 시 [[#신도 사제|신도 사제]] 유닛 1기를 공짜로 생성하지만 '''종교 건물 역할이 아닌 점'''을 유의. 해당 건물은 오직 요리시로 생산 효과만 있으며, 다른 연구나 생산이 불가능하고 요리시로나 기존 유물도 배치할 수 없다[* 현재 버그로 인해 유물 숫자가 표시되지만 배치 불가능하며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다. 요리시로 또한 마찬가지로 배치할 수 없다. ]. 불교는 더 값싸고 강화된 종교 유닛을 준다면 신토는 요리시로를 통해 경제력 중심의 효과를 제공한다.[br][br]짓자마자 나오는 요리시로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에 넣어 '''주민 생산 속도와 업그레이드 속도를 올리고''' 남은 요리시로를 군사 건물이나 자원 보관 건물에 박은 뒤 바로 유물을 집으러 출발하면 매우 큰 타이밍 이점을 주어 빠른 발전 속도를 자랑하는 타 문명을 손쉽게 따라잡을 수 있다. 가장 강력한 부분은 시간만 있다면 '''무한정'''으로 요리시로가 생긴다는 것으로, 요리시로 하나하나마다 인구수를 차지하지 않는 자원 수급원 역할이 가능하기에 장기전 상황에서 시간을 끌면 끌수록 '''인구수 제한을 무시하고 영구적으로 자원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다른 문명이 절대 따라하지 못하는 전무후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요리시로의 효과와 자세한 정보는 [[#신도 사제|신도 사제]] 항목 참조.[br][br]모티브는 신토의 종교적 제작물인 일본의 [[토리이]]. 물 위에 떠있는 토리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실제 일본 [[히로시마현]]의 [[이츠쿠시마 신사]]에 존재한다. === 제국 시대 랜드마크 === ||
[[파일:AOE4_Tanegashima_Gunsmith.jpg]][br]{{{+1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 오역은 아니나 너무 길고 어색하다. '다네가시마 총포상'이나 '다네가시마 조병창' 정도가 더 적절해 보인다. ][br](Tanegashima Gunsmith)[br]군사 랜드마크 || [[파일:AOE4_Castle_of_the_Crow.jpg]][br]{{{+1 '''까마귀의 성'''}}}[br](Castle of the Crow)[br]경제 랜드마크 || ||<-2> [[파일:AOE4_Food.png|width=22]]2,400[[파일:AOE4_Gold.png|width=22]]1,2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분 5초 || ||즉시 화약 유닛을 생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무기 보급품을 30초마다 비축합니다 — 5 비축량과 함께 제공됩니다. 공성 피해를 주는 독특한 장거리 화약 중보병인 오즈츠를 생산합니다. 리볼데퀸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성 역할을 합니다. 선택한 중립 교역소에서 정기적으로 보물 캐러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보물 캐러밴은 까마귀 성에 도착하면 많은 자원을 제공합니다. || ====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 ==== * '''해당 건물에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총통병|총통병]], [[#오즈쓰|오즈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리볼데퀸|리볼데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사석포|사석포]] 유닛 생산 가능''' * '''보유 효과''' * [[파일:AOE4_Japan_Stockpile.png|width=30]] '''보급품 생성''' : 매 30초 마다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 1개씩 누적됨 * '''유닛 즉시 생산''' :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을 소모해 선택한 유닛을 즉시 랜드마크 건물에 생성함, '''쿨다운 없음'''[* 즉, 보급품을 쌓아놓고 원하는 만큼 연속으로 생성이 가능하다. ] * 총통병 1기 :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 1개 소모 * 오즈쓰 1기 :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 1개 소모 * 리볼데퀸 1기 :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 4개 소모 * 사석포 1기 : [[파일:AOE4_Supplies.png|width=22]]보급품 4개 소모 4가지 화약 유닛을 생산하고 보급품을 쌓은 뒤 소모해 '''공짜로 즉시 생성'''할 수 있는 군사 랜드마크로, 이때까지 등장한 공성 관련 랜드마크 중 최상위에 가까운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오직 이곳에서만 [[#오즈쓰|오즈쓰]] 고유 유닛을 생산 가능하며, 일본인이 일반적으로 생산 못하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리볼데퀸|리볼데퀸]]도 생산 가능하다. 보급품이 없어도 4가지 유닛 모두 제값을 주고 시간을 들여 보통 방식으로 생산할 수도 있지만, 해당 랜드마크의 핵심은 쌓이는 보급품을 모아 오스만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오스만#메흐메트 제국 조병창|'메흐메트 제국 조병창' 랜드마크]]와 비슷하게 실질적으로 '''공짜로 공성 및 화약 유닛을 생성'''하는 것이다. 제국 조병창과 다르게 '''인구수가 꽉 찼다고 생성이 막히지도 않으며''' 보급품은 관계없이 계속 쌓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분당 자원총량 480의 수입을 주는 셈이고 쌓아놓고 언제든지 필요할 때만 즉시 원하는 만큼 최종테크 화약 및 공성 유닛이 쑥쑥 뽑힌다는 건 상당한 강점이다.[br][br]모티브는 [[타네가시마 총]]으로 유명한 일본의 [[다네가섬]]. 단, 대조총이 아닌 일반 [[조총]] 자체는 등장하지 않는다. ==== 까마귀의 성 ==== * '''보유 효과''' * [[파일:AOE4_Treasure_Caravan.png|width=30]] '''보물 캐러밴(Treasure Caravan)''' : "중립 교역소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보물 대상을 생성하세요. 대상은 물을 건너 무역 기지에 도달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무역선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효과를 맵 상의 중립 교역소 대상으로 발동하여 새로운 보물 교역 대상으로 지정 가능. * 보물 교역 대상 지정 시 보물 마차 쿨다운이 없다면 바로 하단 효과 발동. * '''보물 상단 생성''' * 정해진 보물 교역 대상이 있을 시 매 300초 마다 [[#보물 마차|보물 마차]] 1기를 해당 보물 교역 대상에서 생성. 생성 시 효과음 재생. * 생성된 보물 마차는 교역소에서 자동으로 까마귀의 성 랜드마크 건물로 출발함. * 해당 유닛이 랜드마크 건물에 도착 시 운반 중인 교역 수입을 보관 후 해당 유닛 소모. 맵 상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교역소|중립 교역소]] 대상으로 특수한 교역 유닛을 생성하는 [[#성|성]] 역할의 경제 및 요새 랜드마크. 전장의 안개를 밝힌 교역소가 하나라도 있어야 교역 대상으로 지정 가능하지만, 건설 후 일정 시간이 지났는데 대상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미리 밝혀진 교역소가 하나도 없어도 자동으로 해당 랜드마크에서 제일 가까운 교역소를 대상으로 지정 후 보물 마차를 부른다. 방어 건물로서의 성능은 일반 성과 완전히 동일. 보물 마차 1기마다 상당히 많은 교역 수입을 들고 있지만 보물 마차는 플레이어가 직접 컨트롤할 수 없는 NPC 같은 유닛이며, 보물 마차의 교역 수입은 일반 교역 유닛과 같은 방식, 즉, 까마귀의 성과 교역소의 거리가 멀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식이다.[br][br]많은 수입을 한방에 주기 때문에 좋아 보이지만 실전에서 교역 수입을 최대화하려면 교역소와 멀리 떨어져 성을 박아야 해서 건설 입지 고려가 매우 까다로우며, 교역 수입만 고려하면 기존의 본진이나 다른 자원 라인과 동떨어진 곳에 건설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방어 전선용으로 못 쓰게 된다. 그렇다고 요새 랜마로 보기엔 다른 요새 랜드마크나 방어 건물에 비해 특별한 효과가 없으며, 다른 일반 교역 유닛을 강화하지도 않기에 비슷한 교역 및 요새 랜드마크인 오스만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오스만#해상 성문 성|'해상 성문 성']]과 비교해도 효율이 썩 좋지 않다. 거기다 보물 마차 유닛 자체가 일반 교역 유닛 이상으로 '나 좀 잡아줍쇼'라고 광고하는 것과 다름없게 견제에 지나치게 노출되기 쉬운 [[보물 고블린|하이리스크 요소]]이며, 교역로와 다르게 만들고 끝이 아니라 점점 더 바쁠 제국 시대인데 5분마다 매번 보물 마차를 관리하며 죽지 않도록 신경까지 써야 수입을 받는다. 게다가 교역소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까마귀의 성이 보물 마차를 보호하지도 못한다. 여러가지를 고려하면 일단은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쪽이 훨씬 쓰기 편하며 더 강력한 장점을 제공하니 많이 밀리는 선택지.[br][br]모티브는 검은 외형으로 인해 가라스조([ruby(烏城,ruby=からすじょう)]), 즉 '까마귀 성'이라고 불린 [[마츠모토 성]][[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3%B0%EB%AA%A8%ED%86%A0%EC%84%B1|#]]. 비슷한 이유로 우조([ruby(烏城,ruby=うじょう)])로 불린 오카야마 성[[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B9%B4%EC%95%BC%EB%A7%88%EC%84%B1|#]] 또한 존재한다. 여담으로, 중국어 및 일본어판에서는 그냥 아예 '마쓰모토 성'으로 번역되었다. == 고유 유닛 == === [[사무라이]] === ||
<-5> {{{+1 '''사무라이'''}}}[br]근거리 중보병 || || '''아이콘''' || [[파일:AOE4_Samurai1.jpg]] || [[파일:AOE4_Samurai2.jpg]] || [[파일:AOE4_Samurai3.jpg]] || [[파일:AOE4_Samurai4.jpg]] || || '''명칭''' || 사무라이[br](Samurai) || 단련된 사무라이[br](Hardened Samurai) || 베테랑 사무라이[br](Veteran Samurai) || 정예 사무라이[br](Elite Samurai) || || '''비용''' ||<-4>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30 || || '''생산 시간''' ||<-4>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3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2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55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8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2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5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5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8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0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2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4 || || '''추가 공격력'''[br]('오다치' 연구 시) ||<-4> 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4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0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3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6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20 || || '''공격 사거리''' ||<-4> 0.295 타일(근접), 0.545 타일(돌격),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4>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38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4>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2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0.5초, 후딜 0.75초[br]횃불 : 선딜 0.75초, 쿨다운 1.25초}}} || || '''이동 속도''' ||<-4>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12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437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4> 8 타일 || || '''승급 비용''' || - || [[파일:AOE4_Food.png|width=22]]15[[파일:AOE4_Gold.png|width=22]]35[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파일:AOE4_Food.png|width=22]]50[[파일:AOE4_Gold.png|width=22]]125[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초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_Infantry.png|width=30]] '''보병 돌격(Charge)'''[*미표기]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근거리 보병|근거리 보병]]과 동일 * [[파일:AOE4_Ability_Deflective_Armor.png|width=30]] '''굴절 방어구(Deflective Armor)''' : "굴절 방어구 충전으로 근접 또는 원거리 공격을 한 번 방어할 수 있습니다. 전투 중이 아닐 때 8초 동안 다시 충전합니다." * '''발동 조건''' : 방어구 활성화 상태에서 적군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공격이 적중할 경우 발동. * '''시전 시간''' : 즉시발동, 비전투 상태일 시 쿨다운 8초 후 다시 활성화. 활성화되기 전에 전투 돌입할 경우 '''쿨다운 초기화'''. * '''효과''' : 발동 시 해당 공격을 1회 무효화한 후 비활성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무장 병사|무장 병사]]를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근거리 중보병. 암흑 시대부터 생산 가능하며 [[나기나타]]로 무장한 도보 무사로, 일반 무장병보다 살짝 비싸지만 [[에오엠4 잉글랜드|잉글랜드]] 문명처럼 시작하자마자 바로 생산이 가능하며, 아예 '''공격을 무효화'''시키는 뛰어난 고유 능력까지 보유한다. 기반 수치는 무장병과 동일하지만 특이하게도 암흑 시대에서만 원거리 방어력이 1 더 높다. 사무라이의 가장 큰 차별점은 본작에서 최초로 등장한 공격 무효화 효과의 '굴절 방어구' 능력과 훨씬 '''빠른 교전 타이밍 및 견제 성능'''이다. '굴절 방어구' 능력은 체력을 나타내는 막대 위에 흰색 막대로 표시되며, 꽉 차있을 경우 활성화 상태로 취급한다. 활성화된 상태에서 공격을 맞으면 단 한번 '''아무리 공격력, 추가 공격력, 방사피해 및 기타 효과가 높아도 해당 공격을 무효화'''한다. 즉,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오스만#대형 사석포|대형 사석포]]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총통병|총통병]] 같은 초고화력 유닛이 아무리 총탄과 대포알을 쐈대도 한번 만큼은 ~~무슨 원리로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무조건 튕긴다. [[일점사|다수의 유닛이 동시에 해당 사무라이 대상으로 공격]]을 했다면 하나의 공격으로 취급되어 '''전부 다 튕긴다'''.[* 조금이라도 공격 타이밍이 어긋나면 여러 번의 공격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일점사를 시도하는 '''소수 물량'''의 원거리 유닛 상대로만 의미가 있으며 그마저도 자주 보기 힘들다. ] 공격을 맞아 비활성화된 상태라면 '''비전투 상태에서만''' 8초가 지나야 서서히 막대가 차오르며 다시 활성화된다. 완전히 활성화되기 전에 다시 공격을 맞거나 전투를 시작하면 '''초기화'''되니 주의할 것. 무효화 효과 자체는 대단하지만 단 한번만 적용되기 때문에 본격적인 백병전 상황에서는 다른 근거리 보병 상대로 엄청난 우위를 주지는 않으며, 특히 빠르게 여러번 공격이 연속으로 나가는 상대[* 대표적으로 중국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중국인#연노병|연노병]], 아바스 왕조 및 아이유브 왕조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아바스 왕조#굴람|굴람]], 연속 산탄 공격을 날리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망고넬 투석기|망고넬 투석기]]이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리볼데퀸|리볼데퀸]] 등등이 있다. ]나 빠른 공속을 가진 상대[* 같은 일본인의 [[#여전사|여전사]], 주희의 유산 소림 수도사 등등 ]에게는 쉽게 무력화된다. 물론 그걸 고려해도 상대방의 '''선제 타격을 무조건 무시한다'''는 건 여전히 매우 유리한 점이고, 사무라이가 오히려 앞장서서 적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중기병|중기병]]의 기마창 돌격이나 원거리 및 공성 유닛의 일점사 같은 고화력 공격을 일부러 맞아 무효화 시킬 수 있는 '''[[탱커|탱킹]] 특화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무장병에 비해 탱킹에 유리한 만큼 연약한 체력과 높은 화력의 [[#여전사|여전사]] 같은 다른 일본인 근접 보병과 조합이 상당히 좋으며, 여전사 다수 물량에 사무라이가 2~4기만 같이 다녀도 전체 부대의 생존력이 급등한다. 중후반으로 넘어가며 전체 유닛 물량이 늘어나도 마찬가지이며 효율이 오히려 더 늘어난다. 단순히 탱킹을 더 잘할 뿐만 아니라 [[대미지 딜러|딜링]]에도 무장병 이상으로 다양한 이점이 있다. 일단 암흑 시대부터 빠르게 등장하고 원거리 방어력이 더 높게 시작하기 때문에 잉글랜드 무장병처럼 노출된 자원 라인을 견제, 물맵 같은 상황에서 적의 부두를 불태우거나 방어 건물 상대로 버티며 다양한 러시 전술을 보일 수 있고, [[#제련소|제련소 고유 건물]]에서 값싸고 빠르게 근공업 기술 연구가 가능한 데다가 봉건 시대부터 등장하는 [[#일본도 기수|일본도 기수]]에게 버프를 받아 근접 및 횃불 공격력이 동시에 늘어나며, 성주 시대 [[#고유 기술|'오다치' 고유 기술]]로 '''모든 보병 상대로 추가 공격력'''이 생겨 앞서 말한 걸 전부 다 합치면 해당 타이밍에 거의 근접 중보병 중 최상위권에 가까운 [[DPS]]를 보이게 된다. ## 확장팩에 등장하는 다양한 고유 유닛 및 기존 고유 유닛과 자세한 상성 관계 서술 예정 ## 사무라이와 좋은 조합 및 일본인 유닛 구성 추가 서술 필요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오다치(보병 유닛에 대한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추가 공격력 +6), 오다 전술([[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2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 여전사 === ||
<-4> {{{+1 '''여전사'''}}}[* 일본어 원문은 온나부게이샤, 즉 "여무예자(女武芸者)"라는 단어다. '사무라이'나 '시노비' 같은 단어는 고유명사 취급으로 번역을 하지 않았는데 왜 이것만 굳이 미묘한 의역을 한 건지는 의문. ][br]근거리 경보병 || || '''아이콘''' || [[파일:AOE4_Onna-Bugeisha2.jpg]] || [[파일:AOE4_Onna-Bugeisha3.jpg]] || [[파일:AOE4_Onna-Bugeisha4.jpg]] || || '''명칭''' || 여전사[br](Onna-Bugeisha) || 베테랑 여전사[br](Veteran Onna-Bugeisha) || 정예 여전사[br](Elite Onna-Bugeisha)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60[[파일:AOE4_Gold.png|width=22]]20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85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0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25 || || '''근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6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7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8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3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6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20 || || '''공격 사거리''' ||<-3> 1 타일(근접 및 돌격),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0.90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0.77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0.25초, 후딜 0.375초, 쿨다운 0.15초[br]횃불 : 선딜 0.75초, 쿨다운 1.2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50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87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3> 8 타일 || || '''승급 비용''' || - ||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25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_Infantry.png|width=30]] '''보병 돌격(Charge)'''[*미표기]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근거리 보병|근거리 보병]]과 동일 봉건 시대부터 생산 가능한 일본인 고유 근거리 경보병 유닛. 보병 중 최상위권에 가까운 빠른 이동 속도로 움직이고 [[나기나타]]를 엄청난 속도로 휘두르며 아픈 피해를 박아 넣는 '''충격 보병''' 역할이다. 비슷하게 높은 화력, 낮은 체력 및 준수한 이속을 가진 란츠크네히트와 정반대로 값싼 '''염가 유금 유닛'''이며, 똑같이 재빠르고 값싼 루스인 시민군 이상으로 초중반 공격적인 견제 플레이에 특화된 성능을 보인다. 현재 있는 기묘한 버그로, 다른 보병과 다르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송선|수송선]]에 탑승하지 못 한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오다 전술([[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2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 [[닌자|시노비]] === ||
<-4> {{{+1 '''시노비'''}}}[br]근거리 경보병 || || '''아이콘''' ||<-3> [[파일:AOE4_Shinobi.jpg]] || || '''명칭''' ||<-3> 시노비[br](Shinobi)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60[[파일:AOE4_Gold.png|width=22]]60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3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8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92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04 || || '''근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0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3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6 || || '''추가 공격력''' ||<-3> 근거리 유닛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5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0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2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3 || || '''공격 사거리''' ||<-3> 0.295 타일(근접),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2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12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1.00초, 후딜 0.125초[br]횃불 : 선딜 0.75초, 쿨다운 1.2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37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7187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3> 8 타일 || || '''승급 비용''' ||<-3>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_Infantry.png|width=30]] '''보병 돌격(Charge)'''[*미표기]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근거리 보병|근거리 보병]]과 동일 * [[파일:AOE4_Ability_Healing.png|width=30]] '''자가 회복'''[*미표기] : 상시 적용, 초당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0.23씩 회복 * [[파일:AOE4_Ability_Spy.png|width=30]] '''스파이(Spy)''' : "눈에 보이는 적 유닛이나 구조물 사이에 침투해 시노비를 해당 플레이어의 주민으로 위장시키세요." * '''발동 조건''' : 적군의 건물이나 유닛을 선택해 수동 시전 가능. 시전 사거리 제한 없음. * '''시전 시간''' : 시전 시간 약 1초, 변장 발각 전까지 영구 지속, 발각 시 쿨다운 60초 적용. * '''효과''' : 시전 시 해당 적 플레이어의 주민 유닛으로 외형이 바뀜. 변장 도중에는 적군의 유닛이나 건물이 자동으로 반격하지 않음. 전투 시작 또는 '은폐 탐지' 효과가 있는 적군의 유닛 및 건물 범위 내로 접근 시 변장 무효화. * [[파일:AOE4_Ability_Sabotage.png|width=30]] '''파괴 공작(Sabotage)''' : "보이는 적 건물을 표적으로 삼아 200 피해를 주고, 생산을 비활성화하며, 30초 동안 화재를 일으킵니다."[* '''틀렸다'''. 소이 효과는 적군이 해당 건물을 수리하기 전까지 영구 적용이며, 생산 비활성화 효과만 30초 동안 적용된다. 영어 원문부터가 애매하게 설명하고 있어 오역이라기 보다는 잘못 설명하는 것에 가깝다. ] * '''발동 조건''' : 적군의 건물을 선택해 수동 시전 가능. 시전 사거리 0.75 타일. * '''시전 시간''' : 시전 시간 약 3초, 쿨다운 60초. * '''효과''' : 해당 건물에 [[파일:AOE4_Stat_Siege_Attack.png|width=22]]200 피해량, 소이 효과 및 30초 동안 (생산 및 연구 불가, 작업 대기열에 있는 작업 취소) 효과 적용하는 횃불 공격 1회를 던짐. * [[파일:AOE4_Ability_Shunshin.png|width=30]] '''정신(Shunshin)'''[* '''오역'''. 원문은 순신(瞬身)으로, [[순신의 술|그 순신술]]이 맞다. 판타지스러운 연출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한 [[인술]]이다. 물론 현실에서는 게임과 다르게 진짜 순간 이동이 아니라 단순히 연막탄을 던지고 그 틈을 타 빠르게 움직이는 전술이다. ] : "연막폭탄을 투척하고 선택한 위치에 다시 나타납니다." * '''발동 조건''' : 4 타일 범위 내 목표 지점을 정하여 수동 시전 가능. * '''시전 시간''' : 시전 시간 약 1초, 쿨다운 60초. * '''효과''' : 해당 목표 지점으로 모든 지형 고저차, 장애물, 건물 및 유닛을 무시하고 순간 이동. 봉건 시대 [[#코카 마을|'코카 마을' 랜드마크]]에서만 생산 가능한 일본인 고유 근거리 경보병 유닛. [[와키자시]]로 무장한 '''은신 암살자''' 역할로 온갖 특이한 능력으로 진입, 도주, 은신, 암살, 견제 같은 특수한 전술에 특화된 유닛이다. 단순히 공작원 역할 이상으로 '''공격력도 상당히 높아''' 충격 보병의 역할도 어느 정도 수행 가능하다. 단, 당연히 일선 전투 유닛으로 쓰기에는 체력, 가격이나 생산력 모두 불리한 구성이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적을 엿 먹이며 견졔 플레이를 시도하는 경우가 더 많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오다 전술([[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2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 [[아시가루|유미 아시가루]] === ||
<-4> {{{+1 '''유미 아시가루'''}}}[br]원거리 경보병 || || '''아이콘''' || [[파일:AOE4_Yumi_Ashigaru2.jpg]] || [[파일:AOE4_Yumi_Ashigaru3.jpg]] || [[파일:AOE4_Yumi_Ashigaru4.jpg]] || || '''명칭''' || 유미 아시가루[br](Yumi Ashigaru) || 베테랑 유미 아시가루[br](Veteran Yumi Ashigaru) || 정예 유미 아시가루[br](Elite Yumi Ashigaru)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30[[파일:AOE4_Wood.png|width=22]]35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6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7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85 || || '''근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3>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4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6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7 || || '''추가 공격력'''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4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6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7 || || '''공격 사거리''' ||<-3> 5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62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50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조준 0.25초, 후딜 0.5초, 재장전 0.7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375 타일/초 || || '''시야 범위''' ||<-3> 8 타일 || || '''승급 비용''' || - ||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25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일본의 전통 [[활]]인 화궁(和弓)으로 무장하여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궁사|궁사]]를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원거리 경보병 유닛. 준수한 성능으로 무난하게 좋았던 3편의 유미 궁사와 정반대로, 값싼 '''염가형 궁병'''으로 등장했다. 궁사와 비교해 목재를 덜 소모하며 체력이 딱 10씩 낮고 공격력과 추가 공격력 둘 다 1씩 낮으며, 그대신 일반 경보병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는 초당 1.375 타일의 이동 속도를 보인다. 대놓고 [[스팸(동음이의어)#땡러쉬(전술)|스팸 유닛]]에 가까운 만큼 병목이 자주 걸리기 쉬운 자원인 목재 가격이 크게 줄어들어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정찰병|정찰병]]보다도 낮은 환상적인 자원총량의 생산 가격을 자랑한다. 마침 봉건 시대 [[#쿠라 창고|'쿠라 창고' 랜드마크]] 및 일본인 특유의 경제 구조로 인구수 관리가 쉽고 목재를 더더욱 아낄 수 있어 타 문명권보다 먼저 빠른 속도로 훨씬 많은 '''대량의 궁병'''을 뽑아올 수 있다. 장점은 딱 여기까지. 가뜩이나 한명 당 화력이 처참하게 낮고 인구수 대비 성능이 가장 낮은 축에 속하는 궁사 기반의 유닛인데 이걸 염가형으로 만들어버려서 정말로 '''너무나 낮은 기본 성능'''을 보인다. 일본인 병종 구성 중 가장 나사 빠진 하자에 가까운 유닛으로, 본래라면 손쉽게 잡아야 할 창병을 포함한 근거리 경보병 상대로도 생각처럼 빠르게 제거가 안되며 너무 낮은 화력으로 인해 중장갑 유닛 및 체력이 높거나 원거리 방어력이 있는 기병이 등장한다면 말 그대로 아무런 피해를 주지 못할 정도다. 체력도 주민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허약하기 때문에, 반드시 '''물량'''을 운용하거나 몸빵 유닛이 있어야 그나마 버틴다. 기마병 같이 원거리 보병에게 추가 피해를 주고 빠르게 접근 가능한 상대로는 추풍낙엽처럼 순식간에 쓰러지며, 망고넬 같은 광역 방사피해 유닛 상대로 일반 궁사 이상으로 매우 취약하니 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물량 기반 저화력 유닛이라 한명 한명의 화력을 늘리는 제련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대장간|원공업 기술]]이나 공격력 버프를 제공하는 [[#유미 기수|유미 기수]]와의 조합이 절실하다. 유미 기수 1기만 확보해도 공격력 만큼은 일반 궁사와 비등해져 더 많은 물량으로 인한 화력의 우위를 보일 수 있다. 단, 연약한 체력은 [[#사무라이|사무라이]]나 기수 유닛 같은 다른 유닛이 몸빵을 해주지 않는 이상 보완이 불가능하다. ~~유미 기수가 죽고 깃발이 사라지는 순간 바로 화력이 다시 곤두박질친다~~ 이속이 일반 궁사나 다른 궁사 대체 고유 유닛들보다 빠른 건 나름 장점이지만 물량이 많아질수록 점점 크게 의미가 없어지며, 다른 궁사 또는 보병 특화 문명도 궁병의 이속을 올리는 방법[* 신롬의 '행군 훈련' 고유 기술, 델리 술탄국의 '강행군' 능력, 오스만의 메흐테르 등등 ]이 있고, 유미 아시가루는 못하는 '''공속'''도 올리기 때문에 일반 궁사도 강화 없이는 상대하기 벅차지만 제대로 된 궁사 강세 문명 상대로는 강화를 해도 뼈도 못 추린다. 궁사 특화가 아닌 문명 상대로 러시 타이밍을 잘 맞춰 빠르게 물량을 확보하고 강화까지 넣는다면 나름 활약은 가능하나, 일본인 문명은 이미 근거리 보병진 만으로도 충분히 강한 견제를 넣을 수 있어서 효율이 높다고 보긴 힘들다. 장기적으로도 '''인구수 가성비가 처참하게 낮기 때문에''' 유통기한마저 일반 궁사보다 짧아서 봉건 시대 이후에는 웬만하면 버리고 [[#여무사|여무사]]로 넘어가거나 화약 보병의 등장을 기다리는 것이 좋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소이 화살([[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공격력 +20%) === 여무사 === ||
<-3> {{{+1 '''여무사'''}}}[* 원문은 온나무샤, 즉 "여무자(女武者)". 여전사와 동일하게 왜 이것도 고유명사 취급이 아닌지는 의문이다. ][br]원거리 경기병 || || '''아이콘''' || [[파일:AOE4_Onna-Musha3.jpg]] || [[파일:AOE4_Onna-Musha4.jpg]] || || '''명칭''' || 여무사[br](Onna-Musha) || 정예 여무사[br](Elite Onna-Musha) || || '''비용''' ||<-2> [[파일:AOE4_Food.png|width=22]]80[[파일:AOE4_Gold.png|width=22]]60 || || '''생산 시간''' ||<-2>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4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8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95 || || '''근거리 방어''' ||<-2>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2>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10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13 || || '''추가 공격력''' || 중장갑 유닛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9 || 중장갑 유닛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12 || || '''공격 사거리''' ||<-2> 5.5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2>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2.12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2>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2.00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조준 0.125초, 후딜 0.5초, 재장전 1.375초}}} || || '''이동 속도''' ||<-2>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62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785 타일/초('카부라-야' 사용 시) || || '''시야 범위''' ||<-2> 7.56 타일 || || '''승급 비용''' || -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90초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Kabura-ya.png|width=30]] '''카부라-야(Kabura-ya)''' : "여무사는 적이 보이면 효시를 발사하여 10초 동안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 '''발동 조건''' : 성주 시대 '카부라야 효시 화살' 고유 기술 연구 필요, 해당 유닛의 6 타일 범위 내 적군 유닛 포착 시 자동 시전. * '''시전 시간''' : 지속 시간 10초, 쿨다운 30초. * '''효과''' : 지속 시간 동안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이동 속도 +10%) 효과 적용.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석궁병|석궁병]]을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원거리 경기병으로, 금을 20 더 소모하는 대신 중장갑 상대로 2배에 가까운 추가 피해를 주는 '''대중장갑 카운터 궁기병''' 역할을 수행한다. 루스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루스인#기마 궁사|기마 궁사]] 유닛이 기마 노궁병 '같은' 유닛이었다면, 여무사는 진짜로 기마 노궁병에 가까우며, 기반 수치도 상당히 비슷하다. 기마 궁사처럼 일반 궁병보다 체력이 아주 약간 높으며 공격 속도도 기마 궁사 및 석궁병과 사실상 동일히다. 궁기병이지만 공격 사거리가 '''6 타일로 궁병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느려터진 중보병 상대로는 석궁병 이상으로 손쉽게 치고 빠지거나 간격 벌리기 식의 기동이 가능하며, 거의 모든 무장병 대체 유닛 상대로도 제대로 컨트롤한다는 전제 하에 하나도 안 맞고 '''일방적으로 화살을 퍼부을 수 있다'''. 단, 아바스 왕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아바스 왕조#낙타 궁사|낙타 궁사]]와 다르게 기마 궁사처럼 여전히 조준 딜레이가 있으며, 몽골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몽골#만구다이|만구다이]] 같은 이동 중 사격은 하지 못한다. 기본 이동 속도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중기병|중기병]]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기병 상대로는 중보병처럼 일방적으로 때리긴 힘들지만, 바로 그걸 위해 성주 시대 '''[[#고유 기술|'카부라야 효시 화살' 고유 기술]]이 존재한다'''. 연구 후에는 몽골의 '신호 화살' 능력과 비슷하게 여무사의 사거리 범위 내에 적이 보이면 이동 속도가 늘어나는 효과가 생기며 더 안전하게 쏘고 도망가거나 빠르게 접근하는 식으로 기동이 훨씬 편해진다. '신호 화살'과 다르게 발동 시 푸른 오오라와 황금색 문양 외에는 특별한 시각 효과나 효과음은 없으며, 수동 시전이 아니라 적에게 반응해서 나가는 자동 시전이라 원하는 대로 타이밍을 맞춰서 발동할 수는 없다. 그대신 지속 시간은 10초로 긴 편이라 '신호 화살'이나 루스인 기마 궁사의 '질주' 능력보다 훨씬 쓰기 편하며, 쿨다운도 30초로 짧기 때문에 요리조리 도망을 치다 보면 어느새 다시 발동이 가능해 계속해서 써먹기도 좋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카부라야 효시 화살(범위 내 적군 포착 시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이동 속도 +1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생물학([[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소이 화살([[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공격력 +20%) === 기마 사무라이 === ||
<-3> {{{+1 '''기마 사무라이'''}}}[br]근거리 중기병 || || '''아이콘''' || [[파일:AOE4_Mounted_Samurai3.jpg]] || [[파일:AOE4_Mounted_Samurai4.jpg]] || || '''명칭''' || 기마 사무라이[br](Mounted Samurai) || 정예 기마 사무라이[br](Elite Mounted Samurai) || || '''비용''' ||<-2> [[파일:AOE4_Food.png|width=22]]140[[파일:AOE4_Gold.png|width=22]]110 || || '''생산 시간''' ||<-2>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5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3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7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5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5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4(근접)[br][[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36(돌격)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9(근접)[br][[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43(돌격)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6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20 || || '''공격 사거리''' ||<-2> 0.2875 타일(근접), 1.0375 타일(돌격),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2>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50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2>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37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0.5초, 쿨다운 0.875초[br]횃불 : 선딜 0.75초, 1.25초}}} || || '''이동 속도''' ||<-2>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62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9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2> 6.22 타일 || || '''승급 비용''' || -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br][[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png|width=30]] '''랜스 차지'''[*미표기] * '''발동 조건''' : 최대 10 타일, 최소 2 타일 사이에 동물 및 건물이 아닌 강제공격 명령대상이 존재할 경우 자동 시전, 공격이동 명령 중 자동 시전. * '''시전 시간''' : 지속 시간 최대 7초, 쿨다운 15초. * '''효과''' : 지속 시간 동안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이동 속도 +20%, 지속 시간 동안 공격을 할 경우 기본 공격 대신 돌격 공격을 한번 넣은 후 쿨다운 발동. * [[파일:AOE4_Ability_Deflective_Armor.png|width=30]] '''굴절 방어구(Deflective Armor)''' :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Mehter_Speed.png|width=30]] '''도마루 갑옷 효과'''[*미표기] : 제국 시대 '도마루 갑옷' 고유 기술 연구 시, '굴절 방어구' 능력 활성화 상태일 때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이동 속도 +10%) 효과 상시 적용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중기병|창기병]]을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근거리 중기병.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하게 '굴절 방어구' 능력을 지닌 [[나기나타]] 기마 무사로, 금 가격이 10 더 비싸지만 기반 성능은 일반 중기병과 동일하고 그대신 여전히 '''공격 무효화''' 효과와 고유 기술로 다양한 차별점이 존재한다. 술탄의 승천 확장팩에서 같이 추가된 다른 문명 '''전부''' 일반 중기병의 상위호환 역할인 고유 유닛이 있어 빛이 바랜 감이 있지만 일단은 충분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다른 문명들의 괴물급 중기병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큰 하자[* 전반적으로 모든 유닛의 가성비가 엉망진창인데다가 경제력도 최악인 비잔틴의 카타프락토이, 비잔틴만큼 경제력이 엉망인데다가 소수정예 컨셉이라 인구수 대비 성능이 실제로는 괴멸적으로 낮은 드래곤 기사단의 도금 기사, 팩션은 하자가 없지만 4시대 한정적인 고유업글 횟수를 소모해야 나올 수 있는 주희의 제국 근위대, 마찬가지로 팩션에는 하자가 없지만 돌격 거리가 짧으면 패널티를 입는 아이유브 낙타 창기병 등 실전에서 활약하는데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다. 사실 신규 팩션에서 중기병 운용에 차질이 없는 팩션은 그냥 기존 프랑스에 잔다르크만 끼얹어 2시대 왕실기사 메타를 재림시킨 잔다르크 팩션 뿐이다.]를 가지고 있어서 통상 중기병 성능에 적절한 가격을 가진 기마 사무라이가 실전에서는 더더욱 유용한 상황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도마루 갑옷('굴절 방어구' 능력이 활성화 상태일 때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이동 속도 +1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생물학([[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 오즈쓰 === ||
<-2> {{{+1 '''오즈쓰'''}}}[* 실제 일본어 원문 발음은 '오오즈츠'에 더 가깝다. ][br]원거리 화약 중보병 || || '''아이콘''' || [[파일:AOE4_Ozutsu.jpg]] || || '''명칭''' || 오즈쓰[br](Ozutsu) || || '''비용''' || [[파일:AOE4_Food.png|width=22]]85[[파일:AOE4_Gold.png|width=22]]155 || || '''생산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5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6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4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4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35 || || '''추가 공격력''' || 건물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130 || || '''방사피해 범위''' || [[파일:AOE4_Stat_Area_of_Effect.png|width=22]]0.5 타일(원형)[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0~0.025 타일 : 100% 피해량[br]0.025~0.5 타일 : 10% 피해량}}} || || '''공격 사거리''' || 6.5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 [[파일:AOE4_Stat_Siege_Speed.png|width=22]]4.75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 [[파일:AOE4_Stat_Siege_Speed.png|width=22]]4.625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조준 0.5초[br]선딜 0.125초[br]후딜 0.5초[br]재장전 3.5초}}} || || '''이동 속도'''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 타일/초 || || '''시야 범위''' || 7.11 타일 || 제국 시대 [[#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다네가시마 총포 대장장이' 랜드마크]]에서만 생산 가능한 일본인 고유 화약 보병. 본작에서 최초이자 현재 유일한 '''원거리 중보병'''으로, 조총보다는 [[유탄발사기]]에 더 가까운 대조총([ruby(大筒,ruby=おおづつ)])을 '''6.5 타일'''의 훨씬 긴 사거리로 쏘는 무시무시한 공성 총병이다. 막강한 화력도 화력이지만, 중보병이라는 방어타입은 생각보다 굉장히 유용한데, 태그만 중보병이 아니라 실제로 체력과 방어력이 중보병에 걸맞는 능력치를 부여 받았기 때문에 한두번의 실수로 때거지 몰상당하는 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 반대로 석궁병과 무소파디 전사와 같은 중장갑 전담 병과들에게는 더더욱 취약할 수 있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화학([[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공격력 +20%) === [[아타케부네]] === ||
<-3> {{{+1 '''아타케부네'''}}}[br]전투선 || || '''아이콘''' || [[파일:AOE4_Warship_Unique.jpg]] || || '''명칭''' || 아타케부네[br](Atakebune) || || '''비용''' || [[파일:AOE4_Food.png|width=22]]170[[파일:AOE4_Wood.png|width=22]]220[[파일:AOE4_Gold.png|width=22]]220 || || '''인구수''' || [[파일:AOE4_Population_Cost.png|height=22]]5 || || '''생산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45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650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5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Siege_Attack.png|width=22]]30[*공성] × 3발[br](양 측면 70도)[br](연속 발사)[br](이동 중 사격 가능) || || '''추가 공격력''' || 건물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50 || || '''방사피해 범위''' || [[파일:AOE4_Stat_Area_of_Effect.png|width=22]]0.375 타일(원형)[br](20% 피해량 적용) || || '''공격 사거리''' || 9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5.50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5.375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조준 0.5초[br]재장전 4.875초}}} || || '''이동 속도'''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25 타일/초 || || '''시야 범위''' || 11.56 타일 || ~~한국인이라면 익숙할~~ 일본인의 고유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전투선|전투선]] 군함 유닛. 일반 전투선과 다르게 대포 3문이 아니라 일본의 화전 무기인 봉화시([ruby(棒火矢,ruby=ぼう‐びや)])[* '보우히야'로도 읽히며 '화전' 단어처럼 말 그대로 '불화살'이란 뜻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포병#불화살포|에오엠 3편에서도 등장한 무기]]로, 일본에서 사용하던 소이 화살, 한국의 총통 같은 화포나 중국식 화전을 발사하는 무기 종류를 뜻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4%89%ED%99%94%EC%8B%9C|참고자료]][[https://en.wikipedia.org/wiki/Bo-hiya|#]] 여기서 등장한 봉화시는 포대에서 폭발하는 화살을 발사하는 센고쿠~에도 시대 형태에 가깝다. ] 3문을 발사한다. ~~중국인 일와봉총 투사체를 재활용했다~~ 하지만 실상은 [[#유미 아시가루|유미 아시가루]]와 함께 일본인 병종 구성에서 '''하자에 가까운 유닛 두번째'''다. 다른 전투선에 비해 체력이 50 낮은데 한방 공격력까지 15 더 낮으며, 그렇다고 공격 속도가 크게 빠른 것도 아니고 다른 어떠한 차별점이 전혀 없다. 유미 아시가루는 낮은 성능만큼 가격이 싼 염가 유닛인데, 아타케부네는 식량 가격이 줄어들었지만 '''그만큼 목재와 금 가격이 늘어난 어이없는 구성'''이다. 그나마 더 좋은 점은 15초 빠른 생산 시간 정도인데, 전투선이 본격적으로 나올 시기라면 어차피 [[#신도 사제|요리시로 효과]]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부두|부두]]에 적용하거나 다수의 부두 건물에서 동시 생산하므로 가격까지 낮은 것이 아닌 이상 크게 의미가 없는 장점이다. [[#고유 기술|'구리 도금' 고유 기술]]로 방어력 강화가 가능하지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소이선|소이선]]에 취약한 점은 전혀 개선이 안되며, 선박이나 지상 유닛 및 건물 상대로 전부 일반 전투선의 하위호환이라 어쩔 수 없이 쓰는 게 아닌 이상에야 차라리 다른 군함 생산에 주력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 특이점으로, 일반 전투선과 달리 지면 공격 명령이 불가능하다. ~~이건 왜???~~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구리 도금([[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방어력 +2) * '''공통''' : 선체 장갑 → 조선공(각 연구마다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및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원거리 방어력 +1), 화학([[파일:AOE4_Stat_Siege_Attack.png|width=22]]공격력 +20%) == [[하타모토]] 유닛 == === 일본도 기수 === ||
<-4> {{{+1 '''일본도 기수'''}}}[* 고유명사 취급인 유미 기수나 우마 기수와 다르게 굳이 '카타나'를 일본도로 번역했다. ][br]근거리 중보병 || || '''아이콘''' ||<-3> [[파일:AOE4_Katana_Bannerman.jpg]] || || '''명칭''' ||<-3> 일본도 기수[br](Katana Bannerman)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30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생산 최대치''' ||<-3>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 참조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55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8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15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5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5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9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2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4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5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8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23 || || '''공격 사거리''' ||<-3> 0.295 타일(근접), 0.545 타일(돌격),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38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2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0.5초, 후딜 0.75초[br]횃불 : 선딜 0.75초, 쿨다운 1.2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37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7187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3> 8 타일 || || '''승급 비용''' ||<-3>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_Infantry.png|width=30]] '''보병 돌격(Charge)'''[*미표기]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근거리 보병|근거리 보병]]과 동일 * [[파일:AOE4_Ability_Deflective_Armor.png|width=30]] '''굴절 방어구(Deflective Armor)''' :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Banner_Katana.png|width=30]] '''일본도 기수 오라(Katana Bannerman Aura)''' : "근접 보병 공격력을 +15% 증가시키는 오라입니다. 사망 시 깃발이 떨어지며 30초 동안 동일한 오라를 제공합니다." * 6 타일 범위 내 모든 아군 '''근거리 보병''' 유닛에게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15%) 효과 상시 적용. * 기수 유닛 사망 시 동일한 효과를 30초 동안 잠시 제공하는 깃발 오브젝트를 떨어뜨림. [[일본도]]로 무장한 하타모토 근거리 중보병 유닛. 가격은 일반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하며 성능은 특이점 없이 사무라이보다 평범하게 좀 더 좋은 쪽에 속한다. 이동 속도도 중국인 궁전 호위병과 유미 아시가루처럼 '''경보병 이상으로 빠르며 체력도 상당히 높다'''. 일본도 기수의 핵심은 초중반부터 빠르게 생산 가능한 일본인의 고유 근거리 보병들을 전부 버프시킬 수 있다는 데에 있다. 특히 공격 속도가 상당히 빠른 [[#여전사|여전사]]나 [[#시노비|시노비]] 유닛과 효율이 상당히 좋으며, 여기에 일본인 특유의 빠르고 값싼 근공업 고유 기술까지 넣으면 다른 문명권보다 훨씬 빠른 타이밍에 상당한 공격력을 자랑하는 근접 보병 물량이 생긴다. 앞서 말한 두가지 유닛 모두 체력이 혀약한 편이므로 사무라이 유닛 대신 일본도 기수가 몸빵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속이 사무라이보다 빨라 같이 다니기도 더 편하다. 평범하게 일반 사무라이와 조합해도 좋은 효율을 보이며, 일본인 문명 특유의 빠르고 강한 초중반 견제에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보병에 강점이 많은 문명인만큼 기수 유닛 중에서 가장 무난하고 자주 보게 될 유닛이다. 단, [[#사무라이|사무라이]] 유닛과 다르게 [[#고유 기술|'오다치' 고유 기술]]은 적용 받지 못하므로, '''성주 시대부터는 사무라이에 비해 공격력이 떨어지는 점'''을 유의. 기수 유닛 생산 최대치가 남는다면 일본도 기수를 더 뽑기보다는 버프 토템으로 소수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더 좋은 성능을 보이고 모든 기병을 버프시키는 [[#우마 기수|우마 기수]]나 제국 시대 화약 보병을 버프시킬 수 있는 [[#유미 기수|유미 기수]]로 채우는 것이 좋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고유''' : 오다 전술([[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20%)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 유미 기수 === ||
<-4> {{{+1 '''유미 기수'''}}}[* 현재 한국어판에 "유미 기수 유대"라고 써있는 '''오타'''가 있다. ][br]원거리 경보병 || || '''아이콘''' ||<-3> [[파일:AOE4_Yumi_Bannerman.jpg]] || || '''명칭''' ||<-3> 유미 기수[br](Yumi Bannerman)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30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생산 최대치''' ||<-3>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 참조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4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17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05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1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2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3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1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2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3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6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9 || || '''추가 공격력'''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5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7 || 근거리 경보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8 || || '''공격 사거리''' ||<-3> 5.25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62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1.50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조준 0.25초, 후딜 0.5초, 재장전 0.7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375 타일/초 || || '''시야 범위''' ||<-3> 8 타일 || || '''승급 비용''' ||<-3>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Deflective_Armor.png|width=30]] '''굴절 방어구(Deflective Armor)''' :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Banner_Yumi.png|width=30]] '''유미 기수 오라(Yumi Bannerman Aura)''' : "원거리 보병 공격력을 +15% 증가시키는 오라입니다. 사망 시 깃발이 떨어지며 30초 동안 동일한 오라를 제공합니다." * 6 타일 범위 내 모든 아군 '''원거리 보병''' 유닛에게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원거리 공격력 +15%) 효과 상시 적용. * 기수 유닛 사망 시 동일한 효과를 30초 동안 잠시 제공하는 깃발 오브젝트를 떨어뜨림. [[#유미 아시가루|유미 아시가루]]처럼 활로 무장한 하타모토 원거리 경보병 유닛.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궁사|궁사]]의 하위호환인 유미 아시가루와 다르게 조금 더 좋은 공격력과 살짝 높은 5.25 타일 공격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하타모토 유닛이라 훨씬 '''빵빵한 체력'''과 시대 별로 향상되는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생산 가격은 일반 [[#사무라이|사무라이]] 유닛과 동일. 확실한 상위호환인 [[#일본도 기수|일본도 기수]]나 [[#우마 기수|우마 기수]]와 다르게 일반적인 궁병과 크게 다르지 않는 수준의 성능이라 초중반에 빠르게 나와 혼자서 견제를 하거나 적극적으로 전투에 참여하는 식의 운용은 힘들며, 유미 기수의 주요 목적은 나사 빠진 성능의 [[#유미 아시가루|유미 아시가루]] 물량을 버프시키거나 제국 시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총통병|총통병]] 및 [[#오즈쓰|오즈쓰]]와 함께 다니며 버프하는 것에 가깝다. 유미 아시가루 물량 러시를 시도하는 것이 아닌 이상 초중반에 많이 없을 기수 유닛 생산 최대치를 유미 기수에 먼저 쓰기는 좀 애매한 편. 유일하게 '굴절 방어구' 능력을 지닌 원거리 유닛이므로, 후반에 튼튼하고 탱킹도 어느 정도 가능한 쓸만한 성능의 궁병이 정 필요하다면 기수 유닛 생산 최대치를 잔뜩 올린 뒤 유미 아시가루를 아예 버리고 유미 기수를 다수 운용하는 기행도 ~~일단은~~ 가능하다. 단지 엄청난 석재 소모는 둘째 치고 다른 화약 보병을 놔두고 굳이 이런 비효율적인 조합을 쓸 이유가 없을 뿐. '''[[#여무사|여무사]]는 기병 취급이므로 유미 기수가 아닌 [[#우마 기수|우마 기수]]에 영향 받는 걸 유의'''.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소이 화살([[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공격력 +20%) === 우마 기수 === ||
<-4> {{{+1 '''우마 기수'''}}}[* '우마'는 단순히 타고 다니는 말을 뜻한다. ][br]근거리 중기병 || || '''아이콘''' ||<-3> [[파일:AOE4_Uma_Bannerman.jpg]] || || '''명칭''' ||<-3> 우마 기수[br](Uma Bannerman) || || '''비용''' ||<-3> [[파일:AOE4_Food.png|width=22]]140[[파일:AOE4_Gold.png|width=22]]110 || || '''생산 시간''' ||<-3>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생산 최대치''' ||<-3> [[파일:AOE4_Build_Limit.png|width=22]][[#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 참조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3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270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325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5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3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4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5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18(근접)[br][[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8(돌격)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2(근접)[br][[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33(돌격) ||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28(근접)[br][[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41(돌격) || || '''횃불 공격력'''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5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18 ||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23 || || '''공격 사거리''' ||<-3> 0.2875 타일(근접), 1.0375 타일(돌격), 1.25 타일(횃불)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50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12초(횃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3>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1.375초(근접), [[파일:AOE4_Stat_Attack_Speed.png|width=22]]2.00초(횃불)[br]{{{#!folding [자세한 수치 보기] 근접 : 선딜 0.5초, 쿨다운 0.875초[br]횃불 : 선딜 0.75초, 1.25초}}} || || '''이동 속도''' ||<-3>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625 타일/초[br][[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95 타일/초(돌격) || || '''시야 범위''' ||<-3> 6.22 타일 || || '''승급 비용''' ||<-3> 시대 발전 시 자동 승급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Charge.png|width=30]] '''랜스 차지'''[*미표기] : [[#기마 사무라이|기마 사무라이]]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Deflective_Armor.png|width=30]] '''굴절 방어구(Deflective Armor)''' : [[#사무라이|사무라이]]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Banner_Cavalry.png|width=30]] '''우마 기수 오라(Uma Bannerman Aura)''' : "기병 유닛 공격력을 +15% 증가시키는 오라입니다. 사망 시 깃발이 떨어지며 30초 동안 동일한 오라를 제공합니다." * 6 타일 범위 내 모든 아군 '''기병''' 유닛에게 ([[파일:AOE4_Stat_Melee_Attack.png|width=22]]근거리,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원거리 및 [[파일:AOE4_Stat_Fire_Attack.png|width=22]]횃불 공격력 +15%) 효과 상시 적용. * 기수 유닛 사망 시 동일한 효과를 30초 동안 잠시 제공하는 깃발 오브젝트를 떨어뜨림. [[#기마 사무라이|기마 사무라이]]와 동일하게 무장한 하타모토 근거리 중기병 유닛. 기반 성능은 체력을 제외하면 기마 사무라이와 크게 차이 없으며 생산 가격도 동일. 우마 기수의 핵심은 [[#다이묘 시스템|생산 최대치만 빠르게 확보]]하면 성주 시대 유닛인 기마 사무라이와 다르게 '''봉건 시대부터 운용 가능한 중기병'''이란 점이다. 최대한 빨리 뽑으면 1~2기 정도지만 비슷한 역할의 잉글랜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잉글랜드#국왕|국왕]]이상으로 프랑스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프랑스인#왕실 기사|왕실 기사]] 및 몽골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몽골#케식|케식]]처럼 초반 견제용 중기병이 생기는 셈이며, 같이 뽑히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기마병|기마병]]도 버프하므로 상당한 타이밍 강점을 준다. 꼭 기마병과 조합하지 않아도 보병 버프는 못 해주지만 다른 2시대 보병과 조합하기도 좋아 [[#일본도 기수|일본도 기수]]나 우마 기수 중 뭘 먼저 뽑을지 충분히 고민할만하다. ~~일단 유미 기수는 아니다~~ 봉건 견제 타이밍 이후에도 여전히 버프 능력이 있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중기병|중기병]]의 상위호환 유닛이므로 무난하게 좋다. 기마 사무라이 및 기마병과의 조합도 물론 좋지만 궁기병 유닛인 [[#여무사|여무사]]와도 같이 돌아다니며 지원하기 좋기 때문에 중후반 이후에도 애용하게 될 유닛이다. 단, '카부라-야' 능력으로 이속이 빨라지는 여무사와, '도마루 갑옷' 고유 기술로 이속이 빨라지는 기마 사무라이와 달리 '''우마 기수는 이속을 늘리는 방법이 없다'''는 걸 유의할 것. 같이 묶어서 명령을 내리면 해당 유닛들이 우마 기수의 속도에 맞춰 이동하므로 기껏 기술 연구해 확보한 이속 장점이 없어지는 것과 같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사관학교(군사 건물에서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생산 시간 -25%), 생물학([[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 특수 유닛 == === 불교 승려 === ||
<-2> {{{+1 '''불교 승려'''}}}[br]종교 유닛 || || '''아이콘''' || [[파일:AOE4_Buddhist_Monk.jpg]] || || '''명칭''' || 불교 승려[br](Buddhist Monk) || || '''비용''' || [[파일:AOE4_Gold.png|width=22]]100 || || '''생산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9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이동 속도'''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25 타일/초[* 유물을 들고 있을 시 25% 감소] || || '''시야 범위''' || 6.67 타일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Healing.png|width=30]] '''치료(Heal)'''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와 동일 * [[파일:AOE4_Relic_Pickup.png|height=30]] / [[파일:AOE4_Relic_Drop.png|height=30]] '''유물 수집/배치'''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Conversion.png|width=30]] '''전향(Conversion)''' : "이 수도사의 사정 거리 안에 있는 적 유닛을 전환하려 시도합니다." * '''발동 조건''' : 불교 승려가 유물을 들고 있어야 함, 해당 유물의 쿨다운이 없어야 함. * '''시전 시간''' : 시전 시간 6초, 시전 중에는 이동 불능, 시전 완료 후 해당 유물에 120초 쿨다운 적용. * '''효과''' : 약 4 타일 원형 범위 내 '''영웅/공성/종교 유닛을 제외'''한 모든 적 또는 중립 지상 유닛이 아군의 소유권으로 넘어옴, '''아군의 인구수가 이미 최대치일 시 인구수를 초과하는 전향된 모든 유닛은 즉사''', 시전 도중 범위 내 모든 아군 유닛에게 (모든 공격력 +50%) 효과 적용. * [[파일:AOE4_Ability_Sohei.png|width=30]] [[소헤이|'''소헤이의 경전(Sohei's Sutra)''']] : "60초 동안 적의 공격력을 50% 감소시킵니다." * '''발동 조건''' : '''공성/종교/선박 유닛 제외''', 시전 가능한 적군 유닛 대상이 6.25 타일 범위 내에 있을 시 상시 자동 시전, 수동 시전 가능. * '''시전 시간''' : 시전 시간 약 1초, 지속 시간 60초, 쿨다운 약 2초. 최대 '''16기'''의 적군 유닛을 감소된 상태로 유지 가능. * '''효과''' : 지속 시간 동안 해당 적군 유닛에게 (모든 공격력 -50%) 효과 적용. 성주 시대 [[#평등함의 사원|'평등함의 사원' 랜드마크]]를 건설하여 불교를 선택한 경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를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종교 유닛. 일반 종교 유닛보다 더 싼 생산 가격과 기본적으로 경보병 수준으로 더 빠른 이동 속도를 지니고 있다. [[#신도 사제|신도 사제]]와 다르게 불교 승려의 주요 차별점은 승려 유닛의 자체 특수 능력에서 생긴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유 능력은 '소헤이의 경전'으로, 아군 군사 유닛을 강화하는 신성 로마 제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신성 로마 제국#고위 성직자|고위 성직자]] 유닛의 '성스러운 감화' 능력과 정반대로 '''적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약화시키는 디버프 전용 능력'''이다. '성스러운 감화' 능력과 시전 방식이나 걸리는 시간도 정확히 똑같으며, 대신 시전 사거리는 '''6.25 타일'''로 '감화'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아군 유닛 뒤에 숨어서 안정적으로 디버프를 걸어 줄 수 있다. 역시나 [[자동 시전]] 능력이므로 따로 컨트롤하지 않아도 사거리 범위 내 적군 유닛에게 상시 시전하며, '치료' 능력의 자동 시전 토글 기능을 끄면 치료를 안하고 오직 디버프에만 집중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바꿔 쓰기 편하다. 신롬의 '감화'처럼 한명씩 따로 시전하기 때문에 다수의 군사 유닛 대상으로 쓰기엔 효율이 썩 높지 않지만, '''영웅 유닛을 포함'''하고 공성, 종교, 선박 유닛을 제외한 모든 유닛 상대로 디버프가 가능하므로 강력한 영웅 유닛과 높은 능력치의 동료 유닛을 뽑는 잔 다르크 문명에게 매우 유효하다. 마찬가지 이유로 유닛 한명마다 수치가 높은 용의 기사단 문명이나 중기병을 대체하는 고성능의 고유 유닛들 및 델리 술탄국의 코끼리 유닛들 상대로도 매우 쓸모 있다. 중요한 점으로, 종교 유닛 대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희의 유산 '''소림 수도사 상대로는 전혀 안 먹힌다'''. 또 다른 차별점으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유물|유물]]이 필요한 '전향' 능력 시전 시, 해당 능력 범위 내 모든 아군 유닛이 시전 시간 동안 공격력이 50% 더 늘어나는 버프 효과를 추가로 발휘한다. 유물을 잃어버릴 위험이 높아 공세용으로 쓰기엔 부적합하지만, 본진 방어용이나 유물을 집으러 가는 승려의 호위 병력을 버프시키는 목적으로 쓰기 좋다. '전향' 자체가 많이 쓰이는 능력은 아니지만 일단 이런 게 있다는 걸 기억하는 것이 좋다. 이것과 별개로 값싼 생산 가격과 기본 이속이 '행군 훈련' 고유 기술을 받은 신롬 고위 성직자처럼 높은 상태로 시작하므로 유물 확보에도 어느 정도 이점이 있지만 좀 더 본격적으로 강화된 타 문명의 고유 종교 유닛 상대로는 유물을 확보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씹사기 소림 수도사라던가~~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약초([[파일:AOE4_Ability_Healing.png|width=22]]치료 속도 +60%), 신앙심([[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40) === 신도 사제 === ||
<-2> {{{+1 '''신도 사제'''}}}[br]종교 유닛 || || '''아이콘''' || [[파일:AOE4_Shinto_Priest.jpg]] || || '''명칭''' || 신도 사제[br](Shinto Priest) || || '''비용''' || [[파일:AOE4_Gold.png|width=22]]150 || || '''생산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9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이동 속도'''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125 타일/초[* 유물을 들고 있을 시 25% 감소] || || '''시야 범위''' || 6.67 타일 || * '''보유 능력''' * [[파일:AOE4_Ability_Healing.png|width=30]] '''치료(Heal)'''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와 동일 * [[파일:AOE4_Relic_Pickup.png|height=30]] / [[파일:AOE4_Relic_Drop.png|height=30]] '''유물 수집/배치'''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와 동일 * [[파일:AOE4_Ability_Conversion.png|width=30]] '''전향(Conversion)''' : 일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와 동일 * [[파일:AOE4_Yorishiro.png|width=30]] '''요리시로 배치(Place Yorishiro)''' * 오직 신도 사제 유닛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요리시로|요리시로]] 오브젝트를 수집 가능, 수집한 뒤 해당 플레이어 소유의 건물에 배치 가능. * 요리시로 배치 시 건물 종류에 따라 해당 건물에 하단 특수 효과를 제공. 이미 배치된 건물에 중복 배치 불가. '''랜드마크 건물 배치 불가'''. 배치된 요리시로는 영구히 소모됨.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 : 모든 생산 속도 +25%[* 주민 유닛의 생산 시간이 16초로 줄어든다. ] * [[#농가|농가]] : 분당 [[파일:AOE4_Food.png|width=22]]75 자원 생성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제재목 캠프|제재목 캠프]] : 분당 [[파일:AOE4_Wood.png|width=22]]75 자원 생성 * [[#제련소|제련소]] : 분당 [[파일:AOE4_Gold.png|width=22]]75 자원 생성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군사 건물|부두를 포함한 군사 건물]] : 모든 생산 및 연구 속도 +200%[* 즉, '''3배''' 빨라진다.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불가사의|불가사의]]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내구도 +3,000 성주 시대 [[#떠다니는 성문|'떠다니는 성문' 랜드마크]]를 건설하여 신토를 선택한 경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도사|수도사]]를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종교 유닛. [[#불교 승려|불교 승려]]와 다르게 일반 종교 유닛과 수치 상 차이점은 전혀 없고, 오직 해당 랜드마크에서 공짜로 생성되는 '''요리시로'''를 다룰 수 있다는 점이 제일 중요하다. ~~요리시로 원툴~~ 대부분의 경우 가장 먼저 요리시로를 배치할 건물은 당연히 마을 회관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주민|주민]] 생산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가장 경제력을 높이기 쉬운 방법 취급 받으므로 랜드마크를 짓자마자 나오는 2개 중 하나를 먼저 회관에 박거나, 멀티 회관을 지었다면 2채 회관 모두 한번에 강화가 가능하다. 중국인 문명의 송 왕조나 프랑스인 문명의 특성, 아바스 왕조의 '신선 식품' 고유 기술과 비교할만한 상당히 좋은 효과지만 성주 시대에 나온다는 점은 약간 늦은 감이 있다. 만약 주민 생산 가속보다 좀 더 직관적인 분당 자원 수입을 원하면 자원 보관 건물에 박아 영구히 인구수가 필요 없는 수입을 늘릴 수도 있으며, 중국인 제국 관원의 '감독' 능력처럼 원하는 군사 건물의 작업 속도를 '''3배'''로 올리거나 불가사의 건물의 내구도까지 늘리는 식으로 유연하게 여러가지 건물의 강화가 가능하다. 요리시로 효과는 상당히 강력하지만 한번 넣으면 요리시로를 '''영구히 소모'''하며, 요리시로 강화를 받은 건물이 만약에 '''파괴된다면 다시는 되찾을 수 없으니''' 배치할 때 주의를 요한다. 랜드마크 항목에서 이미 서술된 것처럼 시간만 계속 끌면 무조건 요리시로가 더 나오므로, 장기전 상황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인구수 최대치를 훨씬 초월해 지속적으로 영구 자원 수입을 늘릴 수 있다는 일본인 문명만의 상당한 강점이 생긴다. 요리시로 오브젝트 자체는 유물처럼 소유권이 없는 중립 취급이므로 다대다 팀전에서 신토를 선택한 같은 일본인 문명이 있다면 요리시로를 나눠 사용하거나 ~~본진에 있는데 그럴 일은 없겠지만~~ 적 일본인 문명이 탈취할 수도 있다. [[#불교 승려|불교 승려]]와 다르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유물|유물]] 확보에 도움 되는 부분이나 추가 능력은 실질적으로 전혀 없지만 요리시로가 아무리 좋아도 유물 확보에 손 놓고 있지는 말자. 유물을 통한 추가 수입원은 여전히 중요한 부분이다. 요리시로([ruby(憑代,ruby=よりしろ)])란 [[신토]]에서 사용되는 단어로, 빙대 또는 의대(依代)라고도 불리며 '어떤 것을 대신하여 빙의하는'이란 한자 뜻처럼 신령, 즉 [[카미]]가 [[빙의|깃들 수 있는]] 물체를 뜻한다. 주로 나무, 돌 같은 자연물을 요리시로 취급하며, 신령이 깃든 요리시로는 [[신토#신체(神體)와 신앙|신체(神体)]]가 된다. ~~진짜로 신이 지켜 주는 나라~~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약초([[파일:AOE4_Ability_Healing.png|width=22]]치료 속도 +60%), 신앙심([[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40) === 보물 마차 === ||
<-2> {{{+1 '''보물 마차'''}}}[br]일꾼, 기병 또는 선박[* 지상이나 해상에서 움직이는 것에 맞춰 태그가 바뀐다. ] || || '''아이콘''' || [[파일:AOE4_Treasure_Caravan.png]] || || '''명칭''' || 보물 마차[br](Treasure Caravan) || || '''생산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0초 || || '''체력'''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300 || || '''근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Melee_Armor.png|width=22]]0 || || '''원거리 방어''' || [[파일:AOE4_Stat_Ranged_Armor.png|width=22]]0 || || '''이동 속도'''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00 타일/초 || || '''시야 범위''' || 7.78 타일 || * '''해당 유닛은 명령을 내릴 수 없고 자동으로 스스로 이동함'''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생물학([[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체력 +20%) == 고유 건물 == === [[고민가|농가]] === ||
<-6> [[파일:AOE4_Farmhouse.jpg]][br]'''{{{+1 농가}}}[br](Farmhouse)'''[br]인구 건물 || || '''시대''' || 암흑 시대 || '''건설 비용''' || [[파일:AOE4_Wood.png|width=22]]50 || '''건설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5초 || || '''내구도'''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750 || '''크기''' || 2 × 2 || '''인구수 제공''' || [[파일:AOE4_Population_Cost.png|width=22]]10 || || '''시야 범위''' ||<-5> 3.33 타일 || ||<-6> {{{#!folding [테크 트리 보기] ||
<|2> 암흑[br]시대 || [[파일:AOE4_Towara.jpg|width=48]] || [[파일:AOE4_Survival_Techniques.jpg|width=48]] || || 토와라 || 생존 기술 || || || ↓ || || ||<|2> 봉건[br]시대 || [[파일:AOE4_Takezaiku.jpg|width=48]] || [[파일:AOE4_Professional_Scouts.jpg|width=48]] || || 다케자이쿠 || 전문 정찰병 || || || ↓ || || ||<|2> 성주[br]시대 || [[파일:AOE4_Fudasashi.jpg|width=48]] || || || 후다사시 || ||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집|집]]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제분소|제분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일본인 고유 인구 및 자원 보관 건물.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과 [[#제련소|제련소]] 건물과 함께 일본인 문명의 독특한 경제 구조를 상징하는 건물로, 건설 가격 및 시간은 집과 동일하나 제분소 역할까지 수행하므로 장기적으로 목재를 아낄 수 있는 상위호환의 구성이다. 모든 문명은 시작하자마자 인구수에 생산이 막히지 않기 위해 바로 집을 건설하는 만큼, 일본인 문명은 단순히 주민 1기를 열매 나무 같은 시작 지점 근처의 식량 자원에 보내 농가를 건설하고 바로 식량을 수집하며 최대 인구수까지 동시에 늘리는 편한 시작을 보인다. 식량 관련 경제 기술 또한 [[#고유 기술|고유 기술]]로 대체되며 모든 농가 건물에서 연구가 가능하다. 해당 기술들은 값싼 연구 비용으로 암흑 시대부터 열매 수집 속도를 크게 늘리고 이동 속도와 자원 운반량까지 조금씩 늘리기 때문에, 열매 보너스를 가진 문명들과 비슷하게 열매 나무가 차선책이 아닌 매력적인 초중반 식량 수급원으로 바뀔 뿐만 아니라 열매를 소모하면서 기존 건물과 거리가 멀어지면 어차피 지어야 할 농가 건물을 더 붙여 지어서 수집 효율까지 최적화가 가능하다. 보관 건물과 거리가 멀어지며 효율이 떨어지는 사슴 같은 자원도 마찬가지 이유로 더 효율적인 수집이 가능하며, 주변 자원이 전부 소모되면 큰 의미가 없어지는 기존 보관 건물들과 다르게 '''인구수 제공 건물'''이므로 더 많이 지어도 전혀 목재 낭비가 아니게 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타 문명이 보통이라면 잘 쓰지 않는 방식으로 해안가나 강가에 농가 건물을 지어놓고 주민으로 생선을 잡아 보관할 수도 있으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어선|어선]]의 [[#문명 특성|생산 가격 할인 효과]]와 더불어 물맵에서도 일본인 문명이 준수한 식량 경제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일본인의 마을 회관은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으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농장|농장]] 수집 속도를 늘리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범위를 최대한 활용하고 주민을 보호할 겸 회관 근처에 두껍게 농장을 둘러쌓으며 건설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때 농가를 농장 근처에 붙여 건설하면 보관 건물이 더 많아지는 셈이라 농장의 효율도 올라가는 부차적인 효과가 있다. 이런 식으로 편한 건설과 쾌적한 운영이 가능하게 해주며, 자연스럽게 실제 중세 일본의 농업이나 어업 마을 같은 형식으로 본진을 건설하게 된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궁정 건축가([[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내구도 +30%) === 제련소 === ||
<-6> [[파일:AOE4_Forge.jpg]][br]'''{{{+1 제련소}}}[* 현재 한국어판에서 "만들기"로 번역된 [[발번역|치명적인 오역]]이 있다. ~~가장 먼저 건설하는 건물 중 하나인데 이딴 식으로 번역하다니~~][br](Forge)'''[br]경제 건물 || || '''시대''' || 암흑 시대 || '''건설 비용''' || [[파일:AOE4_Wood.png|width=22]]50 || '''건설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20초 || || '''내구도'''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750 || '''크기''' || 3 × 3 || '''시야 범위''' || 3.33 타일 || ||<-6> {{{#!folding [테크 트리 보기] ||
<|2> 암흑[br]시대 || [[파일:AOE4_Tatara.jpg|width=48]] || || || || || || || 타타라 || || || || || || || || ↓ || || || || || || ||<|2> 봉건[br]시대 || [[파일:AOE4_Hizukuri.jpg|width=48]] || [[파일:AOE4_Specialized_Pick.jpg|width=48]] || [[파일:AOE4_Steeled_Arrow.jpg|width=48]] || [[파일:AOE4_Fitted_Leatherwork.jpg|width=48]] || [[파일:AOE4_Iron_Undermesh.jpg|width=48]] || [[파일:AOE4_Siege_Engineering.jpg|width=48]] || || 히즈쿠리 || 특수[br]곡괭이 || 강철 화살 || 맞춤형[br]가죽옷 || 철제[br]언더메시 || 공성 기술 || || || ↓ || ↓ || ↓ || ↓ || ↓ || || ||<|2> 성주[br]시대 || [[파일:AOE4_Kobuse-gitae.jpg|width=48]] || [[파일:AOE4_Acid_Distillation.jpg|width=48]] || [[파일:AOE4_Balanced_Projectiles.jpg|width=48]] || [[파일:AOE4_Insulated_Helm.jpg|width=48]] || [[파일:AOE4_Wedge_Rivets.jpg|width=48]] || [[파일:AOE4_Military_Academy.jpg|width=48]] || || 고부세기태 || 산성[br]추출법 || 균형 잡힌[br]발사체 || 단열 투구 || 쐐기형 못 || 사관학교 || || || ↓ || ↓ || ↓ || ↓ || ↓ || || ||<|2> 제국[br]시대 || [[파일:AOE4_Yaki-ire.jpg|width=48]] || [[파일:AOE4_Cupellation.jpg|width=48]] || [[파일:AOE4_Platecutter_Point.jpg|width=48]] || [[파일:AOE4_Master_Smiths.jpg|width=48]] || [[파일:AOE4_Angled_Surfaces.jpg|width=48]] || || || 야키-이레 || 회취법 || 판금 절단[br]화살촉 || 장인[br]대장장이 || 경사면 || || }}} || [[#농가|농가]]에 이어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대장간|대장간]]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채광 캠프|채광 캠프]] 역할을 합친 일본인 고유 기술 및 자원 보관 건물. 농가와 마찬가지로 건설 가격과 시간은 채광 캠프랑 동일하기 때문에, 사실상 '''공짜 대장간 건물'''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늘어나는 효과이며 기존 대장간 건물과 다르게 '''암흑 시대'''부터 건설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식량 경제 기술처럼 근거리 공격력 관련 기술이 일본인의 [[#고유 기술|고유 기술]]로 대체되며 암흑 시대에 추가로 연구 가능한 근공업이 있어 타 문명보다 더 많은 4단계까지 강화가 가능하다. 대장간 건물 자체가 목재 150을 소모하는 꽤 비싼 건물이라 농가 이상으로 목재를 절약하는 효과와 함께 대장간을 따로 건설하는 것을 신경 쓸 필요 없이 암흑~봉건 타이밍에 견제 넣기 좋은 일본인의 보병 병종을 빠르고 쉽게 강화하는 장점까지 제공한다. 건물 크기는 대장간(4 × 4) 및 채광 캠프(2 × 2)의 딱 중간인 (3 × 3) 사이즈로, 기존 보관 건물보다 크기가 한 칸 더 넓어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광물 자원|광물 자원]]에 더 긴 면이 맞닿게 된다. 자원 최적화 면에서 한번에 더 많은 주민이 제련소에 붙어 자원을 보관 가능하고, 광물 자원 옆의 더 좁은 공간에 집어 넣지 못하거나, 금광과 석광이 적당히 가깝다면 제련소 1채로 두가지 자원을 전부 채광할 수 있는 식으로 소소한 장단점이 있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궁정 건축가([[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내구도 +30%) === 성 === ||
<-6> [[파일:AOE4_Castle.jpg]][br]'''{{{+1 성}}}[br](Castle)'''[br]방어 건물 || || '''시대''' || 제국 시대 || '''건설 비용''' || [[파일:AOE4_Wood.png|width=22]]300[[파일:AOE4_Stone.png|width=22]]900 || '''건설 시간''' || [[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180초 || || '''내구도''' || [[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5,500 || '''크기''' || 4 × 4 || '''유닛 수용량''' ||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15기 || || '''화염 방어력''' || [[파일:AOE4_Stat_Fire_Armor.png|width=22]]5 || '''시야 범위''' ||<-3> 9.11 타일[*은폐탐지] || ||<-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각종 공격 수치 보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공격 종류''' || 유닛 수용시 || 화전 || 노포 || 대포 || 끓는 기름 || || '''공격력'''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10 × ([[파일:AOE4_Stat_Garrisoned.png|width=22]]수용된 유닛 수)[br](0.25~0.75초에 걸쳐 연속 발사)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80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40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png|width=22]]70 || [[파일:AOE4_Stat_Siege_Attack.png|width=22]]30[*공성] || || '''추가 공격력''' || 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10 || 보병 및 기병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 110[br]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330 || 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40 || 선박 [[파일:AOE4_Plus_Sign.png|width=22]]70 || - || || '''방사피해 범위''' ||<-3> - || [[파일:AOE4_Stat_Area_of_Effect.png|width=22]]0.375 타일(원형)[br](100% 피해량 적용) || [[파일:AOE4_Stat_Area_of_Effect.png|width=22]]1.1 타일(원형)[br](100% 피해량 적용) || || '''공격 사거리''' || 8 타일 ||<-2> 9 타일 || 9.5 타일 || 1.5 타일 || || '''공격 속도[br](표기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2.62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12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62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7.12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9.62초 || || '''공격 속도[br](엔진 수치)'''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2 + (0.25~0.75)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00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4.50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7.00초 || [[파일:AOE4_Stat_Ranged_Attack_Speed.png|width=22]]9.50초 ||}}}}}}}}} || ||<-6> {{{#!folding [테크 트리 보기] ||
<|2> 제국[br]시대 || [[파일:AOE4_Springald_Upgrade.jpg|width=48]] || [[파일:AOE4_Cannon_Upgrade.jpg|width=48]] || [[파일:AOE4_Boiling_Oil.jpg|width=48]] || || 스프링갈드[br]배치 || 대포 배치 || 끓는 기름 ||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성채|성채]]를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방어 건물. 성채와 다르게 '''제국 시대'''부터 건설이 가능하며, 내구도가 500 더 높은 대신 목재를 300이나 더 소모하고 기본 공격 무기가 화살이 아닌 [[#아타케부네|아타케부네]]처럼 봉화시 화전을 발사한다. 나머지 추가로 배치 가능한 방어 무기의 성능, 연구 및 가격은 전부 일반 성채와 동일. 고유 방어 무기인 화전의 성능은 꽤 독특하다. 노포와 동일한 공격 사거리와 공격 속도가 비슷할 정도로 느리지만, '''대포보다 높은 원거리 공격력'''에 모든 보병, 기병 및 선박 상대로 '''엄청난 추가 피해'''를 준다. 어지간한 지상 유닛은 한방에 삭제시킬 수 있고 선박 상대로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스프링갈드 선박|공격선]]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전투선|전투선]] 같은 더 튼튼한 군함을 제외하고 전부 한방컷이 나오는 원샷원킬에 가까운 화력을 자랑한다. 특히 선박 상대로 많아야 2~3방에 침몰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안선에 잘 배치해두면 마치 저격 포탑처럼 쓰며 철벽 방어를 보인다. 간접적으로 해전에 이득이 있는 구성인 셈. 화약 무기 같지만 다른 방어 무기와 똑같이 대학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대학|'화학' 기술]]이 아니라 제련소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대장간|원공업]]으로 강화되는 점을 유의. 하지만 화전의 준수한 성능을 고려해도 상위호환이라기 보다는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으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건물#마을 회관|마을 회관]]을 크게 강화하는 대신에 받는 '''운영 상 페널티'''에 더 가깝다. 안 그래도 더럽게 비싼 성채 건물인데 여기에 목재까지 더 퍼먹어서, 성 건설 가격이 마을 회관을 1채 더 짓고 '다이묘 저택'으로 업글까지하는 비용을 합친 수준이라 '''가성비가 심각하게 낮다'''. 일본인 문명 자체가 석재 소모가 많은 편인데, 봉화시가 선박을 저격할만한 물맵이 아니면 선뜻 건설하기가 꺼려진다. 물론 아무리 비싸도 공격 능력 자체는 '막부 성'까지 강화한 마을 회관보다는 일단 더 좋기 때문에, 제국 시대 방어 전선 구축에 필요하다면 어쨌든 억지로도 건설은 해야 한다. * '''관련 업그레이드''' * '''공통''' : 끓는 기름(돌 성벽 탑과 성채에 끓는 기름 공격 추가 배치), 궁정 건축가([[파일:AOE4_Stat_Health.png|width=22]]내구도 +30%) == 고유 기술 == ||
<|4> [[파일:AOE4_Towara.jpg]] ||'''토와라(Towara)'''[* 영어 원문이 틀린 경우로, 실제 일본어 단어는 '타와라'다. 섬([ruby(俵,ruby=たわら)]), 즉 쌀이나 기타 물건을 넣기 위해 볏짚을 엮어 만든 자루를 뜻한다. ] || ||암흑 시대 / 농가 및 쿠라 창고 랜드마크 || ||[[파일:AOE4_Wood.png|width=22]]25[[파일:AOE4_Gold.png|width=22]]5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초 || ||주민 유닛의 모든 자원 운반량 +3 및 이동 속도 +7%[br]주민 유닛의 열매 나무 수집 속도 +25% || ||<|4> [[파일:AOE4_Takezaiku.jpg]] ||'''다케자이쿠(Takezaiku)'''[* 죽세공([ruby(竹細工,ruby=たけざいく)]) : 즉 '죽공예'로, 대나무로 만든 다양한 물건을 뜻한다. ] || ||봉건 시대 / 농가 및 쿠라 창고 랜드마크 || ||[[파일:AOE4_Wood.png|width=22]]50[[파일:AOE4_Gold.png|width=22]]1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40초 || ||주민 유닛의 모든 자원 운반량 +3 및 이동 속도 +7%[br]주민 유닛의 열매 나무 수집 속도 +25% || ||<|4> [[파일:AOE4_Fudasashi.jpg]] ||'''후다사시(Fudasashi)'''[* [ruby(札差,ruby=ふださし)] : 에도 시대에 녹미, 즉 봉급으로 받는 쌀을 수령하여 돈으로 바꿔 주거나 각종 교역품 및 화물의 중량을 검사하던 측량사를 뜻한다. 세금 징수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고리대금 같은 돈놀음도 자주 했다. ] || ||성주 시대 / 농가 및 쿠라 창고 랜드마크 || ||[[파일:AOE4_Wood.png|width=22]]150[[파일:AOE4_Gold.png|width=22]]25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45초 || ||주민 유닛의 모든 자원 운반량 +3 및 이동 속도 +7%[br]주민 유닛의 열매 나무 수집 속도 +25% || 제분소 건물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제분소|'외바퀴 수레' 및 식량 수집 강화 기술]]을 전부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기술. 제분소 역할인 [[#농가|농가]] 건물에서 연구 가능하며 전반적으로 가격이 낮고 시대별로 연구가 빠르게 가능한 대신 '외바퀴 수레' 효과를 쪼개서 나눈 듯이 있고, 식량 수집 속도 중 오직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열매|열매 나무]]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농장의 식량 수집 효율을 올리는 수단은 [[#다이묘 시스템|다이묘 시스템]]과 마을 회관에서 제공하는 버프 오오라로 치환되며, 일본인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자원#양|'''양''']] 가축 자원의 수집 속도를 전혀 올릴 수 없어 타 문명권과 다르게 '''양이 가장 낮은 효율의 식량 수급원이 된다'''. 전작의 일본이 가축 수집이 아예 불가능했던 점을 간접적으로 재현한 셈.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주민|주민]] 유닛의 이동 속도는 각 업글마다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125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20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29 → [[파일:AOE4_Stat_Speed.png|width=22]]1.38 타일/초로 늘어나 일본인 주민은 경보병 이상으로 전 문명권 중 '''가장 빨리 움직이는 상시 속도를 보유''' 한다. 상대방의 견제가 들어올 때 강화된 다이묘 마을 회관 건물과 유닛 수용량을 제공하는 [[#쿠라 창고|'쿠라 창고' 랜드마크]] 같은 이점과 조합해 큰 피해 없이 막기가 쉬워진다. ||
<|4> [[파일:AOE4_Tatara.jpg]] ||'''타타라(Tatara)'''[* 도비([ruby(蹈鞴,ruby=たたら)]) : [[풀무|골풀무]]를 뜻하는 말로 일본 특유의 전통 제철 방식을 타타라 제철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암흑 시대 / 제련소 || ||[[파일:AOE4_Gold.png|width=22]]75[[파일:AOE4_Stone.png|width=22]]25[[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30초 || ||모든 비공성 유닛의 근거리 공격력 +1 || ||<|4> [[파일:AOE4_Hizukuri.jpg]] ||'''히즈쿠리(Hizukuri)'''[* [ruby(火造,ruby=ひづく)]り : 불 다듬질, 즉 [[단조(금속 가공)|금속을 벼리는 과정]]을 뜻한다. ] || ||봉건 시대 / 제련소 || ||[[파일:AOE4_Gold.png|width=22]]100[[파일:AOE4_Stone.png|width=22]]75[[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모든 비공성 유닛의 근거리 공격력 +1 || ||<|4> [[파일:AOE4_Kobuse-gitae.jpg]] ||'''고부세기태(Kobuse-gitae)'''[* 코부세기타에(甲伏せ鍛え), 즉 코부세 방식의 금속 가공을 뜻하며, 코부세는 [[일본도]]의 칼날을 만들 때 강철(하가네)과 연철(신가네)을 조합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 || ||성주 시대 / 제련소 || ||[[파일:AOE4_Gold.png|width=22]]200[[파일:AOE4_Stone.png|width=22]]125[[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모든 비공성 유닛의 근거리 공격력 +1 || ||<|4> [[파일:AOE4_Yaki-ire.jpg]] ||'''야키-이레(Yaki-ire)'''[* 소입([ruby(燒入,ruby=やきいれ)]) : [[담금질]]을 뜻하며, 일본도 제작 과정 중에서 진흙을 발라 물이나 기름에 담그는 과정을 말한다. 이것을 통해 일본도 특유의 [[하몬]] 무늬가 생기게 된다. ] || ||제국 시대 / 제련소 || ||[[파일:AOE4_Gold.png|width=22]]275[[파일:AOE4_Stone.png|width=22]]175[[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모든 비공성 유닛의 근거리 공격력 +1 || 대장간 건물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대장간|근거리 공격력 기술 전반]]을 전부 대체하는 일본인 [[#제련소|제련소]] 건물의 고유 기술들. 일반 대장간 근공업과 다르게 4단계까지 올릴 수 있으나, 식량과 금을 소모하는 기존 기술과 다르게 금과 '''석재'''를 소모하며 연구 비용 전체가 많이 다른 차이점을 보인다. 타 문명과 다르게 대장간 역할인 제련소 고유 건물이 암흑 시대부터 건설 가능하고 사실상 무조건 바로 짓게 되므로 거기에 맞춰 암흑 시대 전용의 근공업이 하나 추가로 더 있다고 이해하면 빠르다. '타타라'까지는 [[#여전사|여전사]], [[#사무라이|사무라이]] 및 [[#시노비|시노비]]를 이용한 암흑~봉건 타이밍의 견제를 위해 빠르게 연구해볼 가치가 있지만 그다음 단계 기술부터는 [[#하타모토 유닛|기수 유닛]]도 확보할 겸 [[#다이묘 시스템|마을 회관 업그레이드]]에 쓸 석재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좋다. ||
<|4> [[파일:AOE4_Copper_Plating.jpg]] ||[[텟코센|{{{#yellow '''구리 도금(Copper Plating)'''}}}]] || ||성주 시대 / 부두 || ||[[파일:AOE4_Wood.png|width=22]]75[[파일:AOE4_Gold.png|width=22]]15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모든 선박 유닛의 원거리 및 화염 방어력 +2[* 현재 2% 올린다고 써있는 오타가 있다.] || 일본인의 고유 해상 기술. 부두 건물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부두|'선체 장갑' 및 '조선공' 기술]]과 '''중첩 적용'''되며, 해당 기술과 다르게 군함 뿐만 아니라 '''모든 선박 유닛에게 적용'''된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수송선|수송선]]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소이선|소이선]]이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궁병선|궁병선]] 상대로 훨씬 덜 취약해지며, 생산 가격 할인을 받는 일본인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어선|어선]]도 견제에 덜 취약해지기 때문에 나름 좋은 기술이다. 연구 비용은 싸지만 성주 시대에 조금 늦게 나오는 점은 단점. ||
<|4> [[파일:AOE4_Odachi.jpg]] ||[[오오타치|{{{#yellow '''오다치(Odachi)'''}}}]] || ||성주 시대 / 보병 양성소 || ||[[파일:AOE4_Food.png|width=22]]100[[파일:AOE4_Gold.png|width=22]]25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사무라이 유닛에게 보병 유닛 상대로 추가 공격력 +4 추가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신성 로마 제국#고유 기술|신성 로마 제국의 '무거운 철퇴'와 '양손 무기' 고유 기술]]을 조금씩 합친듯한 일본인 '''보병 특화의 핵심 기술'''. [[#사무라이|사무라이]] 유닛에게 '''모든 보병''' 상대로 추가 공격력을 주어 같은 중보병 상대로 우위를 점할 뿐만 아니라 근접 경보병이나 원거리 보병도 손쉽게 베어낼 수 있다. 신롬의 무장병처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중기병|중기병]]까지 밀어버리는 역상성 성능은 아니지만 성주 시대 단 하나의 기술로 '굴절 방어구' 능력 및 [[#일본도 기수|일본도 기수]]와 조합해 최상위권 성능에 가까운 중보병이 생기는 것은 확실히 강력한 점이다. 연구 시 무기 모델링이 나기나타에서 대태도([ruby(大太刀,ruby=おおだち)])로 바뀌며 화려한 검술 모션을 볼 수 있다. ||
<|4> [[파일:AOE4_Nagae_Yari.jpg]] ||'''나가에 야리(Nagae Yari)'''[* 일본어 원문은 장병창([ruby(長柄槍,ruby=ながえやり)]), 즉 '자루가 긴 창'이란 뜻으로 [[장창]]을 말한다. ] || ||제국 시대 / 보병 양성소 || ||[[파일:AOE4_Wood.png|width=22]]150[[파일:AOE4_Gold.png|width=22]]35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창병 유닛의 창 공격 사거리 +20% 및 기병 상대로 추가 공격력 +20%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유닛#창병|창병]]을 강화하는 고유 기술. 아바스 왕조의 창병 고유 기술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아바스 왕조#고유 기술|'밀집 대형']]과 비교하면 훨씬 늦게 나오고 횃불 공격 사거리를 늘리지도 않으며, 가격도 더 비싼 하위호환이지만 기병 상대로 확실히 더 잘 싸우고 일본인의 다양한 보병과 조합하기 좋아지므로 우선순위는 낮지만 상황에 따라 연구하는 것이 좋다. 연구 시 무기 모델링이 실제로 더 긴 [[야리|쥬몬지야리(十文字槍)]]로 바뀐다. '오다치'와 다르게 공격 모션까지 바뀌지는 않는다. 오다 노부나가군이 당대 창병 중에서도 가장 긴 창을 사용했다는 설을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 ||
<|4> [[파일:AOE4_Kabura-ya_Whistling_Arrow.jpg]] ||[[효시|{{{#yellow '''카부라야 효시 화살(Kabura-ya Whistling Arrow)'''}}}]][* 원문은 적시([ruby(鏑矢,ruby=かぶらや)]). ] || ||성주 시대 / 궁사 양성소 || ||[[파일:AOE4_Wood.png|width=22]]75[[파일:AOE4_Gold.png|width=22]]1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여무사 유닛이 범위 내 적군을 발견 시 자동으로 (이동 속도 +10%) 효과를 받는 '카부라-야' 능력 얻음 || '''여무사 운용의 핵심'''. 대단한 효과는 아니지만 값싸게 연구 가능하고 성주 시대에 바로 나오므로 여무사를 운용할 예정이라면 반드시 먼저 연구해두는 것이 좋다. ||
<|4> [[파일:AOE4_Do-maru_Armor.jpg]] ||'''도마루 갑옷(Do-maru Armor)''' || ||제국 시대 / 기병 양성소 || ||[[파일:AOE4_Wood.png|width=22]]75[[파일:AOE4_Gold.png|width=22]]2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60초 || ||기마 사무라이 유닛의 '굴절 갑옷' 능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 속도 +10%) 효과 적용 || [[#기마 사무라이|기마 사무라이]] 유닛의 이동 속도를 늘리는 고유 기술. '카부라야 효시 화살'처럼 대단한 효과는 아니나 적절한 가격으로 중요한 중기병 병과를 강화시키므로 여유가 있다면 바로 연구 해주는 것이 좋다. '''[[#우마 기수|우마 기수]] 유닛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유의'''. 연구 시 기마 사무라이의 갑옷 외형이 [[오오요로이]]에서 [[일본 갑옷|[ruby(동환,ruby=도마루)]([ruby(胴丸,ruby=どうまる)]) 형식]]으로 바뀐다. ~~제국 시대면 토세이구소쿠가 맞겠지만 신경 쓰지 말자~~ ||
<|4> [[파일:AOE4_Oda_Tactics.jpg]] ||'''오다 전술(Oda Tactics)''' || ||제국 시대 / 대학 || ||[[파일:AOE4_Food.png|width=22]]300[[파일:AOE4_Gold.png|width=22]]700[[파일:AOE4_Production_Time.png|width=22]]90초 || ||모든 근거리 보병 유닛의 체력, 기본 공격력 및 횃불 공격력 +20% || 모든 근접 보병을 강화하는 대학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기술#대학|'정예 군대 전술' 기술]]을 대체하는 일본인 고유 기술. 단순히 기존 효과에서 추가로 횃불 공격력까지 강화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좋다. 비슷하게 횃불 공격력을 강화하는 몽골의 '횃불 강화' 고유 기술이나 비잔티움인의 '금융가' 고유 기술보다 훨씬 늦게 나오는 제국 시대 기술이지만, 말리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말리인#그리오 바라|그리오 바라]]의 '공성 축제' 효과나 에오엠 3편의 '오닌의 난' 효과를 받는 일본 중보병들처럼 튼튼한 근접 보병 유닛들이 몰려다니며 건물을 빠르게 불태울 수 있다. '나가에 야리'와 동일하게 오다 노부나가군을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 ~~[[혼노지의 변|고인 드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