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7년 기업]][[분류:아프리카의 항공사]] [include(틀:항공사/아프리카/플래그 캐리어)] ||<-2><:>
<#ffffff> [[파일:에어 탄자니아 로고.svg|width=100%]] || ||<-2><:><#0463AC>'''{{{#white 에어 탄자니아[br]Air Tanzania}}}'''|| ||<:><#ffffff,#2d2f34>'''{{{#0463AC,#ffffff 부호}}}'''||<#ffffff,#2d2f34>[[항공사]] [[호출 부호]] (TANZANIA)[br][[IATA#s-3]] (TC) [[ICAO#s-3]] (ATC)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R8) || ||<:><#ffffff,#2d2f34>'''{{{#0463AC,#ffffff 항공권식별번호}}}'''||<#ffffff,#2d2f34>197 || ||<:><#ffffff,#2d2f34>'''{{{#0463AC,#ffffff 설립년도}}}'''||<#ffffff,#2d2f34>1977년 || ||<:><#ffffff,#2d2f34>'''{{{#0463AC,#ffffff 허브공항}}}'''||<#ffffff,#2d2f34>줄리어스 니에레레 국제공항 || ||<:><#ffffff,#2d2f34>'''{{{#0463AC,#ffffff 보유항공기수}}}'''||<#ffffff,#2d2f34>13 || ||<:><#ffffff,#2d2f34>'''{{{#0463AC,#ffffff 취항지수}}}'''||<#ffffff,#2d2f34>16 || ||<:><#ffffff,#2d2f34>'''{{{#0463AC,#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Twiga Miles || ||<:><#ffffff,#2d2f34>'''{{{#0463AC,#ffffff 항공동맹}}}'''||<#ffffff,#2d2f34>미가입 || ||<:><#ffffff,#2d2f34>'''{{{#0463AC,#ffffff 링크}}}'''||<#ffffff,#2d2f34>[[https://www.airtanzania.co.tz/|[[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airtanzani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airtanzania_atc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linkedin.com/company/air-tanzania-company-limited|[[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irtanzania, 크기=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05IiW6OcipN9RSIsr1AsU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H-TCJ.jpg|width=100%]]}}} || || [[보잉]] [[보잉 787|787-8 드림라이너]] || [목차] [clearfix] == 개요 == 탄자니아의 국영이자 국책 항공사. == 역사 == 1977년,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의 합작 항공사였던 동아프리칸 항공의 파산 이후 에어 탄자니아 공사(Air Tanzania Corporation, ATC)로 설립되었다. [[DC-9]]으로 운항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00]], [[포커 27]]을 도입하며 규모를 키워갔다. 1991년에는 [[에티오피아 항공]]에서 [[보잉 767]]을[* 해당 기체는 1996년,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사건|하이재킹을 당한뒤 연료 부족으로 코모로 제도에 추락했다.]]] 리스했으나 불과 1년만에 수요 부족으로 반납했다. 2002년, 에어 탄자니아 공사는 [[남아프리카 항공]]이 지분의 49%를 매입하며 민영화 되었다. 2003년 사명을 지금의 에어 탄자니아로 변경했으며 킬리만자로, 잔지바르, 요하네스버그에 취항했다. 그러나 기제의 한계, [[케냐항공]]과의 경쟁등의 이유로 심각한 적자를 겪었고 결국 2006년, 다시 국유화 되었다. 이후 [[A320]], [[DHC-8|DHC-8-300]], [[포커 F28]],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500]]등의 기체들을 도입했으나 여러 차례 기제 부족으로 운항을 중단당했다. 2016년 존 마구풀리 대통령의 부임 이후 [[Q400]], [[CS300]], [[보잉 787]]을 주문했으며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2021년 11월 15일, 두바이 에어쇼에서 [[보잉 787]] 1기, [[보잉 767|보잉 767 화물기]] 1기, [[보잉 737 MAX]] 2기를 주문했다. == 마일리지 == Twiga Blue, Silver Selous, Gold Serengeti 3등급으로 분류되는 Twiga Miles라는 프로그램을 제공중이다. == 취항지 == || 국가 || 취항지 || || 부룬디 || 부줌부라 || || 코모로 || 모로니 || || 콩고민주공화국 || 루붐바시 || || 인도 || [[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뭄바이]] || || 케냐 ||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나이로비]] || || 탄자니아 || 아루샤/모시 · 부코바 · 다르에스살람 · 도도마 · 게이타 · 이링가 · 키고마 · 므베야 · 믐판다 · 므완자 · 타보라 · 잔지바르시티 || || 우간다 || 엔테베 || || 짐바브웨 || [[하라레 국제공항|하라레]] || || 잠비아 || 루사카 · 은돌라 ||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 에어버스 || A220-300 || 4 || || ||<|3> 보잉 || 보잉 737-9 MAX || 1 || || || 보잉 767-300F || 1 || || || 보잉 787-8 || 2 || || || 봉바르디에 ||<|2> DHC-8-400 || 3 || || || 드 해빌랜드 캐나다 || 2 || || == 사건 사고 == * 1982년 2월 26일, 보잉 737-200이 5명의 납치범에 의해 납치되었다. 비행기는 이틀에 걸쳐 제다, 아테네를 거친 끝에 런던에 도착했고 2월 28일, 납치범들이 모두 투항하면서 일단락되었다. * 1984년 12월 20일, DHC-6-300이 IFR 훈련비행 도중 추락하며 탑승했던 3명이 모두 사망했다. * 1988년 2월 13일, 보잉 737-200이 4명의 납치범에 의해 납치되었다. 납치범들은 아디스아바바를 거쳐 런던으로 가기를 요구했으나 기장이 급유를 위해 케냐의 로드와르로 우회하는척 출발지였던 다르에스살람에 착륙했다. 동이 튼 후, 납치범들이 다르에스살람에 착륙한것을 알아내고 칼부림을 부렸으나 군에 의해 진압당했다. * 1993년 12월 12일, 포커 27이 착륙도중 랜딩기어가 부러지며 기체 하부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 2010년 3월 1일, 100편 보잉 737-200이 활주로를 이탈하면서 노즈기어가 무너졌다. 탑승했던 52명은 모두 생존했으나 기체는 폐기되었다. * 2012년 4월 9일, 119편 DHC-8-300이 이륙을 중단하던 도중 우측 메인기어가 구덩이와 부딪치며 우측 날개가 부러져나갔다. 탑승했던 39명은 모두 생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