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캐나다의 항공사)] ||<-3> [[파일:에어 캐나다 루즈 로고.svg|width=50%]] || ||<-3> '''{{{#ffffff 에어 캐나다 루즈}}}'''[br]'''{{{#ffffff Air Canada Rouge}}}''' || || '''[[IATA]]'''[br]RV || '''[[ICAO]]'''[br]ROU || '''[[항공사]] [[호출 부호]]'''[br]ROUGE || ||<-2> '''항공권 식별 번호''' || 없음[* [[http://www.iata.org/publications/Pages/code-search.aspx|링크 참조]].] || ||<-2> '''설립''' || [[2012년]] [[12월 18일]] || ||<-2> '''허브 공항''' || [[캘거리 국제공항]][br][[몬트리올 국제공항]][br][[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br][[밴쿠버 국제공항]] || ||<-2> '''보유 항공기 수''' || 29(+21기 주문) || ||<-2> '''취항지 수''' || 49 || ||<-2> '''[[항공동맹]]''' || [[스타얼라이언스]] || ||<-2> '''모기업''' || [[에어캐나다]] || ||<-2> '''마일리지 프로그램''' || 에어로플랜 || ||<-2> '''홈페이지''' || [[http://flyroug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aircanadarou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aircanadaroug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파일:attachment/ac_rouge_a319.jpg|width=100%]] || || [[A320 패밀리|에어버스 A319-112]] || [[캐나다]]의 [[저가 항공사]]이자 레저 항공사. [[에어캐나다]]의 자회사이다. 루즈(Rouge)는 'red'를 뜻하는 프랑스어로, '''프랑스어 그대로 루즈로 발음'''한다.~~루지가 아니다 루지가~~[* 유튜브 동영상 등을 찾아보면 해당 회사 CEO 및 직원들 다 루즈로 발음한다.][* 공식 발음은 루즈가 맞긴 하지만 현업 직원들 중 영어권 지역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대부분 루지로 발음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LuaGQ-_Tuog|루즈로 발음하는 CEO연설 영상]] == 역사 == 2012년 12월에 에어 캐나다 레저 그룹 산하로 출범하여 2013년 7월 1일에 2대의 [[A320 패밀리#s-4.2|A319]]와 2대의 [[보잉 767]]로 첫 운항을 시작했다. 이후 모 기업인 에어 캐나다에 있는 기체들을 이쪽으로 넘겨 총 29대의 기체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2017년까지 21대의 기체를 더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노선망 == 현재 캐나다 국내선은 딱 하나 있다. 밴쿠버 옆의 위성 도시인 애보츠포드와 [[토론토]]를 잇는다. 그 외 국제선은 레저 항공사 답게 캐나다인들이 갈 만한 관광지만 골라 다닌다. === 토론토 출발 === ==== 캐나다 국내선 ==== 애보츠포드 ==== 중미, 카리브 해 방면 ==== 그레나다, 나소, 라 로마나, 리베리아, 몬테고 베이, 바라데로, 사마나 엘 카테이, 산 호세, 산 후안 데 로스 카보스, 산타 클라라, 생마르텡, 올긴, 카요 코코, 칸쿤, 쿠라싸오, 킹스턴, 푸에르토 플라타, 푼타 카나 ==== 남미 방면 ==== 리마[* 2015년 5월 2일 취항.] ==== 유럽 방면 ==== [[더블린 공항|더블린]], 리스본, 맨체스터, 니스,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바르셀로나]], 베네치아, 아테네, 에든버러 ==== 미국 방면 ====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 [[샌디에이고 국제공항|샌디에이고]], [[올랜도 국제공항|올랜도]], 템파, [[피닉스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피닉스]],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눌룰루]] === 몬트리올 출발 === ==== 중미, 카리브해 방면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멕시코시티]][* 2015년 5월 2일 취항.], 산타 클라라, 올긴, 카요 라르고, 카요 코코, 칸쿤, 코슈멜, 포트토프랭스, 푸에르토 플라타, 푼토 카나 ==== 유럽 방면 ==== 니스,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로마]],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바르셀로나]], 베네치아, [[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아테네]] ==== 미국 방면 ====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 [[올랜도 국제공항|올랜도]] === 밴쿠버 출발 === ==== 중미 방면 ==== 푸에르토 바야르타 ==== 미국 방면 ====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앤젤레스]], 마우이,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샌프란시스코]],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앵커리지]], 팜 스프링스, [[피닉스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피닉스]],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눌룰루]] ==== 아시아 방면 ====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2015년 5월 계절편으로 취항.],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나고야]] === 캘거리 출발 === ==== 미국 방면 ====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피닉스]] == 기체 == A319-100 20대와 A320-200 5대, 그리고 A321-200 14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모 기업인 [[에어 캐나다]]에서 넘어온 것들이다. 에어 캐나다 루즈의 A319는 에어 캐나다의 A319보다 16석이 더 많다. 좌석은 A319 기준으로 29인치로 같은 국가 LCC인 [[웨스트젯]]의 31인치에 비교해서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닭장수송~~ == 서비스 == 저가 항공사인 만큼 기내 서비스가 모 회사인 [[에어 캐나다]]와 '''똑같이''' 빈약하다. ~~....[[창렬|어?]]~~ AVOD가 없는 대신 전 기체 [[와이파이]]가 작동되어 개인 별 장비를 가지고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물론 유료다.], [[기내식]]은 유럽행 대서양 횡단 노선과 [[밴쿠버 국제공항|밴쿠버]]발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나고야]]행 계절편 태평양 횡단 노선에서만 제공한다. 이외 노선에서는 기내식을 사 먹어야 되는데, 에어 캐나다의 그것과 동일하다. 이건 북중미 항공사들이 북중미간 노선은 국내선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그렇다. 수하물 정책 또한 에어 캐나다와 동일하다. 루즈는 직접적으로 [[스타얼라이언스]]의 회원사는 아니다. 하지만 [[에어 캐나다]]의 자회사로서 무조건 [[에어 캐나다]]를 통해서만 예약되기 때문에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 간의 마일리지 적립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비슷한 경우로는 Air Canada Express로 예약되는 Jazz Air, Air Georgian 등의 리저널 에어나 피더 서비스가 있다. 이쪽도 [[에어 캐나다]]를 통해서만 예약 가능. 이쪽은 아예 자회사가 아니다.][* 에어 캐나다 루즈와 [[에어부산]]이 다른 점은 루즈는 에어캐나다를 통해서만 예약되지만, 에어부산은 에어부산에서도 자체적으로 표를 팔기 때문에, 에어부산이 직접 표를 팔지 않고 아시아나의 100% 자회사로서, 혹은 아시아나를 통해서만 표를 파는 피더 서비스 업체가 된다면 적립 가능하다.] === 보유 기종 === || 제조사 || 기종 || 보유 수량 || 기타 || ||<|3> [[에어버스]] || [[A320 패밀리|A319-119]] || 20 || 전 기체 보관중 || || [[A320 패밀리|A320-212]] || 5 || || || [[A320 패밀리|A321-212]] || 14 || || 대부분의 기종들이 좌석 간격이 상당히 좁다. A320 패밀리는 29인치이니 주의하자. 현재 319는 전부 보관중이다. [[분류:에어캐나다]][[분류:저비용 항공사]][[분류:2012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