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7년 기업]][[분류:아프리카의 항공사]] [include(틀:항공사/아프리카/플래그 캐리어)] ||<-2><:>
<#ffffff> [[파일:에어 짐바브웨 로고.svg|width=100%]] || ||<-2><:><#EBED2F>'''{{{#141411 에어 짐바브웨[br]Air Zimbabwe}}}'''|| ||<:><#ffffff,#2d2f34>'''{{{#141411,#ffffff 부호}}}'''||<#ffffff,#2d2f34>'''[[콜사인]]''' (AIR ZIMBABWE)[br]'''[[IATA#s-3]]''' (UM) '''[[ICAO#s-3]]''' (AZW)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N0) || ||<:><#ffffff,#2d2f34>'''{{{#141411,#ffffff 항공권 식별 번호}}}'''||<#ffffff,#2d2f34>168 || ||<:><#ffffff,#2d2f34>'''{{{#141411,#ffffff 설립일}}}'''||<#ffffff,#2d2f34>[[1967년]] [[9월 1일]] || ||<:><#ffffff,#2d2f34>'''{{{#141411,#ffffff 허브 공항}}}'''||<#ffffff,#2d2f34>[[하라레 국제공항]] || ||<:><#ffffff,#2d2f34>'''{{{#141411,#ffffff 보유 항공기 수}}}'''||<#ffffff,#2d2f34>9 || ||<:><#ffffff,#2d2f34>'''{{{#141411,#ffffff 취항지 수}}}'''||<#ffffff,#2d2f34>5 || ||<:><#ffffff,#2d2f34>'''{{{#141411,#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Rainbow Club || ||<:><#ffffff,#2d2f34>'''{{{#141411,#ffffff 항공 동맹}}}'''||<#ffffff,#2d2f34>미가입 || ||<:><#ffffff,#2d2f34>'''{{{#141411,#ffffff 링크}}}'''||<#ffffff,#2d2f34>[[http://airzimbabwe.aero/|[[파일:에어 짐바브웨 로고.svg|width=8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rzimb732.jpg|width=100%]]}}} || || [[보잉]] [[보잉 737 오리지널|737-2N0]] || [목차] [clearfix] == 개요 == 짐바브웨의 국책 항공사. == 역사 == 1963년,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이 해체되었고 1964년 잠비아와 말라위가 독립하자 [[북로디지아]] 정부, [[로디지아|남로디지아]] 정부, [[말라위|니아살랜드]] 정부가 합동으로 설립했던 중앙아프리카항공의 산하로 잠비아 에어웨이즈, 에어 말라위, 에어 로디지아 총 3개의 항공사를 자회사가 설립되었다. 1965년 남로디지아가 소수의 백인 기득권층에 의해 일방적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자 국제적인 제재를 받게 되었고 에어 로디지아와 다른 두 자회사들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결국 1967년 중앙아프리카항공이 해체되었고 에어 로디지아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에어 로디지아는 중앙아프리카항공의 [[DC-3]]와 빅커스 비스카운트를 물려받아 운항을 시작했다. 1973년 다른 항공사와의 경쟁을 위해 [[이스턴 항공]]등의 항공사 출신의 [[보잉 720]] 3기를 도입했다. 그러나 [[제4차 중동전쟁]]으로 인한 유가상승과, 로디지아-부시 전쟁으로 인한 자사의 민항기 격추사건으로 인해 에어 로디지아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감소했다. 1974년 모잠비크의 독립과 이로인한 남아공의 지원 중단으로 1979년 로디지아는 흑인들의 참정권을 인정하는 동시에 국명을 [[짐바브웨 로디지아]]로 변경했고 이에따라 에어 로디지아도 에어 짐바브웨 로디지아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0년 짐바브웨가 공식적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자 사명을 에어 짐바브웨로 변경했다. 1980년 [[남아프리카 항공]]에서 리스한 [[보잉 707]]으로 런던행 노선에 취항하며 에어 짐바브웨로서의 운영을 시작했다. 1983년 국영 화물 항공사였던 아프레트에어를 인수해 자회사로 두었다. 1980년대 후반 인도된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00]]으로 다르에스살람, 마푸토, 모리셔스에 취항했다. 1989년에는 [[보잉 767]]을 도입해 보잉 707을 대체했다. 2004년 짐바브웨의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재정난을 겪었고 IATA에 의해 약 1년간 운항을 중지당했다. 이듬해 5월, 단 1명의 승객을 태우고 두바이-하라레 노선을 시작으로 다시 운항을 재개했으나 2011년 다시 운항을 중지당했다. 2012년 다시 운항을 시작했을때는 요하네스버그행 노선이 있었으나 항공기 압류의 위험때문에 2013년부터 국내선 노선만을 비행중이다. == 취항지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요하네스버그]] * 탄자니아 * 다르에스살람 - 줄리어스 니에레레 국제공항 * 짐바브웨 * [[하라레 국제공항]](허브) * [[빅토리아 폭포]] 공항 * 불라와요 - 조슈아 음콰부코 은코모 국제공항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 에어버스 || A320-200 || 2 || || ||<|3> 보잉 || 737-200 || 2 || || || 767-200ER || 2 || || || 777-200ER || 1 || [[말레이시아 항공]] 출신 || || 엠브라에르 || ERJ-145 || 1 || || || 중국시안항공산업공사 || MA60 || 1 || || == 사건 사고 == * 에어 로디지아 825편 격추 사건 * 에어 로디지아 827편 격추 사건 * 1984년 에어 짐바브웨 비스카운트 사고 * 1997년 에어 짐바브웨 보잉 707 사고 * 2008년 에어 짐바브웨 MA60 착륙 사고 * 에어 짐바브웨 239편 이륙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