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2년 기업]][[분류:아프리카의 항공사]][[분류:바닐라 얼라이언스]] [include(틀:항공사/아프리카/플래그 캐리어)] ||<-2><:>
<#ffffff> [[파일:에어 마다가스카르 로고.svg|width=100%]] || ||<-2><:><#8C0424>'''{{{#white 에어 마다가스카르[br]Société Nationale Malgache de Transports Aériens[br]Air Madagascar}}}'''|| ||<:><#ffffff,#2d2f34>'''{{{#8C0424,#ffffff 부호}}}'''||<#ffffff,#2d2f34>[[항공사]] [[호출 부호]] (AIR MADAGASCAR)[br][[IATA#s-3]] (MD) [[ICAO#s-3]] (MDG)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2) || ||<:><#ffffff,#2d2f34>'''{{{#8C0424,#ffffff 항공권식별번호}}}'''||<#ffffff,#2d2f34>258 || ||<:><#ffffff,#2d2f34>'''{{{#8C0424,#ffffff 설립년도}}}'''||<#ffffff,#2d2f34>1962년 || ||<:><#ffffff,#2d2f34>'''{{{#8C0424,#ffffff 허브공항}}}'''||<#ffffff,#2d2f34>이바토 공항 || ||<:><#ffffff,#2d2f34>'''{{{#8C0424,#ffffff 보유항공기수}}}'''||<#ffffff,#2d2f34>9 || ||<:><#ffffff,#2d2f34>'''{{{#8C0424,#ffffff 취항지수}}}'''||<#ffffff,#2d2f34>17 || ||<:><#ffffff,#2d2f34>'''{{{#8C0424,#ffffff 자회사}}}'''||<#ffffff,#2d2f34>차라디아 || ||<:><#ffffff,#2d2f34>'''{{{#8C0424,#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Namako || ||<:><#ffffff,#2d2f34>'''{{{#8C0424,#ffffff 항공동맹}}}'''||<#ffffff,#2d2f34>[[바닐라 얼라이언스]] || ||<:><#ffffff,#2d2f34>'''{{{#8C0424,#ffffff 링크}}}'''||<#ffffff,#2d2f34>--[[http://www.airmadagascar.com/en|홈페이지]]--^^(접속불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rmada343.jpg|width=100%]]}}} || || [[에어버스]] [[A340|A340-313]]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다가스카르의 국책 항공사. == 역사 == 1947년 [[프랑스령 말라가시]]에서 [[에어 프랑스]]와 TAI가 설립한 Société Nationale Malgache de Transports Aériens가 전신이며 1961년 마다가스카르가 독립한 이후 대대적인 개편을 거치며 사명을 매드에어로 바꿨다. 1961년 10월, TAI로 부터 리스한 DC-7으로 안타나나리보-파리 노선을 비행하며 운영을 시작했다. 1962년 사명을 에어 마다가스카르로 변경했다. 1964년, 에어 프랑스로 부터 [[보잉 707]]을, 1969년에는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00]] 을 도입했다. 1979년 [[보잉 747-200]]이 도입되며 광동체기의 운항을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ATR 42]]를 도입해 구형 HS-748을 대체했다. 1998년 민영화를 위해 보잉 747-200을 [[보잉 767|보잉 767-300ER]]로 교체했고 루프트한자 컨설팅과의 관리계약을 채결했으나 2001년 마다가스카르 정치 위기로 수요가 심각하게 감소하기도했다. 다행히 수요는 회복되어 2005년에는 [[ATR 72]]을 도입했다. 2011년, 노후화된 보잉 767이 EU 취항 금지를 당했으며 이에 에어 마다가스카르는 [[보잉 777-200]]을 단기리스해 유럽에 다시 취항했으며 이후 2012년, 에어 프랑스의 잉여 [[A340]] 2기를 리스해 현재까지 A340으로 유럽에 취항중이다. == 취항지 == ||<-2> 국제선 || || 아프리카 || 앙주앙 · 모로니 ·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나이로비]] · 포트루이스 · 자우지 · 생드니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요하네스버그]] || || 아시아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 || || 유럽 || [[마르세유 프로방스 국제공항|마르세유]] ·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 ||<-2> 국내선 || || 마다가스카르 || 암바나틴티 · 앙카반드라 · 안탈라하 · 안타나나리보[* 허브] · 안살로바 · 안치라나나 · 벨로니 치리비히나 · 베살람피 · 파라팡가나 · 마하장가 · 마인티라노 · 마난자리 · 만자 · 마로안체트라 · 모라페노베 · 모롬베 · 모론다바 · 노지베 · 생트마리 · 삼바바 · 소알랄라 · 톨라나로 · 토아마시나 · 톨리아라 · 치로아노만디디 ||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3> ATR || ATR 42-300 || 1 || || || ATR 72-500 || 4 || || || ATR 72-600 || 2 || || || 에어버스 || A340-300 || 1 || 에어 프랑스 리스 || || 보잉 || 737-300 || 1 || || == 사건사고 == * 1963년 7월 15일, 등록기호 5R-MAJ의 C-47이 이륙중 추락했다. 탑승했던 12명 중 6명이 사망했다. * 1967년 7월 19일, 등록기호 5R-MAD의 DC-4가 이륙 직후 추락했다. 탑승했던 77명 중 42명이 사망했으며 사망자 중에는 마다가스카르 외무장관도 있었다. * 1981년 7월 24일, 112편 DHC-6(등록기호 5R-MGB)가 비행중 산에 추락했다. 탑승했던 19명 전원이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