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2> [[파일:에밀리아로마냐 주장.svg|height=100]][br]{{{+1 '''Emilia-Romagna'''}}}[br]에밀리아로마냐 주[br]Regione Emilia-Romagna^^(이탈리아어)^^[br]Emégglia-Rumâgna / Emîlia-Rumâgna^^(에밀리아어)^^[br]Emélia-Rumâgna^^(로마냐어)^^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Emilia-Romagna, 너비=100%, 높이=100%)]}}}|| ||<-2> '''행정'''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지역''' ||북부 || || '''중심 도시''' ||[[볼로냐]] || || '''하위 행정 구역''' ||1[[광역시]] 8[[현(행정구역)|현]] 330[[시(행정구역)|시]] || || '''시간대''' ||UTC+1 || ||<-2> '''인문 환경''' || || '''인구''' ||4,446,000명 || || '''인구밀도''' ||200명/km² || || '''면적''' ||22,446km² || || '''HDI''' ||0.908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북부에 위치한 레조네. 중심 도시는 [[볼로냐]]다. 인구는 4,446,000명이고 인구 밀도는 200명/km²이다. 1인당 GDP는 약 32000 [[유로]]로 이탈리아의 주 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 에밀리아 지방과 로마냐 지방 == 보통 에밀리아와 로마냐 지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에밀리아라는 이름은 리미니부터 피아첸차를 잇던 옛 [[로마 가도]]인 아이밀리아 가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아래 지도를 보면 에밀리아 지역의 주요 도시들이 피아첸차부터 볼로냐 등을 거쳐 리미니까지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옛 아이밀리아 가도를 따라 도시가 발달한 흔적이며 현대의 고속도로도 비슷한 경로를 따라간다. 로마냐는 '로마인들의 땅([[로마니아]])'이라는 뜻인데, 후술하겠지만 '[[동로마 제국]]'의 영토여서 이런 지명이 붙여졌다. 자세한 설명은 '역사' 문단 참고. [[파일:Emilia_Romagna_79451-500x266.jpg]] || '''에밀리아''' || '''로마냐''' || [[파일:Cartina_Regione_Emilia_Romagna.jpg]] || '''북부 에밀리아''' || '''중부 에밀리아''' || '''로마냐''' || 리미니 안에는 미니국가 [[산마리노]]가 있다. == 역사 == [[고대 로마]] 이전에는 [[켈트]]인들과 [[에트루리아]]인들이 살고 있었고, [[로마 제국]] 이후에는 기독교에 많은 영향을 받아 수도원들이 많았다. 로마냐 지방은 '로마인들의 땅([[로마니아]])'이라는 뜻으로, 과거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이런 지명이 붙었다. 로마 시와는 멀리 떨어진 곳인데다가 이탈리아 반도 전체가 로마 제국의 영토였음에도 불구하고 하필 여기에만 이러한 이름이 붙은 건 로마냐의 도시 [[라벤나]]에 [[라벤나 총독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이민족들의 알박기가 횡행하던 이탈리아 반도에서 이 지역만큼은 [[벨리사리우스]]의 수복 이후 로마인들이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하던 곳이었기에 대내외적으로 '로마인들의 땅'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1088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인 [[볼로냐 대학교]]가 볼로냐에 개교했다. [[르네상스]] 당시에는 많은 자잘한 공국이나 공화국 등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대부분이 한 가문이 지배하는 도시국가들이었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아들 [[체사레 보르지아]]는 1499년부터 1502년에 걸쳐 로마냐와 우르비노 등 수많은 지방을 정복해 로마냐 공국을 세워 통치했었다. 물론 두 부자의 사망과 교황 [[율리오 2세]]의 즉위로 도로 교황령으로 돌아갔다. 16세기에는 [[모데나]], [[파르마]] 등의 도시국가만 살아남고([[모데나 공국]], [[파르마 피아첸차 공국]]) 이 주의 거의 전체가 크기가 컸던 당시 로마 [[교황령]]에 귀속되게 된다. 이후 19세기에 벌어진 통일 이탈리아 운동으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어 통일 이탈리아의 일원이 되었다.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이후부터 [[이탈리아 공산당]]과 그 후신 좌익 정당들이 정치를 주도하고 있다. 2012년에 발생한 대지진으로 이 지역이 많은 타격을 입었다. 그리고 이후 2020년에도 [[코로나19]]로 볼로냐를 위시한 주 전체가 대차게 타격을 당하였다. == 경제 == 상술했듯이 에밀리아 로마냐의 경제력은 매우 탄탄하다. [[페라리]], [[람보르기니]], [[파가니]], [[마세라티]] 등 많은 [[자동차 회사|슈퍼카 & 고급차 메이커]]들이 이 주에 본사나 공장을 두고 있고, 식품 가공업도 발달해 있다. [[리미니]]를 비롯한 동부의 해안 지역과 모데나, 볼로냐 등 많은 르네상스 시대의 도시가 속해 있어 관광거리도 많아 관광업도 유명하다. 농업으로는 감자, 토마토, 양파가 중요한 수확물로 꼽히고, 포도 역시 생산되는데, 이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드는 술을 람브루스코 와인이라고 한다. 이탈리아의 특징 중 하나인 농업 협동조합도 성행해 현재 이 주 전체에 약 8,000개의 협동조합이 존재한다고 집계된다. 통계에 따르면, 주의 수출의 약 53%가 기계공업 부문이고, 의류산업이 약 10%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문화 == 음악가와 굉장히 관련이 깊은 주이다. 이탈리아에서 최고의 작곡가로 칭송받는 [[주세페 베르디]]가 이곳 출신이다. 그리고 역시 세계 최고의 테너라고 불리우는 [[루치아노 파바로티]]도 이곳에서 태어났다. 예술가들을 많이 배출한 주라 이탈리아 영화감독 [[페데리코 펠리니]]와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도 이 지역 출신이다. 한편으로는 이탈리아 및 유럽 [[펑크]]의 전설 중 하나로 손꼽히는 [[CCCP Fedeli Alla Linea]]가 이 지방 출신이기도 하다. 스포츠 팀으로는 축구에는 [[세리에A]]에 속한 [[볼로냐 FC]], [[파르마 칼초 1913]], [[SPAL]], [[US 사수올로 칼초]]가 있으며 럭비에는 [[제브레 파르마]]가 있다. 서킷으로는 [[F1]]의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홈 서킷인 [[이몰라 서킷]]과 [[미사노 월드 서킷 마르코 시몬첼리]]가 있다. == 정치 == 이탈리아 공산당의 지지도가 가장 높게 나오는 지역이었고, 그의 후신인 민주당의 지지도가 전국도 가운데 가장 높다. == 하위 행정구역 == * 볼로냐 광역시 * [[볼로냐]] 시 * 페라라 현 * [[페라라(이탈리아)|페라라]] 시 * [[포를리체세나]] 현 (Forlì-Cesena) * [[포를리]] 시 (Forlì) * 모데나 현 * [[모데나]] 시 * [[미란돌라]] 시 * 파르마 현 * [[파르마]] 시 * 피아첸차 현 (Piacenza) * [[피아첸차]] 시 * 라벤나 현 * [[라벤나]] 시 * [[루시#s-3.3]] 시 * 레조에밀리아 현 * [[레조에밀리아]] 시 * 리미니 현 * [[리미니]] 시 [[분류:에밀리아로마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