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C3B6E 20%, #B22234)" {{{#FFFFFF ''' 에밀 쿠스트리차 감독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91919><-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C0000><-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FFFFFF,#191919><-5><:> [[파일:cannespalmedor.png|width=150]] || ||<#0C0000><-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제37회 [br] ([[1984년]]) ''' ||<:> {{{+1 → }}} ||<:> ''' 제38회 [br] ([[1985년]]) ''' ||<:> {{{+1 → }}} ||<:> ''' 제39회 [br] ([[1986년]]) ''' || ||<:> [[빔 벤더스]][br](파리 텍사스)[br]||<:> {{{+1 → }}} ||<:> '''에밀 쿠스트리차[br](아빠는 출장 중)'''||<:> {{{+1 → }}} ||<:> [[롤랑 조페]][br]([[미션]]) || ||<:> ''' 제47회 [br] ([[1994년]]) ''' ||<:> {{{+1 → }}} ||<:> ''' 제48회 [br] ([[1995년]]) ''' ||<:> {{{+1 → }}} ||<:> ''' 제49회 [br] ([[1996년]]) ''' || ||<:> [[쿠엔틴 타란티노]][br]([[펄프 픽션]])[br]||<:> {{{+1 → }}} ||<:> '''에밀 쿠스트리차[br]([[언더그라운드(1995년 영화)|언더그라운드]])'''||<:> {{{+1 → }}} ||<:> [[마이크 리]][br](비밀과 거짓말) || ||<#0C0000><-5><:> || ||<#FFFFFF,#333333><-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0C0000><-5><:> {{{#E5D85C '''[[칸 영화제/감독상|{{{#E5D85C 감독상}}}]]'''}}} || || '''제41회 [br] ([[1988년]])''' ||<:> {{{+1 → }}} ||<:> '''제42회 [br] ([[1989년]])''' ||<:> {{{+1 → }}} ||<:> ''' 제43회 [br] ([[1990년]]) ''' || ||<:> 페르난도 솔라나스[br](남쪽)[br]||<:> {{{+1 → }}} ||<:> '''에밀 쿠스트리차[br]([[집시의 시간]])'''||<:> {{{+1 → }}} ||<:> 파벨 룽긴[br](택시 블루스) || ||<#0C0000><-5><:> || ---- ||<-5>
{{{#e5d85c ''' 역대 [[베니스 영화제|{{{#e5d85c 베니스 영화제}}}]] ''' }}} || ||<-5> [[파일:silverlion.png|width=180]] || ||<-5>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e5d85c '''은사자상'''}}}]] || || ''' 제54회 [br] ([[1997년]]) ''' || {{{+1 → }}} || ''' 제55회 [br] ([[1998년]]) ''' || {{{+1 → }}} || ''' 제56회 [br] ([[1999년]]) ''' || ||<:> [[마틴 스콜세지]] [br] ([[좋은 친구들]]) ||<:> {{{+1 → }}} ||<:> '''에밀 쿠스트리차'''[br](검은 고양이, 흰 고양이) ||<:> {{{+1 → }}} ||<:> 장위안[br] (17년 후) || ||<#0C0000><-5><:> || ---- ||
<-5><:> {{{#E5D85C ''' 역대 [[베를린 영화제|{{{#E5D85C 베를린 국제 영화제}}}]]''' }}} || ||<-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80]] || ||<-5><:>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E5D85C '''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 ''' 제42회 [br] ([[1992년]]) ''' ||<:> {{{+1 → }}} ||<:> ''' 제43회 [br] ([[1993년]]) ''' ||<:> {{{+1 → }}} ||<:> ''' 제43회 [br] ([[1993년]]) ''' || ||<:> 서보 이슈트반[br](엠마와 부베의 사랑) ||<:> {{{+1 → }}} ||<:> '''에밀 쿠스트리차[br](애리조나 드림)'''||<:> {{{+1 → }}} ||<:> 토마스 구티에레즈 알레아 후안 카를로스 타비오[br](딸기와 초콜릿) || ||<#0C0000><-5><:> || }}} || [[파일:74987_v9_ba.jpg]] [목차] == 개요 == 에밀 쿠스트리차(Емир Кустурица / Emir Kusturica, [[1954년]] [[11월 24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 출신의 [[세르비아인|세르비아계]] [[보스니아인]] 영화감독겸 배우이다. 체코 프라하 예술대학 출신으로 키가 191cm로 거구이다. 철자에서 알 수 있듯 '에미르 쿠스투리차'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어째선지 오타를 낸 듯한 '에밀 쿠스트리차'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그의 이름인 '에미르'는 전형적인 [[보슈냐크인|보슈냐크계]] 무슬림의 인명이지만, 본인 스스로는 [[세르비아인|세르비아계]]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https://www.b92.net/kultura/vesti.php?nav_category=268&yyyy=2014&mm=01&dd=19&nav_id=801858|관련 기사]](세르보크로아트어).] == 내용 == 1980년 〈돌리 벨을 아시나요(Sjećaš li se Doli Bel?)〉라는 작품으로 데뷔하였으며, 이 작품으로 [[베니스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황금사자상]]에 노미네이트 되면서 영화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해 베니스에서 최우수 데뷔영화상을 받았다. 1985년에는 아이의 시선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의 부조리와 탄압을 얘기한 〈아빠는 출장 중(Otac na službenom putu)〉이 칸 영화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다. 국내에서는 1988년에 개봉하여 서울에서만 114,781명 관객동원으로 흥행했다. 1989년에는 〈[[집시의 시간]](Dom za vesanje)〉으로 칸 영화제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드라마 〈[[보고 또 보고]]〉에서, 윤해영이 김지수에게 비디오 빌려왔다고 보여준 테이프가 이 영화이다. ] 1993년작 〈아리조나 드림(Arizona Dream)〉은 미국, 프랑스 자본과 손잡고 미국을 배경으로 만든 작품이다. [[조니 뎁]], [[제리 루이스]], [[페이 더너웨이]] 등의 할리우드 배우들이 주연진으로 출연했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은곰상]]을 수상하는 등, 평가는 좋았지만, 흥행 성적은 그다지 훌륭하진 않았다. 1995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다룬 〈[[언더그라운드(1995년 영화)|언더그라운드]](Underground)〉로 [[칸 영화제]]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총 2차례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게 된다. 1999년 〈검은 고양이, 흰고양이(Black Cat, White Cat)〉로 베니스영화제에 경쟁부문에 초청되어, [[베니스 국제 영화제/은사자상|은사자상]]을 수상한다. 집시 문화와 사라져가는 그들의 고유한 정서를 주제로 한 소동극으로, 부산 국제영화제에도 소개되었다. 2004년 〈삶은 기적이다〉 , 2005년 〈보이지 않는 아이들〉 이후로도 꾸준히 활동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전성기만은 못하다는 평이 많다. 특히 2007년작 약속해줘!는 상당히 혹평을 받았고 한동안 영화를 찍지 않다가,[* 정치적 논란도 있고 쿠스트리차는 촬영이 상당히 늘어지는 비효율적인 제작 과정으로 유명하다. 아리조나 드림은 촬영이 1년이나 걸렸을 정도.] 2014년 옴니버스 영화인 〈신과의 대화〉, 2016년 〈온 더 밀키 로드〉가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면서 돌아왔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어두워진 [[유고슬라비아]]를 배경으로 전통적인 요소들을 환타지스러운 표현과 함께 주로 연출하는 편이다. 한국에서도 집시의 시간이 히트를 치면서 1990년대 예술 영화 흥행 아이콘으로 꼽히기도 했다. == 비판 == 유고 내전 당시 코소보와 보스니아에서 대량학살을 주도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과 [[라도반 카라지치]] 전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푸틴 지지자기도 해서 정치적으로 까이는 인물이기도 하다. 당연하겠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도 푸틴을 지지하는 청원서에 사인하기도 해서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서 블랙 리스트에 올랐다. [각주] [[분류:서구권 영화 감독]][[분류:유고슬라비아의 인물]][[분류:세르비아의 남배우]][[분류:1954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사라예보 출신 인물]][[분류: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