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문화]][[분류:유행어]] [목차] {{{+3 [[衛|[ruby(衛, ruby=え)]]][[門|[ruby(門, ruby=もん)]]]}}} == 개요 == [[일본]]의 옛날 남성 이름 중 하나. 에몬이라는 고대 일본의 관직명에서 유래했다. 좌위문부(左衛門府)의 상위 4개 등관을 제외한 이들에게 자에몬(左衛門)을, 우위문부(左衛門府)에 해당하는 이들에게 우에몬(右衛門)이라고 했다. 또는 자에몬과 우에몬의 좌, 우를 뗀 에몬(衛門)이라는 이름도 사용되었다. 이게 어떻게 이름이 되었는가 하면 율령 시대에 군복무를 마친 무사나 평민들이 궁중의 성문 경비를 담당한 좌위문부 혹은 우위문부의 이름을 따서 (본인은 [[군대 무용담|좌위문부에서 복무하지 않았음에도]]) 자기 성 혹은 이름에다 호칭처럼 붙여쓰기 시작해, 나중에는 너도나도 남자 이름 뒤에 붙이는 접미사처럼 된 것이다. == 이미지 == 현대에는 무사물이나 사극같은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이름이고, 가끔 노인의 이름으로 사용될 뿐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름이다. 이 때문에 캐릭터에 ~자에몬(左衛門), ~에몬(右衛門 또는 衛門) 혹은 그냥 에몬만을 붙이는 것만으로도 옛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창작물에서는 여전히 캐릭터 이름으로 자주 쓰이곤 한다. [[도라에몽]]의 주인공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의 이름도 바로 여기서 따 온 것이고, [[크레용 신짱]]의 등장 캐릭터 중 하나인 [[부리부리자에몽]] 역시 이런 식의 이름이다. 애니메이션 [[닌타마 란타로]]에도 ~에몬, ~베에 같은 이름을 가진 캐릭터들이 많다. == 발음 == 右(ゑ)衛(え)門(もん)의 경우에는 右(ゑ)를 읽지 않는데, 현대에는 사라진 표기인 ゑ(we) 발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え(e)로 통일되면서 생략된 것으로 추정된다.[[https://restintouhou.tistory.com/354|참고]] == 도와줘 ○○에몽 == 한국 인터넷에서는 2020년대 초 경 [[도라에몽]]에서 진구가 늘 "도와줘,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이라고 하는 데에서 따와서 뭐든 부탁하고 싶은 대상에게 '도와줘 ○○에몽!' 식으로 말하곤 한다. [[http://m.humoruniv.com/board/read.html?table=pds&number=1217905|AI에몽 도와줘.jpg]] == 예시 == * [[쿠마노 진자에몬]] * [[도자에몬]]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소우다 에몬자에몬]] * [[고리라자에몬]] * [[나키리 센자에몬]] * [[키노쿠니야 분자에몬]] * [[나야 스케자에몬]] * [[이바 테츠자에몽]] == 여담 == 비슷하게 관청 관련 직책에서 유래한 일본 이름으로는 [[주베에]], [[한베에]] 등에서 볼 수 있는 '-베에'(兵衛)가 있다. == 참고 문서 == * [[일본어 위키백과]] [[https://ja.wikipedia.org/wiki/%E5%B7%A6%E8%A1%9B%E9%96%80|左衛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