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0753a '''에메르송 레앙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0753a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00753a 197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E72A 20%, #FFF72A 80%, #FFE927)" {{{#00753a '''에메르송 레앙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BF_logo.svg.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72A; font-size: 0.9em" [[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00753a '''브라질'''}}}]]}}}[br]{{{-2 53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브라질의 축구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06610956f950.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1 에메르송 레앙}}}[br]Émerson Leão'''[* /ˈɛmeʁsõ leˈɐ̃w/] || ||<-2> '''{{{#000000,#e5e5e5 출생}}}''' ||[[1949년]] [[7월 11일]] ([age(1949-07-11)]세)[br][[브라질]] 히베이랑프레투 || ||<-2> '''{{{#000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2> '''{{{#000000,#e5e5e5 신체}}}''' ||[[키(신체)|키]] 180cm || ||<-2> '''{{{#000000,#e5e5e5 직업}}}''' ||[[축구선수]] ([[골키퍼]]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소속}}}''' || '''{{{#000000,#e5e5e5 선수}}}''' ||코메르시아우 FC (1968~1970)[br]'''[[SE 파우메이라스]] (1971~1978)'''[br][[CR 바스쿠 다 가마]] (1978~1980)[br]'''[[그레미우]] (1981~1982)'''[br][[SC 코린치안스]] (1983)[br][[SE 파우메이라스]] (1984~1985)[br][[스포르트 클루브 두 헤시피]] (1986) || || '''{{{#000000,#e5e5e5 감독}}}''' ||'''[[스포르트 클루브 두 헤시피|스포르트 헤시피]] (1987~1988)'''[br][[코리치바 FC]] (1988~1989)[br][[SE 파우메이라스]] (1989~1990)[br][[아소시아상 포르투게자 지 데스포르투스|포르투게자]] (1990~1992)[br]상주제 EC (1990~1991)[br]EC XV 데 노벰브로 (1991~1992)[br][[시미즈 S펄스]] (1992~1994)[br][[EC 주벤투지]] (1995~1996)[br][[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1996)[br][[도쿄 베르디]] (1996)[br][[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1997~1998)[br][[산투스 FC]] (1998~1999)[br][[SC 인테르나시오나우]] (1999)[br][[그레미우]] (2000)[br][[스포르트 클루브 두 헤시피]] (2000)[br][[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대표팀]] (2000~2001)[br]'''[[산투스 FC]] (2002~2004)'''[br][[크루제이루 EC]] (2004)[br][[상파울루 FC]] (2004~2005)[br][[비셀 고베]] (2005)[br][[SE 파우메이라스]] (2005~2006)[br][[AD 상카에타누]] (2006)[br][[SC 코린치안스]] (2006~2007)[br]'''[[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2007)'''[br][[산투스 FC]] (2008)[br][[알 사드 SC]] (2008~2009)[br][[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2009)[br][[스포르트 클루브 두 헤시피]] (2009)[br][[고이아스 EC]] (2010)[br][[상파울루 FC]] (2011~2012)[br][[AD 상카에타누]] (2012)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80경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1969~1986)^^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1968년, 코메르시아우 FC에 데뷔한 레앙은 2년 뒤 [[SE 파우메이라스]]로 이적한다. 레앙은 파우메이라스에서 상파울루 주립 리그에서 3회의 우승을 했고, 브라질 전국 리그에서는 3회의 우승을 했다. 이 활약으로 [[마르쿠스(1973)|마르쿠스]]와 함께 파우메이라스 역사상 최강의 골키퍼로 불린다. 레앙은 1972년 전국리그 베스트 팀에도 선정되면서 명성을 떨쳤으며, 1975년 코린치안스전에서 무려 3개의 [[페널티 킥]]을 막아내었다. 1978년까지 파우메이라스에서 활약한 후 [[CR 바스쿠 다 가마]]로 이적해 전국리그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그레미우]]에서는 리오그란데 주립 리그와 전국 리그를 1회씩 우승했다. 이후 레앙은 1986년에 은퇴했다. === 국가대표 경력 === 레앙은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월드컵]] 명단에 뽑혔지만 주전 자리를 차지하기 힘들었고, 결국 벤치에서 월드컵 우승을 지켜보았다.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 레앙은 주전 골키퍼로 나서게된다. 당시 브라질은 1970년 월드컵 우승의 주역이었던 [[펠레]], [[토스탕]] 등의 슈퍼스타들이 다수 이탈해 공격력이 약해졌고, [[호베르투 히벨리누]]와 [[자이르지뉴]]가 버텼지만 1차 조별리그에서 3경기에서 단 3골을 넣는 빈공에 시달렸다.[* 그것도 최약체 [[자이르 축구 국가대표팀|자이르]]에게 3골을 몰어넣은 것이었다.] 하지만 레앙은 3경기 모두를 [[클린시트]]를 달성하며 브라질이 1승 2무로 2차 조별리그 진출에 도움을 주었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사라진 팀#s-2|동독]]과의 2차 조별리그 1차전에서 1:0 승리에 공헌하면서 월드컵 4경기 연속 [[클린시트]] 기록을 세운 레앙은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의 2차전에서 미겔 앙헬 브린디시에게 실점, 클린시트 기록은 깨졌지만 2:1 승리를 이끈다. 하지만 [[요한 크루이프]]가 이끄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에게 0:2로 패배하면서 결국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고 브라질은 4위에 머물고 만다.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는 주장 완장을 달고 출전했는데,[* 브라질 축구 역사상 최초의 골키퍼 주장이라는 기록을 만들었다.] 레앙은 변함없는 실력을 보여주면서 브라질을 이끌었지만 2차 조별리그에서 아르헨티나에게 골득실에서 밀리며 탈락, 3위에 머물고 만다.[*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는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에게 6:0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승부조작]]으로 의심받았다.] 레앙은 대회 6경기에서 4회의 [[클린시트]]를 포함해 단 2실점을 기록했다. 1982년에는 [[텔레 산타나]] 감독과 불화 때문에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는 백업으로 벤치에 앉아있었으며, 8강에서 브라질이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는 모습을 지켜봐야만 했다. 이후 레앙은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하지만, 브라질 출신의 축구선수 중에서 4번이나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선수는 [[호나우두]], [[카푸]], [[에메르송 레앙]], [[펠레]], [[자말 산투스]], [[니우통 산투스]], [[카스티뉴]], [[티아고 실바]]로 단 8명 뿐이다. == 플레이 스타일 == 레앙은 골키퍼치곤 키가 작았지만, 놀라운 선방 능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FIFA 월드컵]] 통산 방어율이 87.9%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비 조율에도 능했으며, 정확한 킥과 스로인으로 공격을 전개하던 스위퍼-키퍼 유형의 선수였다. == 감독 경력 == 1987년에 [[스포르트 클루브 두 헤시피|스포르트 헤시피]]에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에 일본의 [[시미즈 S펄스]]와 [[도쿄 베르디]]의 감독으로 부임하기도 했다.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반데를레이 루솀부르구]]가 지휘하는 브라질이 [[2000 시드니 올림픽/축구(남자)|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 8강에서 탈락하는 충격을 맞으며 감독이었던 루솀부르구는 이에 대한 책임으로 경질되었다. 그리고 레앙이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에서 '''4위'''라는 부진한 성적과 2002 한일 월드컵 예선에서 극도한 부진을 겪으며 결국 레앙을 경질하고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를 선임하기에 이른다. 스콜라리의 부임 후에 월드컵 본선 진출과 월드컵 우승을 이뤄내며 이전 감독이었던 레앙은 브라질 국민들에게 더더욱 큰 욕을 먹는다. 한편 [[둥가]]와 함께 브라질 국대를 맡은 역대 최악의 감독으로 뽑힌다. 둥가 역시 선수 시절에는 레앙과 마찬가지로 선수 시절에 위대한 커리어를 지녔는데 감독으로는 국가대표를 맡아서 말아먹으며 경질된 것이 공통점이다. 또한 둥가 역시 후임인 [[치치(축구인)|치치]]가 다시 브라질을 부활로 이끌며 후임 감독으로 더욱 욕을 먹는 것이 같다. === 이후 === 브라질 국대에서의 부진으로 거의 1년 간 휴식기를 가졌으며 2002년에 [[산투스 FC]]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때 산투스는 직전 시즌에 28팀 중에 15위를 기록하는 등 옛 명성에 비해 중위권을 기록하던 팀이였다. 하지만 레앙의 부임 후에 정규 리그에서 극적으로 8위를 기록하며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했으며 파이널 라운드에서는 위에 순위 팀들을 격파하며 '''34년만에 우승'''을 이뤄냈다. 2003 시즌에는 리그에서 [[크루제이루 EC]]가 미친 페이스로 '''승점 100점'''을 찍으며 우승했으며 산투스는 승점 87점으로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이 시즌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결승에서는 [[CA 보카 주니어스]]를 만났으며, [[마르셀로 델가도]]가 1차전에 멀티 골, 2차전에 역전 골을 넣는 활약으로 인해 합계 5:1로 완전히 무너지며의 더블 준우승을 이뤄내는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이후 2004 시즌에 산투스의 감독직을 떠났다. 산투스를 떠난 후에도 많은 팀들의 감독을 맡았으나 산투스 때 만큼의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그러다 2007년에는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는데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막 세리 B에서 우승한 팀이라서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의 재기를 예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을 비웃듯 8위를 기록하며 잔류와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권을 획득하는 성과를 냈다. 시즌 후에 팀을 떠났다.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이후에 또 여러 팀의 감독을 맡다가 2012년에 [[AD 상카에타누]]의 감독직을 맡은 것을 마지막으로 감독직에서 은퇴 한듯 해 보였다. 한편 2018년부터 [[TNT Sports]]의 해설위원을 맡고 있다. 또한 2022년에 친정 산투스가 위기를 겪으며 레앙이 산투스의 감독 후보 물망에 오른 상태라고 한다. [[https://tntsports.com.br/futebolbrasileiro/Emerson-Leao-revela-nova-proposta-do-Santos-20220916-0028.html|#]] == 수상 == === 클럽 === * 브라질 전국 리그 우승 5회 * 브라질 주립 리그 우승 5회 === 국가대표 === *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우승 * [[1974 FIFA 월드컵 서독]] 4위 *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3위 * 1979 [[코파 아메리카]] 3위 * 1983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 === 개인 === * 브라질 전국 리그 올해의 팀 1회 == 기타 == [[파일:골닷컴 시대별 최고의 골키퍼.png|width=75%]] * 골닷컴에서 시대별 최고의 골키퍼 5인을 선정했는데, 1970년대 최고의 골키퍼 4위에 이름을 올렸다. [[분류:1949년 출생]][[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브라질의 축구감독]][[분류:골키퍼]][[분류:SE 파우메이라스/은퇴, 이적]][[분류:CR 바스쿠 다 가마/은퇴, 이적]][[분류:그레미우/은퇴, 이적]][[분류:SC 코린치안스/은퇴, 이적]][[분류:스포르트 헤시피/은퇴, 이적]][[분류:스포르트 헤시피/역대 감독]][[분류:코리치바 FC/역대 감독]][[분류:SE 파우메이라스/역대 감독]][[분류:포르투게자/역대 감독]][[분류:상조제 EC/역대 감독]][[분류:시미즈 S펄스/역대 감독]][[분류:EC 주벤투지/역대 감독]][[분류: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역대 감독]][[분류:도쿄 베르디/역대 감독]][[분류: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역대 감독]][[분류:산투스 FC/역대 감독]][[분류:SC 인테르나시오나우/역대 감독]][[분류:그레미우/역대 감독]][[분류: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크루제이루 EC/역대 감독]][[분류:상파울루 FC/역대 감독]][[분류:비셀 고베/역대 감독]][[분류:AD 상카에타누/역대 감독]][[분류:SC 코린치안스/역대 감독]][[분류:알 사드 SC/역대 감독]][[분류:고이아스 EC/역대 감독]][[분류:브라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1974 FIFA 월드컵 서독 참가 선수]][[분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분류: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1979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1983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 참가 감독]][[분류:축구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