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8년 출생]][[분류:에손 출신 인물]][[분류:소르본 대학교 출신]][[분류:노벨화학상 수상자]][[분류:프랑스의 생물학자]] ||<-2>
{{{+1 ''' [[노벨상|{{{#cd9f51 노벨}}}]][[노벨화학상|{{{#cd9f51 화학상}}}]] {{{#cd9f51 수상자}}} [br] '''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100]] || ||<-2> [[노벨화학상/수상자#s-2.13|{{{#cd9f51 2020년}}}]] || || [[제니퍼 다우드나]] ||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 ||<-2> '''{{{+1 에마뉘엘 샤르팡티에}}}[br]'''Emmanuelle Charpentier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샤르팡티에.jpg|width=100%]]}}}|| ||<:>'''{{{#white 출생}}}'''||[[1968년]] [[12월 11일]]([age(1968-12-11)]세)[br] [[프랑스]] [[일드프랑스]] 쥐비시-쉬르-오르주(Juvisy-sur-Orge) || ||<:>'''{{{#white 국적}}}'''||[[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white 학력}}}'''||[[소르본 대학교]] || ||<:>'''{{{#white 직업}}}'''||분자[[생물학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분자생물학자. 2020년 [[제니퍼 다우드나]]와 공동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 일화 == * [[https://www.youtube.com/watch?v=y8Dczt7C_gc|유튜브 UN채널의 영상]]을 통해 자신과 크리스퍼와 관련한 발견을 대중에게 설명하는 인터뷰를 한 바 있다. * 미국, 프랑스, 스웨덴 등의 국가들과 파스퇴르 연구소, 막스플랑크 연구소 등의 여러 연구 기관들을 떠돌며 연구하던 학자로서, 스스로를 'Mobile researcher'(의역하자면 '떠돌이 연구자')로 칭하기도 했다. * 20대 시절까지 발레리나를 꿈꾸고 무용을 배우기도 했으나, 오른쪽 다리와 관련한 인대 문제 등의 이유로 그만둬야했다. 발레를 배우며 느낀 교훈을 자신의 과학 연구와 비교해 강조하기도 했다.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관련한 업적이 전반적으로 유명하며, 특히 트레이서 RNA(tracrRNA)[* Trans-activating CRISPR RNA, '트랜스 활성화 크리스퍼 RNA'의 준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융합연구정책센터에서 발간한 리뷰에 그나마 간단하고 쉽게 설명돼 있다.([[https://crpc.kist.re.kr/common/attachfile/attachfileDownload.do?attachNo=00002513|PDF 링크]])]의 기능을 밝히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