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 '''{{{#fff 초대 국가방위군 공군 사령관[br]{{{+1 에른스트 폰 회프너}}}[br]Ernst von Hoeppner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20px-Ernst_von_Hoeppner's_portrait_on_his_book.jpg|width=100%]]}}} || ||<#666> {{{#FFF 이름}}} ||'''Ernst Wilhelm Arnold von Hoeppner'''[br]에른스트 빌헬름 아르놀트 폰 회프너[*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회프너'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 ||<#666> {{{#FFF 출생}}} ||[[1860년]] [[1월 14일]] [[포메른]] || ||<#666> {{{#FFF 사망}}} ||[[1922년]] [[9월 26일]](향년 62세) [[포메른]]|| ||<#666> {{{#FFF 복무}}}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width=25]] [[독일 제국군]](1879년 ~ 1918년) [br] [[파일:Weimarwehr.png|width=25]] [[바이마르 공화국#s-7|독일 국가방위군]](1918년 ~ 1919년) || ||<#666> {{{#FFF 최종계급}}} ||[[파일:General_(Wurttenburg).gif|width=35px]] 독일 제국군 기병대장|| ||<#666> {{{#FFF 주요참전}}} ||[[제1차 세계 대전]] || ||<#666> {{{#FFF 서훈}}} ||[[푸르 르 메리트]]||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른스트 빌헬름 폰 회프너는 독일 제국의 군인이다. 최종 계급은 기병대장. 독일 국방군 공군의 전신인, [[독일 공군(나치 독일)#s-2.1|국가방위군 공군]]의 사령관이었다. == 생애 == === 제1차 세계 대전 까지 === 회프너는 1860년 1월 14일, [[포메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소령이었으며, 포츠담에 있는 사관학교에 다녔다. 1879년, 회프너는 소위의 계급으로 제6마그데부르크드라군연대에 배치되었다. 1902년 회프너는 [[장군참모]] 과정을 밟기 시작하였다. 이후 회프너는 1904년 제9군단의 참모장교가 되었다. 1906년 중령이 되고, 제13후사르연대의 연대장이 되었다. 2년 후에는 제7군단의 참모장이 되었다. 1912년 9월에는 제4기병여단의 여단장이 되었다. 1913년, 회프너는 [[빌헬름 2세]]에 의해 귀족이 되었다. 이는 참모장교와 여단장으로서의 공적 덕분이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회프너는 제3군의 참모장이었다. 1915년 봄에는 제14예비사단, 1915년 말에는 제2군의 참모장, 1916년에는 제75예비사단의 사단장이 되었다. [[에리히 루덴도르프]]가 공군 창설을 위해 뽑은 사령관이 바로 회프너였다. 공군의 분열을 제대로 파악한 회프너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대를 더 만들었으며 이를 대대들에게 배치하였다. 그는 장성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공중전에는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푸르 르 메리트를 수훈받았다. 이는 실제로 공중전에 참여한 장교들을 화나게 만들었다. || [[파일:폰 회프너.jpg]] || || 왼쪽부터, 헤르만 폰 데어 리트 톰센,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회프너 || === 전후 === 전쟁이 끝나자 루프트슈트라이트크레프테는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해체되었다. 국가방위군은 회프너가 제19군의 사령관이 되길 원했으나, 거절하였다. 회프너는 1919년 11월 퇴역하였다. 이후 1921년 회고록을 쓰고 1922년 죽었다. == 대중매체에서 == [[붉은 남작]]이 주인공인 영화 [[레드바론]]에 등장한다. 배우는 엑셀 프랄. [[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의 귀족]][[분류:1860년 출생]][[분류:1922년 사망]][[분류: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