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독일의 공산주의자 배우 겸 가수,rd1=프리드리히 빌헬름 에른스트 부슈)] [[분류:독일제국군/군인]] [[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 [[분류:독일 국방군 원수]] [[분류:1885년 출생]] [[분류:1945년 사망]][[분류:에센 출신 인물]] [include(틀:독일 국방군/원수)] ||||<:> '''독일 국방군 육군 원수'''[br]{{{+2 '''에른스트 부슈''' }}}[br] '''[[독일 국방군/원수|{{{#fff FM}}}]] Ernst Busch'''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rnst_Busch.jpg|width=100%]]}}} |||| ||<#666> '''{{{#FFF 이름}}}''' ||<(>'''Ernst Bernhard Wilhelm Busch'''[br]에른스트 베른하르트 빌헬름 부슈[* 실제 발음상 부쉬 혹은 부시가 정확하다. [[독일어]]의 sch 발음은 영어의 sh와 똑같기({{{[ʃ]}}}) 때문이다. 그러나 --[[병맛]] 같은-- [[외래어 표기법]]상 독일어 sch는 어두에 있든 어미에 있든 모두 슈로 표기하는 게 원칙이다(...).] || ||<|2><#666> '''{{{#FFF 출생}}}''' ||<(>[[1885년]] [[7월 6일]] || ||[[프로이센 왕국]] [[에센]] || ||<|2><#666> '''{{{#FFF 사망}}}''' ||<(>[[1945년]] [[7월 17일]] (향년 60세) || ||[[영국]] [[뉴햄프셔]] 올더숏 || ||<#666> '''{{{#FFF 복무}}}''' ||<(> [[프로이센 왕국군]] {{{-1 (1904년 ~ 1918년)}}}[br][[바이마르 공화국#s-7|독일 국가방위군]] {{{-1 (1918년 ~ 1933년)}}}[br][[독일 국방군]] {{{-1 (1933년 ~ 1945년)}}} || ||<#666> '''{{{#FFF 최종 계급}}}''' ||<(> [[원수(계급)|원수]] (Generalfeldmarschall) || ||<#666> '''{{{#FFF 주요 참전}}}''' ||<(> [[폴란드 침공]] [br] [[프랑스 침공]] [br] [[독소전쟁]] || ||<#666> '''{{{#FFF 주요 서훈}}}''' ||<(> [[철십자 훈장|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육군 [[원수(계급)|원수]]이다. == 2차 세계 대전 전 == [[독일]]의 에센 슈텔레 출신으로 그로스 리히터펠데 [[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04년]]에 입대하여 [[1차 세계 대전]]당시 서부전선에서 종군하였고, [[1918년]]에는 푸르 드 메리테 [[훈장(상훈)|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전후에는 군에 남아 군수 부대의 검열관으로 활동하였으며 [[1930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하여 제 9[[연대장]]이 되었다. == [[2차 세계 대전]] 중 == [[파일:8ea59fc4cb078b4a8124145ef17d337b.jpg|width=400]] ▲ [[1940년]], 상급대장 시절 부슈는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빌헬름 리스트]] 상급대장 밑에서 복무하였고, 이듬해 독일 제16군을 이끌고 [[프랑스 침공]]에 참전하였다. 이러한 용전으로 [[아돌프 히틀러]]에게 [[철십자 훈장|기사철십자장]]을 수여받았다. [[1941년]] [[9월 8일]], 부슈는 16군 [[사령관]]으로써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가했다.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 [[붉은 군대]]에 의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부슈의 군대는 스타라야루사와 오스타시코프 사이를 지켜냈고, 그는 이를 인정받아 원수로 진급되었다. 그는 [[귄터 폰 클루게]] 원수가 부상당한 뒤 [[1943년]]과 [[1944년]]에 중부집단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참담한 [[바그라티온 작전|1944년 6월의 패배]] 이후, 히틀러에 의해 1944년 7월 초에 파면되었고, 그의 자리를 [[발터 모델]] 원수가 대신하였다. 부슈는 [[1945년]] 3월, 북서집단군의 사령관으로 복귀하였으며, 그는 [[쿠르트 슈투덴트]](Kurt Student) [[공군]] [[상급대장]]이 이끄는 공군 제1공수군과 함께, 사전에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와 [[연합군]]의 독일 진군을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다. == 전후 == 1945년 [[5월 3일]], 몽고메리에게 항복하였으며, 1945년 [[7월 17일]], [[잉글랜드]] 앨더샷에 있는 포로 수용소에서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 타지에서 사망한 독일군 중에는 클라이스트와 함께 최고위 계급이다. 사후에는 스태포드셔에 있는 캐넉 체이스 독일 전쟁 묘지에 묻혔다. == 보직 및 활동 내역 == 1904.3.10 : [[장교]] 계급 부여 1904.3.10 ~ 1906.11.17 : 제13[[보병]][[연대(군대)|연대]] [[소대장]] 1906.11.17 ~ 1914.8.3 : 제57보병연대 배속 1909.10.1 ~ 1911.8.31 : 육군 유년학교 파견 1912.9.13 ~ 1914.8.3 : 카셀 [[사관학교]] 감찰장교 1914.8.3 ~ 1915.5.21 : 제56보병연대 [[중대장]] 1914.11.19 ~ 1914.12.25 : 제56보병연대 2[[대대장]] 대리 1915.5.21 ~ 1915.6.11 : 작전 중 부상, 후송 1915.6.11 ~ 1916.6.18 : 제56보병연대 중대장 1916.5.18 ~ 1916.6.15 : 제56보병연대 2대대장 대리 1916.6.18 ~ 1917.3.10 : 제56보병연대 2대대장 1917.3.10 ~ 1917.3.24 : 작전 중 부상, 후송 1917.3.24 ~ 1918.9.7 : 제56보병연대 2대대장 1918.1.31 ~ 1918.2.6 : 자르부르크 암호정보학교 배속 1918.2.6 ~ 1918.3.7 : 대기발령 1918.3.7 ~ 1918.3.11 : [[지휘관]] 단기 교육 이수 1918.9.7 ~ 1919.1.10 : 제56보병연대 중대장 1918.12.11 ~ 1918.12.19 : 제56보병연대장 대리 1919.1.10 ~ 1919.4.25 : 제56보병연대 [[기관총]]중대장 1919.4.25 ~ 1919.8.13 : 뮌스터 보병학교 배속, 장교 교육 이수 1919.8.13 ~ 1919.9.15 : 제7[[여단]] [[참모]]장교 1919.9.15 ~ 1920.5.15 : 리바우 보병연대 중대장 1920.5.15 ~ 1920.10.1 : 제13소총연대 중대장 1920.10.1 ~ 1921.8.8 : 제18보병연대 중대장 1921.8.8 ~ 1924.10.1 : 제6사단 참모장교 1924.10.1 ~ 1925.10.1 :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 제1집단 사령부 장군참모장교 1925.10.1 ~ 1928.10.1 : 바이마르 공화국 국방부(Reichswehrministerium, RWM) 참모장교 1928.10.1 ~ 1930.3.1 : 제2[[사단(군사)|사단]] 참모장교 1930.3.1 ~ 1932.1.1 : 제9보병연대 3[[대대장]] 1932.1.1 ~ 1934.10.1 : 제9보병[[연대장]] 1934.10.1 ~ 1935.10.15 : 포츠담 보병연대장 1935.10.15 ~ 1938.2.4 : 제23[[사단장]] 1937.11.29 ~ 1937.12.11 : 제23사단 참모장교 양성과정 감독관 1938.2.4 ~ 1939.10.23 : 제8[[군단장]] 1938.3.1 ~ 1939.8.31 : 제8군관구 사령관 1939.10.23 ~ 1943.11.4 : [[독일 국방군]] 육군 제16군 사령관 1943.10.28 ~ 1944.5.6 : 중부집단군 사령관 대리 1944.5.6 ~ 1944.6.28 : 중부집단군 사령관 1944.6.28 ~ 1944.8.16 : 보직 해임, 인사 명령 대기 1944.8.16 ~ 1945.3.14 : 총통 직접 명령에 의한 대기 발령 1945.3.14 ~ 1945.3.20 : 북서 해안 방위 지휘관 1945.3.20 ~ 1945.5.1 : 북서집단군 사령관 1945.5.3 : 무조건 항복, 신병 인도 1945.5.7 ~ 1945.7.17 : 영국 육군 포로 수용소 수감 1945.7.17 : 지병으로 사망 == 진급 내역 == 1904.3.10 : [[소위]](Leutnant) 1913.6.16 : [[중위]](Oberleutnant) 1915.1.27 : [[대위]](Hauptmann) 1925.4.1 : [[소령]](Major) 1930.2.1 : [[중령]](Oberstleutnant) 1932.12.1 : [[대령]](Oberst) 1935.9.1 : [[소장(계급)|소장]](Generalmajor) 1937.10.1 : [[중장]](Generalleutnant) 1938.2.1 : 보병[[대장(계급)|대장]](General der Infanterie) 1940.7.19 : [[상급 장교|상급대장]](Generaloberst) 1943.2.1 : [[원수(계급)|원수]](Generalfeldmarschall) == 서훈 내역 == 1914.9.20 : 1914년 제정 2급 철십자 훈장 1915.3.6 : 1914년 제정 1급 철십자 훈장 1917.6.14 : 호엔촐레른 왕가 검 기사 십자 훈장 1918.10.4 : 푸어 르 메리테 훈장 시기 미상 : 1918년 제정 전상장 은장 1935.1.1 : 최전선 전투 명예 십자 훈장 1939.9.18 : 1939년 제정 2급 철십자 훈장 보장 1939.9.25 : 1939년 제정 1급 철십자 훈장 보장 1940.5.26 : 기사 철십자 훈장(45번째 서훈) 시기 미상 : 1942년 데미얀스크 전역 종군 기념장 1943.8.21 : 곡엽 기사 철십자 훈장(274번째 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