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50년 출생]][[분류:1934년 사망]][[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의 귀족]][[분류:나치당원]]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 '''{{{#fff 독일 제국군 보병대장[br]{{{+1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br]Eduard von Liebert}}}'''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440px-Eduard_von_Liebert.jpg|width=100%]]}}} || ||<#666> {{{#FFF 이름}}} ||'''Eduard Wilhelm Hans von Liebert'''[br]에두아르트 빌헬름 한스 폰 리에베르트[*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리에베르트'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 ||<#666> {{{#FFF 출생}}} ||[[1850년]] [[4월 16일]] [[렌츠부르크]] || ||<#666> {{{#FFF 사망}}} ||[[1934년]] [[11월 14일]](향년 84세) [[나치 독일|독일국]]|| ||<#666> {{{#FFF 복무}}} ||[[프로이센군]](1866년 ~ 1871년)[br][[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width=25]] [[독일 제국군]](1871년 ~ 1917년) || ||<#666> {{{#FFF 최종계급}}} ||[[파일:General_(Wurttenburg).gif|width=35px]] 독일 제국군 보병대장|| ||<#666> {{{#FFF 주요참전}}} ||[[보오전쟁]][br][[보불전쟁]][br][[제1차 세계 대전]] || ||<#666> {{{#FFF 서훈}}} ||[[푸르 르 메리트]]||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는 [[독일 제국군]]의 군인이다.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총독으로 복무하였었다. == 생애 == 리에베르트는 평민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도 군인이었지만 1853년 사망하였다. 1866년, 리에베르트는 아버지를 따라 프로이센 육군에 입대하였다. 리에베르트는 보오전쟁에서 나호드 전투에 참여하며 소위가 되었고, 이후 발발하는 보불전쟁에서도 활약하며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리에베르트는 프로이센 전쟁 대학에서 공부한 후 1872년 졸업하였고, 하노버에 위치한 육군사관학교의 교관이 되었다. 대위로 진급한 후, 장군참모의 일원이 되었다. 1888년, 리에베르트는 [[독일령 동아프리카]]에 배치되었고, 당시 총독이었던 비스만 대위가 어디로 가는지에 대해 보고할 것을 명령받았다. 이후 독일로 돌아왔고, [[이홍장]]이 1896년 독일에 방문하였을때, 그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여, [[청나라]]에서 훈장도 받았다. 이후 리에베르트는 1896년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총독이 되었다.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총독으로 부임한 리에베르트는 이전 총독 보스만이 탄압하던 종족들과 타협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이외에도 식민지에서의 경제활동을 성장시켰다. 이러한 공적으로 1900년 1월 1일, 리에베르트는 [[빌헬름 2세]]에게서 귀족 칭호를 받았다. 독일에서 리에베르트는 군국주의 활동을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다양한 전선에서 부대를 지휘하였다. 1917년 전역하였고, 전후 극우 정치인의 모습을 보였다. 1929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에 가입하였다. 이후 1934년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