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슬로바키아 총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587 0%, #004ba2 20%, #004ba2 80%, #003587); color: #fff" '''[[슬로바키아 총리|{{{#fff 슬로바키아 공화국 제10대 총리}}}]][br]{{{+1 에두아르드 헤게르}}}[br]Eduard Heg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PP_Summit,_20_October_2022,_Brussels_(52441581594).jpg|width=100%]]}}} || ||<|2> '''출생''' ||[[1976년]] [[3월 3일]] ([age(1976-03-03)]세)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브라티슬라바]] || ||<|2> '''재임기간''' ||제10대 [[슬로바키아 총리|총리]] || ||[[2021년]] [[4월 1일]] ~ [[2023년]] [[5월 15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 || '''학력''' ||브라티슬라바 경제대학 {{{-2 (학사 / 공학)}}} || || '''배우자''' ||루치아 헤게로바 || ||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82B90; font-size: .9em" [[민주당(슬로바키아)|{{{#fff '''민주당'''}}}]]}}} || || '''약력''' ||부총리 겸 재무장관 {{{-2 (2020 ~ 2021)}}}[br]'''제10대 슬로바키아 총리 {{{-2 (2021~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바키아]]의 정치인으로 2021년 4월 1일 슬로바키아 제10대 총리로 취임했다. == 생애 == [[2016년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선거]]에서 반부패 정당인 [[평범한 사람과 독립적인 인격]](OĽaNO) 소속으로 처음 의석을 얻었으며, 2020년까지 로베르트 피초 내각을 비판하는 야당 의원으로 활동했다. [[2020년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OĽaNO가 선거에서 승리하며 여당으로 올라섰고 [[이고르 마토비치]] 내각에서 재무장관과 부총리를 역임했다. 그러나 2022년 내각불신임결의를 받았고 정부가 해산되었다. 헤게르는 차기 내각이 구성될 때까지 임시 총리로 재임했으나 [[2023년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선거|9월 조기총선]]을 앞둔 5월 7일에 사임을 발표했다.[[https://v.daum.net/v/20230507210830125|#]] 3월 7일, 마토비치의 OĽaNO를 전격 탈당하고 민주당을 창당했다. 하지만 헤게르가 이끄는 민주당이 2.9% 득표율로 원내 진입에 필요한 5% 득표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원외로 추락하고 말았다. 자유주의 성향의 반 피초-사민당 민심이 헤게르 전 총리가 이끄는 민주당 대신 국민적 신뢰도가 더 높은 편인 [[주자나 차푸토바]] 대통령이 있는 [[진보 슬로바키아]] 쪽으로 결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분류:슬로바키아 총리]][[분류:브라티슬라바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