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에데스투스}}}[br]Edest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estus_(8074314212).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Edestus'' '''[br]Leidy, 185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전두어아강(Holocephal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에우게네오두스목(Eugeneodontid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에데스투스과(Edes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에데스투스속(''Edestus'')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olding [펼치기 · 접기] * †에데스투스 보락스(''E. vorax'')^^{{{-1 모식종}}}^^[br]E. vorax Leidy, 1856 * †에데스투스 미노르(''E. minor'')[br]Newberry in Newberry and Worthen, 1866 * †에데스투스 헤인리키(''E. heinrichi'')[br]Newberry and Worthen, 1870 * †--에데스투스 기간테우스(''E. giganteus'')[br]Newberry 1888-- * †에데스투스 트리세라투스(''E. triserratus'')[br]Newton, 1904 * †--에데스투스 카르핀스키(''E. karpinskii'')[br]Missuna 1908-- * †--에데스투스 크레눌라투스(''E. crenulatus'')[br]Hay 1909-- * †--에데스투스 미니스쿨루스(''E. minisculus'')[br]Hay 1909-- * †--에데스투스 세라투스(''E. serratus'')[br]Hay 1909-- * †--에데스투스 미루스(''E. mirus'')[br]Hay 1912-- * †--에데스투스 네우토니(''E. newtoni'')[br]Woodward 1916-- }}} || [[파일:마귀상어?.png|width=500]] 복원도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생대]] [[석탄기]] 후기에 살았던 [[연골어류]]의 일종으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포식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 특징 == [[영국]]과 [[러시아]], [[미국]] [[텍사스]] 주 등지에서 이빨 화석이 발견되면서 알려졌으며, 몸길이 추정치는 가장 큰 종인 헤인리키 종 기준으로 최대 6.7m 정도로 오늘날의 [[백상아리]]와 엇비슷한 몸집이었다. 물론 가장 큰 종만 이 정도 크기고 나머지 종들은 그보다 작다. '''"가위 이빨 상어(Scissor-tooth Shark)"'''라는 별칭의 유래가 된 날카로운 이빨들이 위 아랫턱에 각각 한 줄로 늘어선 채 밖으로 튀어 나와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은 현생 상어들이 평생 이빨을 갈아 치우는 것과는 달리 이 녀석의 경우 이빨이 오래되어 닳거나 해도 저절로 빠지지 않고 대신 안쪽에서 이빨이 새로 나올 때마다 밖으로 줄줄이 밀려나는 방식이었던 것이 주된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주로 자신보다 작은 [[어류]]나 무척추동물들을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빨의 가장자리가 날카로운 톱니 모양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단단한 외피를 가진 먹잇감도 사냥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다만 이빨 외에는 화석 자료가 발견된 것이 거의 없어서 머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생김새나 자세한 생태는 확실하지 않다. [[헬리코프리온]]과 마찬가지로 계통 상 [[상어]]가 아니며, 오히려 [[은상어]]와 더 가깝다. == 등장 매체 == [[쥬라기 공원 빌더]]에서 전시 가능한 고생물로 나온다. 후속작인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토너먼트 경품으로 등장. [[분류:에데스투스과]][[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