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업힐/멕시코/멕시코주)] [목차] == 개요 == 멕시코 시티 자체가 해발 2,200m 넘는 곳에 위치한데다 멕시코 수도권을 산으로 둘러싸고 있는 분지지형 덕분에 업힐이 많다. 멕시코주 기타 지역의 업힐과 수도권 지역의 업힐 문서가 분리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여기서 수도권 정의는 [[https://es.wikipedia.org/wiki/Zona_metropolitana_del_valle_de_M%C3%A9xico|스페인어 위키백과]]에 정리된 도시들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멕시코 시티]]와 붙어있고, 멕시코 시티에서 출발하는 시계외 시내버스가 운행하더라도 이 위키백과에서 수도권으로 정의되지 않은 도시에서의 업힐은 [[업힐/멕시코/멕시코주]]에 작성할 것. == [[수도고속도로(멕시코)|수도고속도로]] 서부구간 == ※ [[수도고속도로(멕시코)|수도고속도로]] 서부구간은 사실상 전체가 업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서부구간 본선 전체 구간만 이곳에 서술하며, 페리노르테 (Perinorte) 지선구간 등 부분적 구간에 대해 서술하고자 할 경우에는 업힐이 시작되는 지방자치단체 칸에 서술할 것. * '''위치''' : [[수도고속도로(멕시코)|수도고속도로]] 서부구간 * '''코스''' : 콰우티틀란 이스칼리 ~ 아티사판 ~ 마딘 ~ 차마파 ~ 인테르로마스 ~ 라 벤타 * '''길이''' : 전구간 이용시 38.8km. 본격 업힐 구간 7km * '''표고차''' : 전구간 이용시 511m, 본격 업힐 구간 308m * '''평균경사도''' : -%, 본격 업힐 구간 4% * '''기타사항''' : 이곳에서 설명하는 "본격 업힐 구간"은 인테르로마스에 도착하기 전에 있는 보스케 레알에서 종점인 라 벤타 톨게이트 구간을 말한다. 이 본격 업힐 구간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반복되며 고도가 조금씩 증가한다. 즉, 콰우티틀란 이스칼리에서부터 보스케 레알까지의 31.8km 구간에서는 203m의 획득 고도를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며, 다른 곳에 갔다가 복귀하는 게 아니라면 그렇게 힘들지는 않다. 본격 업힐 구간에서는 평균 경사도가 4% 나오지만 5 ~ 6%까지도 나오는 구간이 있으며, 카테고리 3으로 등록되어있다. 이 업힐은 [[멕시코 15번 국도|15번 국도]] 또는 [[멕시코 15D번 고속도로|멕시코 시티 - 라 마르케사 고속도로]]를 타고 라 마르케사까지 가기 때문에 라 마르케사가 목적지이거나 이곳을 넘어 [[톨루카 데 레르도|톨루카]] 쪽으로 간다면, 실질적인 업힐 구간은 매우 길다. == 나우칼판 데 후아레스 == === 테카마찰코 업힐 === * '''위치''' : 델 라스 푸엔테스로 (Av. de las Fuentes) 구간의 테카마찰코 일대 구간 * '''코스''' : 멕시코시티의 폴랑코에서부터 업힐이 시작된 뒤, 델 라스 푸엔테스로 (Av. de las Fuentes)를 타고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로 간다. * '''길이''' : 전구간 이용시 4km * '''표고차''' : - * '''평균경사도''' : -% * '''기타사항''' : 이후 보스케스로 (Av. Bosques) 타고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로 간다. == 아메카메카 (Amecameca) == === 파소 데 코르테스 (Paso de Cortés) 업힐 === ||<:>[[파일:pasodecortes_map.png|width=700]]|| ||<:>[[파일:pasodecortes_climb.png|width=700]]|| * '''위치''' : [[멕시코(행정구역)|멕시코주]] 아메카메카 동부지역 * '''코스''' : [[멕시코 115번 국도|115번 국도]]와 교차하는 사거리에서 출발하여 산 페드로 넥사파 (San Pedro Nexapa)를 통과한 뒤 틀라마칵스코 (Tlamacaxco) 입구에 있는 [[에르난 코르테스]] 기념탑 앞에서 끝난다. * '''길이''' : 23 km * '''표고차''' : 약 1,144m * '''평균경사도''' : 5% * '''기타사항''' : [[포포카테페틀]] (Popocatépetl)과 이스타시와틀 (Iztaccihuatl) 사이에 있는 지점으로 올라가는 길이며, 포포카테페틀 화산에 가장 가까이 가는 업힐이기도 하다. 아메카메카 시내에서 산 페드로 넥사파까지는 1 ~ 3%대로 경사가 그리 급하지는 않으나, 마을을 통과한 후에는 5 ~ 7%대로 갑자기 경사가 급해진다. 그래서 멕시코 수도권에서는 힘든 코스 중 하나로 여기기도 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 업힐에 HC 등급이 붙었다. 시작점 고도는 2,464m, 종점 고도는 3,608m이므로 고산병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라며, 고산병 위험으로 인해 여러 동호회에서는 이 코스에 참가하려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체류비자 및 체류자격 확인을 하고 있다. 관광객으로서는 사실상 가기 힘들며, 비자 확인을 통해 멕시코 수도권 체류 후 6개월 정도는 지나야 참가를 허용하는 편이다. 업힐 시작부에 포포카테페틀 화산이 보이기 시작하며, 중반까지 포포카테페틀 화산을 계속 볼 수 있다. 그러나 업힐 중반부터 파소 데 코르테스 종점까지는 포포카테페틀 화산을 볼 수 없는데, 벽에 가로막혀 있기 때문. 반면 이스타시와틀 화산은 중간에 나무에 가려지는 구간이 있긴 하지만 업힐 내내 볼 수 있으며, 종점에서도 볼 수 있다. 업힐 과정에서 커브길이 여러 군데 있으므로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기 바람. 그리고 산 페드로 넥사파 이후부터는 식수와 간식거리를 구할 수 없으므로 연쇄점에서 보급 후 출발하기 바람. 아메카메카에서 보급해도 된다. 업힐이 끝난 이후 푸에블라 방향으로의 다운힐이 있긴 하지만, 파소 데 코르테스에서 푸에블라 방향으로는 오프로드 도로라 보통 로드 바이크를 운전한 사람들은 에르난 코르테스 기념탑 앞에서 회차하여 아메카메카로 돌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당 구간에는 MTB 자전거로는 통행할 수 있겠지만, 인적이 드물어 치안이 그리 좋지 않으므로 함부로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 에르난 코르테스 동상에서 할리신틀라 (Xalitzintla, PUE)까지 이어지며, 해당 구간은 15km. 파소 데 코르테스 국도 자체는 산 안드레스 촐룰라 (San Andrés Cholula, PUE)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촐룰라로 가는 게 목적이라면 [[멕시코 시티]]에서 출발한 경우 고속도로로 가는 것이 나으며, [[콰우틀라 데 모렐로스|콰우틀라]]에서 출발한 경우 [[아틀릭스코]]를 경유하는 것이 낫다. 틀라마칵스코 (Tlamacaxco) 종점에서 오른 쪽으로 빠지면 틀라마카스 대피소 (Albergue Tlamacas)로 갈 수 있는데, 이곳까지 가면 해발 4,000m 가량 된다. 그러나 화산 분화를 이유로 차량 통행이 막혀 있으므로 그쪽으로 자전거를 타고 함부로 갈 생각은 하지 말 것.[* 27년 전인 1993년부터 막혀있었다고 하며, 만약 진입을 시도할 경우 경비 중인 멕시코주 주경찰에 의해 적발되어 제재를 당할 수 있다.] 왼쪽으로 가면 이스타시와틀로 갈 수 있으나, 알트소모니 대피소 (Refugio de Altzomoni)까지 오프로드이기 때문에, MTB 자전거가 아닌 한 진입할 수 없으므로, 로드 바이크 및 유사한 종류의 경우 파소 데 코르테스가 한계이다. 포포카테페틀은 엄연히 활화산이므로 그쪽에서 대규모 분화가 있으면 출입이 금지된다. 해당 구간은 [[에르난 코르테스]]가 [[멕시코]]를 침략할 때 사용한 루트이기도 하다. 물론 푸에블라에서 아메카메카 방향으로 진행했다. 이후 [[테노치티틀란]]으로 가서 [[아즈텍 제국]]을 무너뜨렸는데, 이 과정에서 아즈텍 제국의 마지막 [[틀라토아니]]인 [[콰우테목]]이 살해당하는 등 사상자가 나왔다. == 우익스킬루칸 데 데고야도 (Huixquilucan de Degollado) == === 델 로스 보스케스 업힐 === ====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 지선 ==== ||<:>[[파일:climb anahuac mexico nte.png|width=700]]|| * '''위치''' : [[멕시코(행정구역)|멕시코주]] 우익스킬루칸 데 데고야도 동남부지역 * '''코스''' : 우익스킬루칸 데 데고야도와 나우칼판 데 후아레스의 경계지점인 테카마찰코에서 시작되어 델 로스 보스케스로 (Av. de los Bosques)와 아나우악대로 (Blvd. Anáhuac)를 거쳐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의 서문에서 끝난다. * '''길이''' : 3.7 km * '''표고차''' : 약 93 m * '''평균경사도''' : 2% * '''기타사항''' : 델 로스 보스케스 업힐의 아류이며, 멕시코 수도권의 부촌 지역 중 하나인 인테르로마스로 넘어가기 위해 이용되는 업힐이다. [[아나우악 대학교]]의 본교인 북멕시코 캠퍼스를 거친다. 우익스킬루칸에 들어서고 난 뒤부터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 정문까지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나, 정문을 통과한 후 내리막이 시작되며, 아나우악대로 (Blvd. Anáhuac)에 들어서고 나서부터는 경사도 10%대의 급격한 오르막이 있는데, 이는 아나우악 대학교 북멕시코 캠퍼스의 서문에서 끝난다. 이후 업힐을 계속하여 아나우악대로를 타고 산타페로 들어갈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업힐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아나우악 대학교 주변에 사는 사람들이 아니면 인테르로마스로 가기 위해 이용하므로 이곳에서 끝난다고 봐야된다. 멕시코 시티에서 출발하는 경우 총 획득고도는 233m이며, 폴랑코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총 획득고도가 181m가 된다. == 익스타팔루카 (Ixtapaluca) == === 야노 그란데 업힐 (고속도로) === ||<:>[[파일:map_llanogrande_150d_cdmx.png|width=700]]|| ||<:>[[파일:uphill_150d_lgrande_cdmx.png|width=700]]|| * '''위치''' : [[멕시코 150D번 고속도로]]상 익스타팔루카 동부지역 * '''코스''' : 산 마르코스 톨게이트를 지나고 나서부터 업힐이 시작되며, 야노 그란데에서 끝난다. * '''길이''' : 전구간 이용시 23km * '''표고차''' : 949m * '''평균경사도''' : 4% * '''기타사항''' : 이스타치와틀 화산 (Volcán Iztaccihuatl)을 오르는 업힐이다. [[멕시코 시티]]에서 [[푸에블라]]로 넘어갈 때 옆에 있는 [[멕시코 190번 국도]]와 자주 이용되는 업힐인데, 인근 마을의 불안한 치안 등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쪽으로 더 많이 간다. 산 마르코스 톨게이트를 지난 이후에는 1 ~ 2%대의 경사도를 가지나, 주유소를 지나고 난 이후부터 경사가 급해지기 시작해서 4 ~ 5% 대의 경사가 종점까지 계속해서 이어진다. 심할 때에는 6%대에 이르는 때도 있으나 그 거리는 길지 않다. 시작점이 해발 2,251m이며, 종점이 해발 3,201m이므로 고산병에 각별히 유의해야한다. 따라서, 평균 경사도는 4%에 지나지 않으나, 23km에 달하는 거리 때문에 HC 등급이 매겨졌다. 반대 쪽 업힐은 [[업힐/푸에블라]] 참조. === 야노 그란데 업힐 (국도) === * '''위치''' : [[멕시코 190번 국도]]상 익스타팔루카 동부지역 * '''코스''' : 익스타팔루카 병원을 지나고 나서부터 업힐이 시작되며, 야노 그란데에서 끝난다. * '''길이''' : 전구간 이용시 21.3km * '''표고차''' : - * '''평균경사도''' : -% * '''기타사항''' : 이스타치와틀 화산 (Volcán Iztaccihuatl)을 오르는 업힐이다. [[분류:업힐]][[분류:멕시코의 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