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엄마와 함께}}}'''[br]おかあさんといっしょ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엄마와 함께 포스터 이미지.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장르''' ||교육 방송, [[음악 방송]] || || '''채널''' ||[[NHK 교육 텔레비전|[[파일:NHK E 로고.svg|width=50]]]] || || '''방송 시간''' ||[[월요일]] ~ [[토요일]] 오전 7시 45분 ~ 오전 8시 9분 || || '''방송 기간''' ||[[1959년]] [[10월 5일]] ~ [include(틀:온에어 표시)] || || '''출연''' ||하나다 유이치로, 나가타 마야, 사쿠모토 카즈무, 아키모토 아즈키 || || '''링크''' ||[[https://www.nhk.jp/p/okaasan/ts/ZPW9W9XN42|[[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NHK 교육|NHK 교육 텔레비전]][* 한국에서는 [[NHK 월드 프리미엄]]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에서 방영중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 상세 == [[1959년]]에 첫 방영을 개시하여 [age(1959-01-01)]년째 방영되고 있는 초장수 프로그램으로[* 원래는 제목 그대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프로그램이었다.], 일본에서는 한국의 [[TV유치원]] 및 [[딩동댕 유치원]], [[뽀뽀뽀]]랑 같은 위상을 갖는다. 일정 시기가 되면 [[애니메이션]]이나 [[인형극]], 노래, 안무[* 2023년 현재 노래 담당은 하나다 유이치로, 나가타 마야(2022년 4월 4일부터 전임 오노 아츠코의 뒤를 이어 담당), 안무 담당은 사쿠모토 카즈무(2023년 4월 3일부터 전임 후쿠오 마코토의 뒤를 이어 담당), 아키모토 아즈키가 맡고 있다.]는 물론 담당자까지 통째로 바뀌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이를 통해 연령대나 세대를 가늠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TV유치원이나 딩동댕 유치원, 뽀뽀뽀에 등장했던 캐릭터 및 진행자로 누구를 기억하느냐에 따라 나이나 세대를 가늠할 수 있었던 것과 동일하다.] [[스푸]]가 이 프로그램에서 나왔는데,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오랫동안 등장해서 일본에선 기억하는 사람이 많은 편. [[2023년]] 기준으로는 '판타네!'(ファンターネ!)라고 통칭되는 동물 캐릭터가 등장한다. 몇몇은 한국에서도 소개되었다. 비디오로 발매된 우리는 꼬마대장(こんなこいるかな)이나 [[열려라 꿈동산]]에서 방송된 토토의 꿈동산(にこにこぷん)[* 여담으로 PC엔진용 게임으로도 나왔는데 [[똥겜]] 판정을 받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7EI32QHtcH8|#]]]의 만화영화판이 대표적인 예시. [[애 봐주는 비디오]]도 방송한 적이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전에는 스튜디오 촬영 외에도 [[모여라 딩동댕|각 지역별로 돌면서 방청객을 초청하는 공개 방송]]도 있었는데, 참가 자격은 시청료를 납부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서 선정한다. 참고로 [[애니송]] 대부라고 불리는 [[미즈키 이치로]]도 3년간 노래 담당으로 활동한 적도 있고[* 2대 노래의 형님, 애니송 싱어 중에는 [[타이라 이사오]]가 3대, 미야우치 료가 4대, 하야미 켄타로가 8대 노래의 형님 역할을 맡았다.], 애니메이션 [[안녕 절망선생]]에서도 이 프로그램을 [[패러디]]한 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스핀오프작으로는 '아빠와 함께(おとうさんといっしょ)'가 있다. [[분류:NHK]][[분류:일본의 방송]][[분류:음악 방송]][[분류:아동용 TV 프로그램]][[분류:1959년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