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E6E6FA> '''{{{+1 얼터너티브 힙합}}}[br]Alternative hip hop''' || ||<|2> '''기원''' ||^^'''장르'''^^ [[힙합 음악|힙합]], [[팝 음악|팝]], [[펑크(음악)|펑크]], [[락 음악|락]], [[재즈]], [[소울 음악|소울]], [[레게]], [[포크 음악|포크]], [[얼터너티브 락]], [[얼터너티브 메탈]]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등장 시기''' ||[[1980년대]] 후반 || || '''사용 악기''' ||[[보컬]], [[턴테이블]], [[드럼]], [[키보드]], 샘플러, [[기타]] || || '''하위 장르''' ||[[재즈 랩]] || [목차] [clearfix] == 개요 == 얼터너티브 힙합은 [[힙합 음악]]의 하위 장르로,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힙합의 정형성을 따르지 않고 여러 장르를 혼합하거나 새롭게 독창적으로 표현한 힙합 음악을 아우르는 표현이다. 힙합이라고 말하기엔 이상하지만 그럼에도 힙합의 기본적인 느낌은 갖고 가는 장르이다. == 상세 == 얼터너티브 힙합은 [[198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뉴욕]]의 [[A Tribe Called Quest]]가 초기의 대표적인 얼터너티브 힙합 그룹이었으며, 그들은 단순한 비트보다는 펑키하고 다양한 샘플들을 만들어냈다. 90년대 초반 [[애틀랜타]] 출신의 얼터너티브 힙합 그룹 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가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얼터너티브 힙합의 인기는 [[1990년대]] 초 [[얼터너티브 록]]과 같은 시기에 시작되었지만, 곧 하드코어 [[갱스터 랩]] 붐과 [[스눕 독]]과 [[Nas]]와 같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가려졌다. 하지만 [[The Roots]], [[Mos Def]]와 같은 몇몇 얼터너티브 힙합 아티스트들은 인디나 언더그라운드에서 계속 활동하였고, 90년대 중반 ~ 00년대 중반에 [[애틀랜타]]의 [[아웃캐스트]]가 차트 히트곡, 히트 앨범들을 내세우며 성공 하였다. 다른 주목할 만한 얼터너티브 힙합 활동으로는 [[키드 커디]], [[Run The Jewels]], 힙합 보이 밴드 [[브록햄튼]]이 있다. == 대표 아티스트 == * [[A Tribe Called Quest]][* 이쪽은 재즈를 접목시킨 재즈힙합의 선구자.] * Arrested Development * [[데 라 소울]] * [[브록햄튼]] * [[사이프러스 힐]] * Dilated Peoples * [[Gym Class Heroes]] * Jay Electronica * [[에픽하이]] * [[카니예 웨스트]] * [[키드 커디]] * [[맥클모어]] * [[맥 밀러]] * [[Mos Def]] * [[Odd Future(힙합 크루)|Odd Future]] * [[아웃캐스트|Outkast]] * [[Run The Jewels]] * Saul Williams * [[트웬티 원 파일럿츠]] * [[Big Boi]] * [[Big K.R.I.T.]] * [[더 루츠]] * [[Beenzino]] == 논란 == 장르의 정의가 지나치게 애매해 제대로 된 장르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얼터너티브 힙합의 대표주자로 분류되는 [[A Tribe Called Quest]]는 재즈 힙합을 선구해 힙합에 대안을 주었다고 설명되곤 하는데, 재즈 샘플은 기존에도 힙합에서 항상 쓰여왔고 얼터너티브 힙합이 아니라고 분류되는 많은 그룹들도 써왔기에 그것을 얼터너티브하다고 부르기에 애매하다고 주장하는 측이 있다. 유명 음악 사이트인 [[Rate Your Music]]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받아들여져 얼터너티브 힙합이 공식적으로 장르 목록에서 사라지기도 했다. [[분류:얼터너티브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