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문십철)] [include(틀:사기)] [목차] == 개요 == {{{+1 言偃}}} 기원전 506~기원전 403 [[공자]]의 제자 중 하나. 성,,,姓,,,은 언(言), 이름,,,[名],,,도 언(偃)[* 설문해자에서는 이름이 㫃, 자가 子游이라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를 보아 이름은 㫃으로 쓰기도 한 모양이다.], 자,,,字,,,는 자유(子游)이기 때문에 주로 자유라는 이름으로 문헌에 자주 등장한다. == 생애 == 공자 말년에 자하, 자장, [[증삼]]과 함께 상당히 아꼈던 제자 중 하나로 보인다. [[오나라]] 사람으로 [[공문십철]]뿐 아니라 72현 중에서도 유일한 강남 지역 출신이다. 공자 사후 고향인 장강 남쪽으로 돌아가 유교를 퍼뜨렸기 때문에 유교의 외연을 넓히는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래서 훗날 남방부자(南方夫子)라고 불리게 되는데, 공자가 공부자(孔夫子)라고 불린 걸 생각하면 상당한 경칭이다. 그래서 [[당나라]] 때는 오후(吳侯)로, [[송나라]] 때는 오공(吳公)으로까지 칭호가 상승한다. 자유학파의 경우 예와 악을 중시한 것으로 보이는데, 무성을 다스리는 관리로 있을 때[* 이걸 전에는 재상으로 있었다고 했지만 여기서 재(宰)는 지방관이란 뜻으로 봐야 한다.] 백성들에게 시울을 뜯고 노래를 부르는 것을 가르쳤다. 공자는 지나가다가 그걸 보고 흐뭇해하며 "뭔 닭 잡는데 소 잡는 칼 쓰냐?"는 농담[* 즉 "선비한테나 가르치라고 내가 가르쳐준 걸 소인들한테도 가르쳤네?" 정도의 뜻이다.]에 자유는 "군자가 도를 배우면 남을 사랑하게 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가 쉽다고 하시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선생님이 소인들한테도 가르치면 다스리기 좋다면서요?"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라는 말로 받아쳤다. 이에 공자는 제자들을 불러모아 “제자들아, 자유의 말이 옳다. 조금 전에 내가 한 말은 농담이다”라고 했다. 언언은 정치에 있어서도 예와 악의 중요성을 알아채어 다스린 것이다. 저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쓴다'라는 표현은 [[삼국지연의]]에서 [[화웅]]이 한 말로 알려져 있지만 원전은 이 언언의 이야기이다. (출처:[[논어]] 양화편, [[사기(역사책)|사기]] 중니제자열전 자유편) 자주 비교되어 거론되는 인물은 [[복상|자하]]나 [[전손사|자장]] 정도로, 그중 자하와는 공문십철에서 함께 문학에 뛰어난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런데 워낙 자주 비교가 되었는지 자하의 제자들을 예절만 가르쳐서 그 근본을 모른다고 디스하기도 했다. 자하는 이에 대해 "예절도 가르치면서 근본도 가르치는 건데 그게 둘 다 되면 성인이게?" 정도로 대답하기도 했다. 자하 또한 자장에 대해서 어려운 일은 잘하는데 인한 경지는 아니라면서 디스하기도 했다. 자유가 효도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가 잘 먹이는 건 개나 말도 다 하는 거니까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각 인물의 특성에 맞게 교육한 공자의 교육 방법으로 볼 때는 물질적인 효를 중시했었을 수도 있다. [[분류:공자의 제자]] [[분류:기원전 506년 출생]] [[분류:기원전 403년 사망]] 공자보다 45년 어리고 공자가 중요시 했던 예, 명, 인, 중에 예의 의미에 집착하는 성격이었다. 예란 위아래의 질서, 예절 여자다워야 하고 남자다워야 하는 그런 것들을 예시로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