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언리얼 토너먼트 2004}}}'''[br]''UNREAL TOURNAMENT 2004''}}} || ||<-2> [[파일:b07237be800d559b7ab9eb2398d4c7d5.png|width=100%]] || || '''개발 (주)''' ||[[에픽 게임즈]] || || '''개발 (보조)''' ||[[디지털 익스트림즈]] / Psyonix[* 2000년도에 [[샌디에이고]]에 설립된 회사로, 2019년 5월 2일자로 [[에픽게임즈]]의 자회사로 인수되었다][br]/ 스트림라인 스튜디오 / 싸이언 스튜디오[* 미 육군 모집 홍보용 게임인 America's Army를 제작했던 회사로 언리얼 챔피언십 2의 개발도 담당했으며, 후에 에픽게임즈에 인수합병되었으며 싸이언 스튜디오라는 이름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에픽게임즈 사무실로 모든 인원이 흡수되었다] || || '''유통''' ||[[아타리]] / [[미드웨이(회사)|미드웨이]] / [[에픽 게임즈]] / 손오공[* 한국] || || '''플랫폼''' ||[[Windows]] | [[Linux]] | [[Mac OS X]] || || '''ESD''' ||[[Steam]] | [[GOG.com]] || || '''장르''' ||[[1인칭 슈팅 게임|FPS]] || || '''출시''' ||2004년 3월 16일 || || '''엔진''' ||[[언리얼 엔진 2|언리얼 엔진 2.5]] v3120 ~ v3369 || || '''한국어 지원''' ||자막 한글화 / 튜토리얼 음성 한국어 녹음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5세 이용가(한글판, 틴 버전)}}}''']][br][[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width=16]] '''{{{#000000,#dddddd 청소년 이용불가(영문판)}}}''']] || || '''해외 등급''' ||[[ESRB|[[파일:ESRB Mature.svg|width=16]]]]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픽 게임즈]]의 [[1인칭 슈팅 게임|FPS]] 게임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완전판에 해당하는 게임으로,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여 새로운 게임모드와 맵, 캐릭터 등을 추가하고 전반적으로 다듬은 게임이며 '''2004년 3월 16일'''에 출시되었다. == 개발 == [[파일:attachment/uploadfile/ut2004.jpg|width=600]] 언리얼 토너먼트 2004는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이 출시된 2002년 10월 1일 이후 1개월이 지난 2002년 11월부터 개발에 돌입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을 기반으로 게임플레이를 가다듬고, 새로운 게임 모드를 추가하고, 다수의 맵과 캐릭터를 추가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대부분의 개발은 에픽게임즈가 담당했고 다른 개발사들이 약간의 작업을 도왔다. * 에픽 게임즈 * 언리얼 엔진 업그레이드 :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최종 패치인 빌드 2225에서 약 1천회의 빌드를 거쳐 빌드 3186으로 정식 버전 출시[* 렌더링 속도 및 최적화, 라이팅 개선, 로딩 속도 향상, 오디오, 네트워크 등 모든 부분에 걸친 향상을 포함한다] * 새로운 UI 시스템 개발 및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메인메뉴, 새로운 뮤직 플레이어를 비롯한 게임 내 모든 UI * VoIP 시스템 개발 및 BOT에게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는 기능 * BOT AI 개선 : 팀 플레이 시 협력, 어썰트 및 온슬롯 모드 등에 걸맞는 행동 등 * 데모 녹화 기능 개선 * 커뮤니티 기능 : 뉴스, 패치, 모드 소식 및 다운로드 지원 * 싱글플레이어 모드 : 약간의 RPG성이 포함된 매치 시스템 * 어썰트 게임타입 개발 * 무기 : 스나이퍼 라이플 추가 * 맵[* 스태틱 메시 및 텍스처 포함] : 총 30개 - 어썰트 6개, 데스매치 16개, CTF 5개, 더블 도미네이션 2개, 바밍 런 1개 * 캐릭터 : 스카 종족을 포함한 총 31개의 캐릭터 모델[* 스켈레탈 매시 및 스킨] 및 애니메이션 * 음악 : Kevin Riepl이 작곡한 새로운 24개의 곡[* Kevin Riepl이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서 작곡한 23곡 + 언리얼 토너먼트 2004에서 작곡한 23곡으로 Kevin Riepl의 음악은 총 46곡으로, KR-로 시작하는 ogg 파일이 언리얼 토너먼트 2003보다 23개 추가되었다] 및 SDG(Sound Design Group)의 Will Nevins이 작곡한 7곡[* 온슬롯 맵에서 사용되는 곡으로 SDG-ONS01.ogg부터 SDG-ONS08.ogg까지인데 07이 없어서 총 7곡이며, 이중 06은 게임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뮤직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거나 언리얼 에디터에서 맵의 음악을 바꾸거나 유저맵에서 사용할 수는 있다] 추가 * 디지털 익스트림즈 * 인 게임 HUD * 무기 : 3개 - 어썰트 라이플, 쇼크 라이플, 링크 건의 새로운 디자인[* 언리얼 챔피언십의 디자인을 사용한 것이 아니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디자인과도 완전히 다른 새로운 디자인으로 다시 개발했다] * 맵 : 총 14개 - 데스매치 3개, CTF 6개, 더블 도미네이션 3개, 바밍 런 2개 * 캐릭터 : 새로운 캐릭터 2개 * 싸이오닉스 * 온슬롯 게임타입 개발 * 탈 것 : 6개 - 랩터, * 무기 : 트랜스로케이터의 새로운 디자인 * 대차량 무기 : 4개 - 유탄 발사기, 거미 지뢰 발사기, 대차량 로켓 발사기, 타켓 페인터 * 고정형 무기 : 1개 - 에너지 터렛 추가 * 맵 : 온슬롯 7개 * 스트림라인 스튜디오 * 인 게임으로 구동되는 싱글플레이어 모드 인트로 * 맵 : 온슬롯 1개 * 싸이언 스튜디오 * 맵 : CTF 맵 1개 == 스토리 == 서기 2362년. 이전에 열렸던 토너먼트를 초라하게 만들정도로 엄청나게 기대되는 토너먼트가 다가온다. 여기에 모인 최고의 선수들은 상대를 초토화시키고 토너먼트 트로피를 차지할 준비가 되어있다. 2362년의 토너먼트에는 25년 역사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선수들이 등장한다. The Corrupt: Xan Kriegor는 Malcolm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네 번째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Xan 물리칠 때까지 오랫동안 무적으로 간주되어왔다. 오랜 공백 끝에 Xan은 Liandri에 소속된 The Corrupt 팀을 챔피언십으로 다시 이끌기 위해 돌아왔습니다. Xan은 그의 관심사인 것으로 인식되는 초기 라운드에 앉아 있습니다. 천둥 충돌: 오랜 팀 동료인 브록과 로렌과의 이별이 잘 알려진 후, Malcolm은 그의 옛 팀인 Thunder Crash를 이끌기 위해 돌아왔습니다. Malcolm은 현재 작년 챔피언십 경기에서 입은 부상을 재활하고 있지만 토너먼트 결승전에 맞춰 건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언 가드: 브록과 로렌은 토너먼트 챔피언으로 통치하는 동안 말콤과 힘을 합쳤습니다. 작년 토너먼트에서의 충격적인 패배에 대한 내분과 비난은 그 팀의 해체로 이어졌습니다. 이제 브록과 로렌은 옛 팀인 아이언 가드를 이끌고 돌아왔습니다. 저거너트: Gorge는 토너먼트 챔피언으로서의 1년 통치가 우연이 아님을 증명하기로 결심하고 챔피언십으로 이끈 Juggernaut 팀을 다시 모았습니다. Axon Research Corporation은 올해 토너먼트를 위해 Juggernauts 디자인에 갑옷과 생체 유전 학적 업그레이드를 수행했습니다. 아이언 스컬: 올해 스카아르즈 제국은 아이언 스컬 클랜으로 대표되며, 이들은 인간/스카아르즈 전쟁 중 스카아르즈 모선을 잃은 것에 대해 오랫동안 책임을 지고 명예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썬 블레이드: Sun Blade는 전직 사원 수호자와 사막 군단의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토너먼트에서의 승리를 룩소르 IV의 왕들의 계곡에 매장되고 영생을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희망으로 봅니다. 슈퍼 노바: 제7용병 함대의 용병팀 슈퍼 노바가 이자나기 코퍼레이션에 진 빚을 갚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했습니다. 검은 군단: 검은 군단은 무기화된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의 끔찍하게 기형적인 피험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올해 그들은이 실험 라인의 현재 성취의 정점 인 Abaddon이라는 새로운 리더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화염 폭풍: 모카라족은 전사로서 존경받고 두려워한다. 모카라의 정예 전투 유닛인 파이어 스톰은 매년 최고의 병사들로 구성된 팀을 토너먼트에 보냅니다. 헬리온: 한때 인간 우주 전역에서 해적과 배신자로 두려움과 욕을 먹었던 헬리온은 용병 복장으로 존경을 얻으려고 합니다. 그들은 잠재 고객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했습니다. 블러드 피스트: 토너먼트에서 완전히 사이버네틱한 것으로 인정된 유일한 팀인 블러드 피스트 전사는 매년 프로그래밍을 업그레이드하고 점점 더 치명적입니다. 골리앗: 작년 토너먼트에서 Gorge's Juggernauts의 성공으로 Axon Research Corporation은 이제 모든 Juggernaut 결승전을 제작하기 위해 골리앗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 평가 == [include(틀:메타크리틱 PC MUST-PLAY)]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아이콘.svg|height=15]]]] | [[Mac OS|[[파일:Mac OS 로고.svg|height=24]]]] | [[Linux|[[파일:Linux 로고.svg|height=1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unreal-tournament-2004, code=critic-reviews/?platform=pc, g=, score=9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unreal-tournament-2004, code=user-reviews/?platform=pc, g=, score=8.7)] ||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단점을 다듬고 보완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해 미완성 게임이 드디어 완성되었다는 평가와 함께 특히 새롭게 추가된 온슬롯 모드 하나만 별도의 게임으로 판매해도 될 정도라며 큰 호평을 받았다. 어썰트와 온슬롯은 지상 차량과 공중 탈 것들이 다량 추가되었는데 각 탈 것들의 밸런스가 매우 좋다. 차량이 등장하는 모드에선 대차량 무기도 추가되었으며, 야외 스테이지에서의 이온 캐논, 폭격 지원 등도 추가되어 특히 온슬롯 모드에서의 전략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온슬롯 모드는 큰 인기를 구가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4는 언리얼 토너먼트 원작에 비견될 정도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하이퍼 FPS가 몰락하던 시기였던 관계로 상업적으로는 전작에 못 미쳤지만, 오랜기간 꽤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 워낙 게임 분량이 방대하고 게임성도 훌륭해 언리얼 토너먼트 클래식과 함께 역대 최고 FPS 게임을 논할 때 심심찮게 회자되고 있다. 출시한지 한 달만에 100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리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모딩 == * Ballistic weapons 무기 교체 모드로, 훗날 [[Viscera Cleanup Detail]]을 개발한 RuneStorm이 제작하여 [[http://www.moddb.com/mods/ballistic-weapons/downloads/ballistic-weapons-v25-complete|ModDB를 통해 배포했다.]][* 공식 디스코드 서버도 [[https://discord.com/invite/2XTfKPa|있다.]]] '탄도 무기'라는 명칭답게 기존 인게임 무기 대신 실존 화기 혹은 창작 무기로 교체한다. 게임 플레이 방식도 크게 바뀌어 맵에 배치된 무기를 습득해서 싸우는 게 아닌 플레이어가 선택한 무기 5가지를 활용해 싸워야 하며, 이 때문에 다양한 무기를 써볼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고 한두가지 무기만 집중적으로 쓰게 된다. [[고전 FPS#s-2.1|아레나 FPS]]라는 특성상 요즘 게임들과는 다르게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는 와중에 현대 FPS처럼 [[재장전]] 시스템이 도입되어 날고 기는 고수라도 재장전 타이밍이 걸리면 목숨을 내놓게 될 것이다. [[https://ballisticweapons.fandom.com/wiki/Ballistic_Weapons|모드 위키]] [[https://www.youtube.com/watch?v=1qkl0E2_J6o|2010년 기준, 전 무장 영상]] 영상 중간마다 무기 설명문이 서술되어 설정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d0LX4PSFac|2020년 1월 기준, 전 무장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sDGT7fDXTk|2022년 10월 기준, 전 무장 영상]] 근접을 제외한 총기의 모션을 보여준다.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264940047|전 무장 일람 스팀 가이드]] 2023년 2월 6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업데이트가 진행될 때마다 내용도 추가되어 모드 무기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3|전작]]을 시작으로 본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플레이어 캐릭터 스킨 모드로 [[https://gamebanana.com/mods/233128|Soria]]가 있다. 캐릭터의 유래가 상당히 깊은 편인데, 자세한 내용은 [[3D 포르노#비 아시아권|3D 포르노 문서의 비 아시아권 문단에서 언리얼 토너먼트 2003·2004 항목]] 참고. == 기타 ==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수익 배분 문제로 디지털 익스트림즈와 에픽의 관계가 나빠졌다는 뒷소문이 있지만 확인되지는 않았다.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킬스트릭]] 목소리는 [[하프라이프]]의 [[모드]]였던 [[카운터 스트라이크]]의 초창기 시리즈와 [[워크래프트 3]]의 [[유즈맵]]이었던 [[도타 올스타즈]]에서 사용했었으며, 후속작인 [[도타 2]]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분류:언리얼 시리즈]][[분류:2004년 게임]][[분류:F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