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발음 == 무난하게 [ʌ]~[ɔ]로 소리가 난다. == 글자 == === [[ㅓ]], [[한글]]의 [[모음]] === [[ㅓ]] 문서 참고. === [[O]]의 [[베트남어]], [[우즈벡어]]식 이름 === [[O]] 문서 참고. === ò === [[피에몬테어]][* 이탈리아어의 친척뻘 되는 언어이다.]등 주로 라틴계 언어들에서 '어'발음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 О, [[키릴 문자]] === [[몽골어]], [[우즈벡어]]에서 '어' 음을 나타낸다. [* '오' 음은 [[몽골어|y]], [[우즈벡어|ў]] 로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키릴 문자/목록 #s-2.16|여기로]]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07~308)] [[교육용 한자]]에서 '어'라 읽는 글자는 아래 5자이다. * [[於]] (어조사 어) * [[漁]] (고기 잡을 어) * [[語]] (말씀 어) * [[魚]] (물고기 어) * [[御]] (어거할 어) === 어(敔), 악기 === [include(틀:타악기)] [[파일:attachment/1489740.jpg]] 사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의 전통악기]]로 생김새와 연주법이 진기한 옛 물건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므로 [[국악기]]이기도 하다. 형상은 받침 위에 호랑이 한 마리가 엎드린 모양이다. 위 사진에서는 호랑이가 백호지만 평범한 호랑이 모양인 경우도 종종 있다. 어쨌건 공통점이라면 호랑이 등줄기에 톱날[* 이 부분의 명칭을 한자로 齟齬라고 쓴다. 원래 齟齬는 '저어'라고 읽는데, 한문에서 위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거나 들쭉날쭉한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국악계에서는 어의 일부를 가리킬 땐 '차아'라고 읽는다.] 27개가 있다는 것. 연주하는 채는 진죽(籈竹), 또는 진(籈)이라고 부르는데, [[대나무]] 끝을 세 조각으로 세 번 쪼개 아홉 조각으로 갈라서 만든다. 진(籈)이란 한자에 '견'이란 음도 있어서 견죽, 또는 견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국악계에 제법 있지만 진죽/진이 올바르다.[* 籈이란 한자를 '견'으로 읽으면 대나무 그릇을 가리킨다.] [[축#s-5.2]]과 함께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 편성되는데, 음악이 끝날 때 연주한다. 연주할 때는 채로 [[호랑이]] 머리를 세 번 친 다음에 톱니를 한 번 내려긁어준다. 호랑이 머리를 칠 때는 처음 한 번 친 다음 한 박자 쉬고 두 번 연속으로 한 박자씩 총 네 박자에 걸쳐서 친다. 이 과정을 세 번 연주하면 된다.[* '탁~타탁! 드르륵~!' 소리가 세 번 반복된다. [[https://youtu.be/kMXdn6T4QCg|이 동영상]]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종묘제례악]]에서 편성되는 위치는 주로 축과 반대쪽 위치인 서쪽이다. === [[어(성씨)|어씨]](魚), [[한국의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성씨))] == 단어 == === 보편적인 군말 === 음...과 함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군말]]이다. 무대공포증 같은 사람많은 곳에서 말할때나 긴장한 상태에서 말할때 가장 많이 말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런 식으로 채워넣기 위해 사용되는 무의미한 말을 언어학 용어로는 '필러(filler)'라고 한다. '음...', '어...', '에...', '그것이...', '일단...' 등이 있다. 많이 쓰면 답답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 '응'의 다른 말 === "아, 맞아", "어"처럼 "[[응]]"의 대체재다. 경상도에서 '어'라는 말이 자주 들린다. === or, [[프랑스어]] 단어 === {{{+2 or}}} [[프랑스어]]로 [[금]], [[재산]] 등을 뜻한다. === uh, aw, [[영어]] 감탄사 === == Å, [[노르웨이]]의 지명 == [include(틀:지도, 장소=Å norway, 250, 높이=250)] {{{+2 Å}}} [[노르웨이]] [[노를란]] 주 서쪽 루푸튼 제도에 위치한 마을의 이름이다. 지명이 특이한데 알파벳 한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어로 읽으면 '오[* 국립국어원 [[노르웨이어]] 표기법에 따르면 å는 '오'로 표기한다.]' [o:]이다. 뜻은 샘(stream). --[[흘란바이르푸흘귄기흘고게러훠른드로부흘흘란더실리오고고고흐|이 마을]]의 [[안티테제]]--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순우리말]][[분류:한자어]][[분류:타악기]][[분류:프랑스어 단어]][[분류:영어 단어]][[분류:노르웨이의 도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어, d=2022-07-08 13: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