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mimgnews2.naver.net/20151108_1446989301_71998900_1_99_20151108223010.jpg|width=100%]] || || '''{{{#EEE156 코너명}}}''' || '''어'''제 '''그'''거 '''봤'''어? || || '''{{{#EEE156 시작}}}''' || [[2015년]] [[11월 8일]] || || '''{{{#EEE156 종료}}}''' || [[2015년]] [[12월 27일]] || || '''{{{#EEE156 출연자}}}''' || [[최효종]], [[김정훈(개그맨)|김정훈]] || || '''{{{#EEE156 오프닝}}}''' || [[지누션]] - [[OST는 좋았다|말해줘]] || [목차] [clearfix] == 개요 == 최효종의 [[개그콘서트]] 복귀 이후 [[호불호(개그콘서트)|호불호]] 다음으로 선보이는 '최효종 식 토크 코미디' 형식의 코너이다. 최효종과 김정훈 두 명이 출연하고, 김정훈이 질문을 걸면 최효종이 해당 질문 주제에 답을 하는 사실상 최효종의 원맨 코너이다. 이 코너는 개그콘서트가 끝난 뒤 다음날인 [[월요일]]에 "야, 너 어제 어그봤에서 최효종이 이런 이야기 하는 거 봤어?"로 모든 이들에게 여러 번 회자될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 최효종의 토크 형식 코미디 코너명들처럼 줄임말인 '''어그봤'''으로 채택했다. [[애정남]], [[남성인권보장위원회|남보원]], [[추남(개그콘서트)|추남]], [[위캔척]] 등과 비슷한 방식. 나무위키의 [[(...)]] 항목에 본 문서의 옛 버전이 (...)의 남용 예시로 등재되어 있다. == 등장인물 == === 최효종 === 오랜만에 선보이는 [[토크쇼]] 형식이다. "궁금하지 않아요?"라는 질문을 한다. === 김정훈 === 보조 역할. == 비판 == 코너의 시작 패턴은 먼저 자기소개를 하고 김정훈이 어그봤의 의미를 물으면 최효종이 '''"웃기는 개그가 다 좋은 것은 아니다."'''라는 말로 운을 떼고 어그봤의 의미를 설명하는 식인데, 여기서부터 문제가 터진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말을 헛소리로 받아들였다.''' 물론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들 중에는 웃음만 주는 코너 뿐 아니라 풍자, 공감 등을 중점으로 둔 코너도 많이 있었기에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뮤지컬(개그콘서트)|뮤지컬]]은 중반엔 사람들을 울리는 감동 컨셉이었고, [[두근두근(개그콘서트)|두근두근]]도 코너 자체가 배꼽 빠질 정도로 웃긴 것은 아니었지만 [[츤데레]]라는 설정과 여러가지 심쿵 요소로 인해 인기를 끌었다. 또한 [[렛잇비(개그콘서트)|렛잇비]]도 웃음보다는 풍자와 공감 위주의 코너였지만, 직장인을 대상으로는 많은 인기와 감동을 얻기도 했다. 공통적으로 세 코너 모두 1년 넘은 긴 시간 동안 방영되면서 인기를 끌었다. 물론 일반적으로 개그는 오로지 [[박장대소]]만이라고 주장하며 이런 것만을 원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세 코너 다 기존 개그 컨셉에 어긋났다고 까이기도 했지만, 그래도 많은 인기와 재미를 확보했는데, 최효종은 이 코너가 인기나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닌데도 노골적으로 이런 정신나간 말을 했으니 공감은 커녕 혹평만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최효종의 코너 답게 방영 내내 평은 상당히 나빴으며, 결국 2015년 [[12월 27일]]을 끝으로 단 6회만에 종영되었다. == 방영 목록 == === 1화 === * [[국기]]: 가을 운동회 시즌을 맞이해서 만국기에 걸리는 각국의 국기 중 한번에 그리기 어려운 국기들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자국의 국민들은 과연 자기 나라 국기를 그릴 수 있을까에서 출발한 다음 그리기 까다로운 국기들을 언급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브라질]], [[투르크메니스탄]] 등. 스페인 국기는 미대생에게 2시간 17분 동안 그리도록 시켰는데도 세부적인 부분을 놓쳤다면서 이 국기를 그리는데 4시간은 줘야 한다는 의견도 내면서 과연 마드리드 병설초등학교 2학년 페드로 학생은 그릴 수 있겠냐며 반문했다. 브라질 국기의 별 역시 그냥 찍은 것이 아님을 언급한 다음 [[태극기]]는 그리기 쉬운 국기라는 것으로 갈음. * 'XX년 전통' 간판: 현재 'XX년 전통'이라고 걸린 식당이 과연 해가 바뀌면 'XX+1년 전통'으로 간판을 바꿔 달까?에 대한 궁금증. 실제로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 최효종이 자신이 직접 가서 찍은 '40년 전통'이라 내건 [[족발]]집 간판의 1년 전과 1년 후를 비교한 사진을 보여주었다. 결론은 'n*10년 전통'으로 내건 간판들은 간판 교체 비용을 이유로 거의 대부분 10년 단위로 바꾼다고 하고, 어떤 식당들은 'since 19XX'으로 표기를 하고 손님들에게 알아서 계산하도록 놔둔다는 이야기를 했다. * [[대한민국 대통령]]의 유년시절 장래희망: [[박근혜|한 대통령]]을 언급하면서, 과연 대통령이 과거 '국민학교' 시절 장래희망이 [[대한민국 대통령]]이었을지, 그리고 나이가 들면서 박 대통령의 장래희망도 조금 더 현실적인(?) '공무원' '회사원'으로 바뀌었을지 언급하면서 박 대통령의 피드백을 호소했다. === 2화 === * [[사극]] [[번역]]: 사극 대사의 영역을 언급했으며 '성은이 망극하옵니다 전하'는 Thank you. '송구하옵니다'는 Sorry, Sir.' 경춘절을 맞아 온 백성이 경하드리옵니다'는 "Happy birthday to you."로 번역한다고... 이후 이 패턴은 7개월 뒤 [[진지록]]에서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가 징하게 우려먹었다. * [[의사]]들의 시력: 안과에 가면 라섹, 라식 등 관련 수술이 많은데 왜 안경 쓴 의사들이 꽤 되는지 궁금해했다.[* 이건 나이가 많으면 수술을 받아도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안 될 놈은 안 된다는 것.] === 3화 === * [[만화]] 이야기: 먼저 [[만화고기]]가 대체 무슨 고기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면서, [[저팔계]]는 돼지, [[손오공]]은 원숭이, 그러면 [[사오정]]은 무슨 동물인지에 대해 궁금해했다. * 축구 국가대표 시합에서 파울 받을 때: 축구 국가대표 시합에서 한국 선수가 파울을 받을때, 영어를 못하는 선수는 외국 심판에게 과연 어떻게 항의할지에 대한 궁금증이었다. 직접 알아본 바로는, '''WHY?!!'''만 계속 외쳤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번엔 외국에서 온 용병 선수들은 한국 심판에게 어떻게 항의할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었는데, 이 답을 알기 위해 실제로 강원FC의 [[이상기(축구인)|이상기]]선수에게 물어본 결과에 따르면, 신입 1~2년차 선수들은 한국선수와 똑같이 '''WHY?!!'''만 계속 외치는 반면, 한국에 적응한 6~7년 선수들은 심판에게 매달리며 "'''형님~''' 상기가 먼저 밀었어, 감독님한테 혼나, 넣어둬, 넣어둬~"라 한다고 이야기했다. * [[원빈]]&[[이나영]]: [[이나영]]이 [[원빈]]과 TV를 볼때, 과연 "오빠, [[김태희]]가 예뻐, 내가 예뻐?"라고 물어볼지에 대해 궁금해하면서, 이나영에게 피드백을 요청했다. === 4화 === * 엉터리 메뉴 [[번역]]: [[왈도체|중국의 식당에 가보면, 메뉴가 한국어로 설명되어 있음을 언급했으며 번역기로 돌린 것이라고 한다.]] (예: 철판화장판 = 철판을 내장음식을 착색했다) 그러면서 한국 식당도 다르지 않음을 언급했으며 육회=Six Times, 생고기=Life Style Meat, 돼지주물럭=Massage Pork, 동태탕=Dynamic Stew 등을 보여주면서, 메뉴판의 엉터리 번역을 비판했다. * [[스타]]들의 [[카카오톡|메신저]] 프로필: 스타들은 메신저 프로필에 과연 뭐라고 썼는지에 대한 궁금증. 이날 최효종이 몇몇 연예인들의 메신저 프로필을 공개했다. * [[김기리]] - "나의 부탁은 표부탁을 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입니다." * [[샘 오취리]] - "영어 못해요 영어로 말 걸지 말아요"[* 하도 영어로 메시지가 와서 이렇게 써놨다고.] * [[윤두준]] - "저 팬티 입어요.. 오해하지 마세요.." * [[김병만]](해당 방송일 한달 전) - "[[정글의 법칙|정글에 있습니다]] 연락 안됩니다" * [[김병만]](해당 방송일 2일 전) - "[[주먹쥐고 소림사|소림사에 있습니다]] 연락 안됩니다"[br][[공유(배우)|공유]] - "공유아닙니다 톡하지 마세요"[* 하도 장난으로 연락이 많이 와서 이렇게 써놨다고...] === 5화 === * [[설문조사]]: [[2015년]] 결혼하고 싶은 남자 1위는 [[김수현(배우)|김수현]]이고, 데이트하고 싶은 남자 1위는 [[유아인]]이라 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면서, [[응답하라 시리즈]]시절에는 설문조사 결과가 어땠는지 궁금해했다. 여러 자료를 가져왔는데, 1993년 당시에 결혼하고 싶은 남자 1위는 '''[[유인촌]], [[노주현]], [[백일섭]]'''이라고 한다. 덧붙여 가장 섹시한 남성으로 [[소지섭]], [[권상우]] 등이 뽑히고 있는 와중에 그 당시에는 어땠는지에 대해서도 궁금증을 가졌는데, 무려 [[최불암]], [[백일섭]]이 뽑혔다고 한다. * [[벤치 클리어링]]: 당사자들이 난투를 벌일 때 그 뒤에 선수들은 무슨 얘기를 할까라는 궁금증.[* 벤치 클리어링때 자신과 상관없는 싸움이라고 생각돼서 나가지 않으면 팀내 자체 벌금을 물기에 귀찮아도 나가야 한다.] 실제로 [[우규민]] 선수에게 전화를 걸어 물어본 결과에 따르면 * 선수A: 야, 대충 이 정도면 그림 나올것 같은데? * 선수B: 응, 괜찮은데? * 선수A: 들어가자~ 이런 대화를 주고받는다고 한다. 한편, 먼 거리를 떠나온 팀원들은 주로 근처 맛집에 대해서 대화를 주고받으며 먼 거리에 있어서 상황을 모르는 선수들은 우리 왜 나온 거냐며 물어본다. * [[장관]]들의 단체톡방: 사람들끼리 단체톡방을 자주 만드는데, 17개의 [[정부조직]]의 장관들도 단체톡방이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 [* 실제로 존재한다. 장관끼리도 존재하며, 그 외에도 국무위원 단체톡방, 청와대 비서관 내지 행정관끼리의 단체톡방에 국회의원 보좌관, 국회의원 카톡방 등등도 존재한다.] === 6화 === * 직업별 듣기 싫은 말들: 개그맨들이 듣기 싫어하는 말인 "'''야, 한번 웃겨봐'''"를 예로 들면서 여러 직업별 듣기 싫어하는 말을 소개하면서, 이 말들은 가급적 자제해주기를 당부했다. * [[스튜어디스]] - "'''면세점에서 뭐 좀 사다줘'''" * [[아나운서]] - "'''[[잰말놀이|내가 그린 기린 그림]] 이거 돼?'''" * 격투기 선수 - "'''맞으면 아프냐?'''" * [[마술사]] - "'''나 없애봐'''" * 히트곡 비화: 명곡들은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을까에 대한 궁금증. 여기서는 [[김종국]]의 노래 '사랑스러워'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했으며 작곡가 [[주영훈]]에게 직접 물어 본 결과에 따르면, 김종국에게 가기 전에 6명의 가수에게서 퇴짜를 맞았다고 한다. 그 당시 노래 제목이 "블루 헤븐"이었다고 하는데, 바뀌기 전의 가사는 "사랑 기쁨 행복한 미소 모두 다 모여~ 저 하늘도 웃게 한, 기분 좋은 everyday, 내가 꿈꾸는 블루 헤븐~"이었다고 한다. * [[싸이]]의 [[강남스타일]]: 조회수 23억을 돌파한 강남스타일, 과연 싸이는 조회수를 올리기 위해 영상을 여러번 클릭했는지에 대한 궁금증. 싸이에게 피드백을 요청했다. == 관련 문서 == * [[개그콘서트/종영 코너]] * [[개그콘서트/비판]] * [[호불호(개그콘서트)]] [[분류:2015년 종영/개그콘서트 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