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산시의 로)] ---- ||<-4> {{{#white {{{+1 '''어실로'''}}}[br] 魚實路 | Eosil-ro }}} || || {{{#585858,#white ←}}} [[밀양시|{{{#!html밀양}}}]] {{{#!html방면}}}[br][[고례로]] ||<-2> [[1051번 지방도|{{{#!html
1051번
지방도
}}}]] || {{{#!html종 점}}} || || {{{#585858,#white ←}}} [[양산시|{{{#!html양산}}}]] {{{#!html방면}}}[br][[충렬로(양산)|충렬로]] ||<-2> [[1077번 지방도|{{{#!html
1077번
지방도
}}}]] || [[밀양시|{{{#!html밀양}}}]] {{{#!html방면}}} {{{#585858,#white →}}}[br][[늘밭로]] || ||<-4> '''{{{#white 노선 번호}}}''' || ||<-4> '''[[1051번 지방도]]'''[br]'''[[1077번 지방도]]''' || ||<-4> '''{{{#white 기점}}}''' || ||<-4>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동(양산)|유산동]] 50번교차로 || ||<-4> '''{{{#white 종점}}}''' || ||<-4>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양산)|원동면]] 대리 배내사거리 || ||<-4> '''{{{#white 연장}}}''' || ||<-4> 15.6km || ||<-4> '''{{{#white 관리}}}''' || ||<-2> [[양산시시설관리공단|[[파일:Seal_of_Yangsan.png|height=40]]]] ||<-2> [[경상남도 도로관리사업소|[[파일:경상남도 휘장.svg|height=40]]]] || ||<-4> '''{{{#white 왕복 차로 수}}}''' || ||<-4> 2~5차로 || ||<-4> '''{{{#white 주요 경유지}}}''' || ||<-4> 50번교차로 ↔ 51번교차로 ↔ 53번교차로 ↔ 배내사거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동(양산)|유산동]] 50번교차로에서 출발하여 [[원동면(양산)|원동면]] 대리 배내사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1051번 지방도]]와 [[1077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어실로([[魚]][[實]][[路]])라는 명칭은 [[어곡동]]([[魚]][[谷]][[洞]])의 옛 명칭인 어실을 그대로 따서 지정되었다. == 상세 == [[파일:/image/001/2016/04/24/AKR20160422111000055_04_i_99_20160424070906.jpg]] 50번 교차로에서 [[어곡동]]을 지나 [[경남외국어고등학교]]와 몇몇 [[양산시 시내버스]] 노선이 시종착하는 용선종점을 지나면 이 도로가 왕복 4차로에서 2차로로 좁아진 이후 [[1051번 지방도]]와 직결되며 시작된다. 이후 [[신불산]] 공원묘원,[* 덕분에 [[명절]]에는 [[성묘]]객들이 몰려 헬게이트가 열린다.] [[에덴밸리리조트]]를 지나 [[원동면(양산)|원동면]] 대리에서 [[배내로]]와 연결된다. 이후 [[밀양시]] [[단장면]]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어실로 중간에 에덴밸리리조트 쪽 길과 어실로의 갈림길이 나오는데 안전을 위해 에덴밸리 쪽으로 가는걸 추천한다. 원래 리조트 이용객이 아니라면 리조트 내 도로이용을 막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만큼은 오히려 리조트쪽 도로를 이용하라고 권장을 할 지경이다. 갈림길에 있는 표지판에도 차량제한을 수시로 걸어놓을 정도로 어실로 구간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다. 물론 리조트쪽 길도 난도가 높은건 마찬가지라 양산시내 즉 내리막 방향으로 [[긴급제동시설]]을 연속으로 3개나 설치했다. 이 구간을 [[양산 버스 1000|1000번 시내버스]]가 운행하고 있지만 [[배내골]] 주민들의 [[양산신도시]]와 [[양산역]] 접근을 위한 민원으로 개통된 데다 이 짧은 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도로교통공단]]의 용역을 받고 특수 안전장치를 갖추고 양산경찰서 등 당국의 허가를 받아 운행'''하고 있는데다가 '''[[직행좌석버스]] 인가,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입석금지]], 45인승 대형 좌석버스 운행, [[리타더 브레이크|리타더]]급 이상의 제동장치 장착, 시속 30km 이하로 저속운행,[* 물론 해당 구간 제한속도와 단속기준 속도가 시속 30km이긴 하다.]''' 인가대수 1대, 브레이크 과열을 막기 위해 '''1일 4회 운행 제한, 날이 어두워지는 18시 이후 운행 불가, 경력이 풍부한 베테랑 운전기사 투입 등의 제약'''을 덕지덕지 붙이고 개통되었다.[* 예비차도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하므로 비교적 최신 차량을 차출하여 투입한다고 한다. 다만 CNG 차량 투입에는 문제가 없는 듯 하다. [[https://blog.naver.com/tjddnr0300/222253133010|근거]]] 게다가 운행 거리는 27km에 불과하나 이러한 제약사항이 덕지덕지 붙은 이유로 높아진 버스구입 비용과 인건비 그리고 입석금지로 인한 승객당 운임단가 상승 등의 이유로 운임도 부산행 직행좌석버스와 동일한 1,850원이다. 그만큼 이 도로가 위험하다는 얘기. 그러니 일반적인 [[전세버스]]로는 이 길로 가자고 요구하지 말자. [youtube(dhmJiXlQlUU)] [[양산 버스 1000|1000번 버스]] 운행 영상. 산길 주행 영상은 11분 31초부터이며, 26분에 어실로 구간이 끝난다. 물론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배내골]]로 [[학교 수련회]]를 갈 때는 당연히 위험한 이 길을 지나지 않고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안전한 [[원동로(양산)|원동로]]나 [[배내로]]를 경유해서 빙 둘러가거나[* 그렇다고 배내로가 편하냐하면 당연히 아니다.] [[함양울산고속도로]] [[배내골IC]]를 이용하여 간다. [[양산 버스 1000|1000번]]같이 [[리타더 브레이크|리타더]]급 이상의 제동장치가 장착된 최고급 사양 [[전세버스]] 대절의 문제도 있으며 무엇보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태우고 가는 것이기에 위험한 이 길로 가는 것은 시간을 감안해봐도 리스크가 매우 크다. 원동으로 돌아갈 경우 [[원동로(양산)|원동로]]의 토곡산/오봉산 기슭 구간이 커브가 많긴 하지만 적어도 이 길은 어실로에 비해 경사는 심하지 않다. 2020년 12월 11일부로 [[함양울산고속도로]] [[배내골IC]]가 개통되어 쉽고 빠르게 배내골로 갈 수 있게 되었다. [[2020년]] [[12월 11일]]에 [[함양울산고속도로]] [[배내골IC]]가 개통됨에 따라 이 악명높은 도로의 수요가 대폭 줄어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구서IC|구서동]]에서 '''고속도로만 이용'''해서 [[배내골]]까지 쉽고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실로를 이용하는 수요가 여전히 꽤 있다. [[배내골IC]]가 배내골 끄트머리에 있어 배내골 중심지로 가려면 20~30분은 더 가야할 정도로 접근성이 좋지 않은데다가 양산시가지나 서부산권에서 배내골 가겠다고 [[함양울산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울산까지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야 해서 우회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우회하더라도 안전을 위해서는 [[배내골IC]]를 이용하는 편이 훨씬 낫다. === 위험성 === 언뜻 보면 산을 지나가는 평범한 [[지방도]]로 보이지만 '''이 도로는 수많은 사상사고가 발생하고 사망자까지 다수 발생한 아주 위험한 도로다.''' [[2008년 양산 버스 추락 사고]]와 [[2011년 양산 버스 추락 사고]] 등 큰 사상사고가 이 도로에서 발생했다. 특히 2011년 버스 추락 사고는 '''탑승객 대부분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가 발생'''하였을 만큼 경사와 구배가 심하고 고도 또한 높아 위험한 도로이다. 경사도가 '''21%'''(12도)에 달하고[* 이게 어느정도냐면 [[미시령]], [[한계령]], [[운두령]], [[구주령]], [[만항재]], [[737번 지방도|정령치]], [[평화의 댐#s-2]] [[460번 지방도#s-3|아흔아홉 굽이]]와 같은 악명높은 고개들 및 굽잇길조차 경사도가 15%(8.5도)를 넘지 않는다. 상기한 고개들이 구배와 급커브가 합쳐져 위협적인 난이도를 자랑한다면 이 도로는 경사도만으로도 위협적이다. 단, 구주령은 경사도가 '''20%'''(11.5도)에 달하는 구간이 있다. ~~그렇다고 커브가 위협적이지 않은것도 아니다~~] [[영남알프스]]라 불리는 [[신불산]] 허리를 타고 넘다 보니 구배도 어마어마하게 심하며 기어를 D로 놓을 시 브레이크 고장이 일상일 정도로 위험하다. 당연히, [[엔진 브레이크]]를 써야 한다. [[자동변속기]] 차량도 저단 기어(1~2단)를 넣어줘야 한다. 심지어 이동식 과속단속속도는 물론이고 고정식 과속단속 카메라도 '''시속 30km'''로 잡혀 있다. --아니 근데 별 경사도가 없는 '''[[창원1터널|얘]]'''는 도대체 왜 이 도로마냥 대형사고가 잦은 걸까...--[* 이쪽은 통행량 자체가 너무 많다 보니... 어째 막히거나 도로에 시퍼런 물이 흥건하다 싶으면(부동액이나 와셔액이 터진 것.) 십중팔구는 터널 안에서 박은 것. 그래서 지선을 뚫긴 했는데 통행량이 많아도 많아도 너무 많다 보니 상태는 그대로.] 잇따른 대형 사상사고가 발생하자 양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1051번 지방도 구조개선 사업에 착수하여 2015년 10월에 완공하였다. 이 결과 매우 기괴한 선형이 발생했는데, 북쪽 에덴벨리 리조트로 향하는 오르막길은 기존 도로를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 남쪽 양산 시내로 향하는 내리막길은 오르막길을 위로 타고 동측으로 크게 돌아 다시 오르막길 위를 타 기존 도로에 합류한다. 즉 '''[[꽈배기굴]]을 자동차 도로에서 구현한 형태'''로 양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고민의 흔적이 여실히 드러나는 기괴한 선형이다. [[http://dmaps.kr/23kee|지도]]로 직접 확인해 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통사고, 브레이크 파열 등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리조트를 통과하는 구간은 15인승 이상 승합차, 2톤이상 화물차, 높이 2.5m 이상 차량 및 건설기계는 운행이 제한되며, 해당 차량이 통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 통제소와 2.5m 높이제한봉이 설치되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1051번 지방도, version=57)] [[분류:양산시의 도로]][[분류:1051번 지방도]][[분류:1077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