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어사대부(御史大夫)는 [[고려시대]] 관리 [[감찰]] 기관인 [[어사대]]의 으뜸 벼슬로 품계는 정3품이다. 대체로 현 [[감사원장]]의 직책에 대비된다. == 연혁 == 사헌대(司憲臺)가 [[995년]](성종 14) [[어사대]]로 바뀌면서 처음 설치되었고 존폐를 반복하다 [[1023년]](현종 14) 이후 상설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원 간섭기]]에 따른 관제 개정의 영향으로 감찰제헌(監察提憲)이 되었다가, [[1298년]](충렬왕 24) 사헌대부(司憲大夫)가 되었고, [[1308년]](충렬왕 34) 대사헌(大司憲)이 되었다. 이후 연혁을 반복하다 [[1369년]](공민왕 18) 대사헌으로 정해지고 [[조선시대]] [[사헌부]]의 [[대사헌]]으로 이어졌다. == 역사 == 어사대부는 원래 [[진(통일왕조)|진]][[한나라|한]] 시대에서 유래한 중국의 관직 이름이다. 어사대부의 모습은 진한 시대 이후와 [[수나라|수]][[당나라|당]] 시대 이후가 크게 다르다. 진한 시대 어사대부는 [[황제]]의 성향에 따라 존폐가 자주 반복되었고 지위나 역할도 일정하지 않았다. 그 지위와 역할은 수당 시대 이후에야 비로소 안정되었고, 진한 시대 관제에서 유래한 어떤 관직보다도 이전과 같다고 보기 힘들 정도로 차이가 심해졌다. === [[진(통일왕조)|진]][[한나라|한]] 시대 이후 === [[전한]]은 [[시황제]]의 제도를 답습하여 '''[[승상]]-어사대부'''로 이어지는 [[직제]]를 두어 어사대부로 하여금 관리의 잘못을 [[감찰]]하고 [[탄핵]]하게 했다. '''어사대부를 지낸 사람은 다음 승상이 되었으므로''' [[수상]]인 승상을 보좌하는 아상(亞相)[* 수상인 승상 다음이라 버금이므로 [[부총리]]급.]으로 대우받았다. 황제의 시사(侍史)[* [[비서]](祕書)는 원래 [[황제]]의 [[장서]](藏書)란 뜻이고 우리가 생각하는 뜻으로 본래 시사 또는 우필(右筆)이라 한다.]고, 차관 어사중승(御史中丞)과 시어사(侍御史)를 관리 할 수 있고 [[부]](府)를 세워서 직속 관리를 거느리는 권한[* 이런 권한을 개부(開府)라고 한다.]이 있었다. 어사부(御史府)[* 한나라만 해도 가장 높은 관청인 부(府)였으나 [[위진남북조시대]]를 거치며 대(臺)로 격하되었다.]의 장으로 승상, 어사대부에 [[군사]] 업무를 맡은 [[태위]]를 더해 [[삼공]]의 하나로 인정받았다. 삼공 제도는 황권을 행사하기에 방해가 되었기 때문에 [[한무제]] 이후 [[삼국지/관직|조정에 이른바 내조(內朝)라고 하는]] [[상서(관직)|상서]]를 설립해 그 권력을 분산시켰다. [[한성제]]가 본격적인 삼공 제도를 도입하여 [[사도(동음이의어)#s-1.2|대사도]], [[사마#s-1|대사마]], [[사공#s-3|대사공]]을 둘 때 대사공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그 직무는 전혀 달라서 사실상 철폐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후한]] 말에 이르러 [[208년]](건안 13) [[조조]]가 독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수평적인 구조의 삼공 제도를 없애고 수직적인 구조의 승상-어사대부 직제를 되살렸다. [[위진남북조시대]]에는 폐지와 설립을 반복했으며 대체로 어사대부를 대신해서 어사대의 부관인 어사중승이 실질적인 장관 노릇을 했다. === [[수나라|수]][[당나라|당]] 시대 이후 === [[북위]]에서 [[어사대]]로 격하되었고 [[당나라]]에서 어사대부는 종3품으로 [[구경#s-3|구경]]과 동급으로 떨어졌지만 이때부터 어사대가 본격적으로 [[율령제]]에 포함되면서 어사대와 어사대부는 전형적인 율령 기관과 관직이 되었다.[* [[고려]]에 수입된 어사대 관제는 수당 시대의 어사대와 어사대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송나라]] 때는 황제의 독재권이 강화되고 율령제가 형식적이 되어 어사대 또한 어사중승이 장관 대리를 하여 격이 저하되었다. [[원나라]]에서는 [[중서성]]의 [[승상]], [[평장사]], [[추밀원(중국)|추밀원]]의 추밀사, 지추밀원사와 함께 어사대부가 어사대의 장으로써 [[제국군 3대 장관|3대 장관이었다.]] [[명나라]] [[홍무제]] 시기 [[호유용]] 사건으로 어사대가 철폐되어 [[도찰원]](都察院)으로 설치되면서 어사대부는 정2품 도어사(都御史)로 바뀌고 이후 좌도어사·우도어사로 나뉘어 [[청나라]] 말까지 이어졌다. == 유명 인물 == === [[전한]] === * [[주가]](초대) * [[관영]] * [[주창(전한)|주창]] * [[상홍양]] * [[조요]] * [[임오]] * [[조줄]] * [[장창(전한)|장창]] * [[위맹]] * [[풍경]] * [[신도가]] * [[도청]] * [[조조(전한)|조조]] [[분류:고려의 관직]][[분류:중국의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