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어둠의 제국 요돈헤임)] [[파일:ESq8DaHUcAEx2gS.jpg]] '''闇の帝国 ヨドンヘイム''' [목차] || {{{#FFFFFF '''어둠의 제국 요돈헤임의 본거지'''}}} || || [[파일:요돈헤임.jpg|height=300]] || || 암흑의 땅 요돈헤임 || == 개요 == ||<-3> {{{#FFFFFF '''오프닝 소개 장면'''}}} || || 1 ~ 26화 || 27 ~ 37화[* [[요돈나]]가 추가되었다.] || 38 ~ 45화[* '''[[요돈 황제]]의 실루엣이 벗겨졌다.'''] || || [[파일:어둠의 제국 요돈헤임 오프닝 1.gif|height=155]] || [[파일:어둠의 제국 요돈헤임 오프닝 2.gif|height=155]] || [[파일:어둠의 제국 요돈헤임 오프닝 3.gif|height=155]]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에 나오는 [[악의 조직]]이자 가공의 국가. 희망과 반짝임을 빼앗으려는 악의 군단이다. 줄여서 '요돈 군'이라고도 불린다. 가르자가 크랜튤라와 내통한 후에 크리스탈리아를 침략하였고, 그 이후에는 다음 목표로서 지구를 지배하려 한다. 암흑의 땅 요돈헤임을 근거지로 삼고 있다. 요돈헤임에는 요돈 아이비라는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이 식물이 뿜는 양분인 요도니움이 부패한 환경을 만들어서 조직을 유지시키고 있다. 비밥 드림에는 드림 스톤이 민조의 부적에 의해 악몽으로 만들어져 가르자,쥬루,타메토모,파이어,쇼벨로와 사람들이 걸렸지만 드림 스톤이 쥬루에게 메시지를 줘 키라메이킹 스페셜 연필로 조직을 평화롭게 만든다. 본편은 어두운 이 상태. 디자인 모티브는 [[가면]]. 요돈군의 일원 모두 사악한 힘이 담긴 사면(邪面)이라는 가면을 쓰고 있다. [[우주전대 큐레인저]]의 [[우주막부 쟈크 매터]] 이후로, 3년 만에 나온 여간부가 여러 명인 조직이다. == 설명 == 요돈헤임의 주요 구성원들은 전투원들인 '''[[베챠트]]'''들이며 이들이 사면을 써서 간부이자 괴인인 '''[[사면사]]'''로 승급, 여기서 큰 공을 세워 요돈 황제에게 인정받으면 요돈 황제가 직접 사면사를 파워업시켜서 '''대간부'''로 승급하게 된다. 이때 요돈 황제가 대간부의 이름도 직접 지어주는 듯하며 [[크랜튤라]]가 이 경우에 해당된다.[* 아마도 사면사 시절에 가르자와 내통해 크리스탈리아의 수많은 정보를 요돈황제에게 보고했고 이것을 인정받아 대간부가 된 듯하다.] 외부인이라도 요돈헤임에 큰 도움을 주어 요돈 황제에게 사면을 받으면 바로 대간부가 될 수 있으며 [[가르자]]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가르자는 본래 크리스탈리아의 장군이였다. 그러나 43화에서 요돈 황제에게 세뇌 당했기 때문에 그는 오라딘 왕에게 크게 분노하여 크리스탈리아 왕국을 배신하였고 요돈헤임에 전력에 크나큰 도움을 줬다.] [[베챠트]]들 말고도 극소수의 '''요돈헤임 성인'''들도 살고 있다. [[누마조]]와 [[악몽의 마에스트로 민조|민조]] 그리고 [[맛조(마진전대 키라메이저)|맛조]]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고여진 바다의 마녀 누마조|누마조]]는 이미 오라딘 왕에게 죽었으며 마브시나에게 저주를 걸었다고 한다. 그리고 극장판에서 드디어 민조의 등장과 동시에 사면사나 사면수가 아닌 암수 렘돈이 등장한다. [* 신간부 [[요돈나]]와 [[샤돈]]의 정체는 [[요돈 황제]]의 또 다른 인격이다.] 최종전 이후 황제가 소멸하면서 크랜튤라가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고, 키라메이저에게 다시는 다른 문명을 침략하지 않겠다는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이후 이전과는 달리 지배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문명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요돈나 스핀오프에 의하면 요돈헤임의 존재는 죽으면 영혼 관리국이란 곳에서 헤른과 모즈란 존재에게 심판을 받는다. 이때 일반적인 합격자는 요돈 헤븐이란 일종의 천국으로 가고, 헤른의 마음에 든 일부는 푸른 창에 의해 현세에 다시 태어난다. 대부분의 사면사도 간단히 합격 처리를 받았지만[* 그들의 악행은 본인들의 의지가 아니라 모두 요돈 황제의 명령에 의한 것이기 때문. 요돈나 차례에서 요돈 황제를 대놓고 '''악의 근원'''이라 칭한다.] 크랜튤라와 같은 일족이던 다튤라라는 과학자는 타인의 희생으로 죽은 자를 부활시키는 튜브를 보여주다가 붉은 창에 의해 영혼이 소멸됐다. == 구성원 == [[파일:요돈헤임 간부들.png]] ||<-2> '''계급''' || '''이름''' || '''성우&배우''' || ||<-2> '''수령: 황제''' || [[요돈 황제]] || [[야마지 카즈히로]] & 오카다 카즈야[*슈트 슈트 액팅 담당.] || ||<|3> '''최고간부''' || '''직속 비서관''' || [[요돈나]] || [[모모츠키 나시코]] || || '''사냥꾼''' || [[샤돈]] || [[쿠로다 타카야]] & 오카다 카즈야[*슈트 슈트 액팅 담당.] || || '''대마녀''' || [[맛조(마진전대 키라메이저)|맛조]] || - || ||<|4> '''대간부''' || '''사면술사''' || [[어둠의 가면술사 크랜튤라]] || [[타카토 야스히로]] & 카미오 나오코[*슈트 슈트 액팅 담당.] || || '''귀신장군''' || [[배신의 귀신 장군 가르자]] || [[나카무라 유이치]] & 야베 케이조우[*슈트 슈트 액팅 담당.] || || '''마녀''' || [[고여진 바다의 마녀 누마조]] || [[코우다 나오코]] & [[미야자와 유키]][*슈트 슈트 액팅 담당.] || || '''마에스트로''' || [[악몽의 마에스트로 민조]] || [[단 미츠]] & [[미야자와 유키]][*슈트 슈트 액팅 담당.] || ||<-2> '''간부/괴인''' || [[사면사]] || - || ||<-2> '''괴수''' || [[사면수]] || - || ||<-2> '''메카''' || [[스모그 죠키]] || - || ||<-2> '''전투원''' || [[베챠트]] || - || == 기타 == * 이름의 유래는 정체되다, 가라앉는다는 의미의 일본어 요도무(淀む)와 북유럽 신화의 땅인 [[요툰헤임]]이다. * 북유럽신화와 요툰헤임이 모티브인 만큼 수령과 간부도 등장하는 거인과 괴물을 모티브했는데 * 요돈황제는 [[요르문간드]] * 스모크죠키는 [[니드호그]] * 로드가르자는 [[펜리르]] * [[해적전대 고카이저]]의 악의 조직 [[우주제국 잔갸크]]에 이어서 9년만에 [[악의 조직]] 이름에 '제국'이란 명칭이 들어갔다. 더불어서 각본가가 고카이저와 동일하다보니 노린 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 [[지저명부 인페르시아]], [[섀도우 라인]], [[전투민족 드루이든]]에 이어 4번째 서양풍 악의 조직이다. * 요돈헤임의 2명의 대간부들은 [[지저명부 인페르시아]]의 2명의 총사령관을 오마주한걸로 보인다. 전투원이였다가 공을 세워서 대간부로 승급한 자([[개력대장 브랑켄]], [[어둠의 가면술사 크랜튤라]]), 원래는 선역이였다가 적으로 돌아선 자([[마도신관 메미]], [[배신의 귀신 장군 가르자]])가 대간부로 있다. 그리고 조직의 2인자 같은 존재이며 수령에게 광적으로 충성하는 자([[3현신 다곤]], [[요돈나]])가 최고 간부로 있다.[* 차이점들 이라면 인페르시아의 브랑켄과 메미, 다곤은 각각 초반부와 중반부, 그리고 후반부 보스를 맡고 퇴장한 점이다.] 그리고 여간부가 세 명([[3현신 스핑크스]] & [[3현신 고곤]] & [[요환밀사 반큐리어]], [[고여진 바다의 마녀 누마조]] & [[악몽의 마에스트로 민조]] & [[요돈나]])이 있다는 점과 스나이퍼 간부([[5무신 사이클롭스]], [[샤돈]])가 있다는 점도 똑같다. * [[열차전대 토큐저|6년 전 전대 작품]]의 [[섀도우 라인]]과 성향이 서로 닮았다. 어둠과 관련된 점. 어둠을 좋아하고, 반짝임과 빛을 싫어한다는 점. 황제 직위를 가진 자([[제트(열차전대 토큐저)|제트]][* 제트의 경우 처음엔 반짝임에 관심이없다가 반짝임에 관심이 생긴다.], [[요돈 황제]])와 장군 직위를 가진 자([[흑철장군 슈바르츠]], [[배신의 귀신 장군 가르자]])그리고 허당끼가 있는 자([[네로 남작]], [[어둠의 가면술사 크랜튤라]]), 서로 가족관계인 두 명의 여성 간부([[노아 부인]], [[그리타 양]] & [[고여진 바다의 마녀 누마조]], [[악몽의 마에스트로 민조]]), 여성 최고 간부([[모르크 후작]] & [[요돈나]]), 총을 무기로 쓰는 간부([[나일 백작]] & [[샤돈]])가 있다는 점. 앞서 말한 장군 직위의 인물 둘다 검은색 이미지에 검술에 간지폭풍에 상당한 강적이라는 점 그리고 허당끼를 가진 인물 둘다 책사형[* 비전투형] 간부들이지만 의외로 전투에 유능하다는 점 등이 유사하다. * [[초수전대 라이브맨|32년 전 전대 작품]]의 [[무장두뇌군 볼트]]와도 비슷한 점이 있다. 간부들이 대부분 보스에게 숙청당해 사망했다는 점과 갱생하여 끝까지 생존한 캐릭터[* 라이브맨은 [[닥터 오브라]], 키라메이저는 [[크랜튤라]].]가 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 어쩌면 요돈헤임의 간부들은 [[섀도우 라인]]과 [[지저명부 인페르시아]]의 간부들의 특징들을 대부분 오마주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의 [[메타로이드]]와 [[메가조드(특명전대 고버스터즈)|메가조드]]처럼 괴인이 거대화하지 않고 거대전과 등신대 전투 담당이 따로 있다. * 역대 슈퍼전대의 악역 조직들중에서 조직의 체제가 가장 탄탄하고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고있는 조직이다. 역대 조직들이 소수의 간부들이나 한명의 수장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전제군주정이나 독재집단인데 반해서 요돈헤임은 수장과 간부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철저하게 전투원들이 중심이 되어서 성과에 따라서 승진을 거듭하는 일종의 대기업과 같은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놓았기 때문에 간부진이 전멸하면 세력 자체가 괴멸하던 다른 조직[* '''이런 식으로 괴멸된 조직의 예시가 바로 신켄쟈의 [[외도중]]이'''다. 세력 자체가 워낙 소수밖에 없었는데다가 조직의 근간을 이루는 [[아야카시]]를 보충하는 방법이 '''낚시하다가 운좋게 걸려드는걸 지상으로 끌어올리는''' 상당히 비효율적인 방식이라서 인원의 증원이 하도 어려운데다가 [[후와 쥬조|'''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서로 따로 놀다가 각개격파 당하는 총체적 난국''']]이 겹친 결과 화가 거듭할수록 쇠퇴하다가 인원부족으로 멸망하고 말았다.]들과는 다르게 설령 간부진이 전멸해도 수장이 살아있고 시간만 충분하다면 어렵지 않게 재건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 하지만 그에 반해 작품 외적으로는 예산 문제 때문인지 역대 슈퍼 전대 악의 조직 중에서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등장하는 간부도 셋[* 크랜튤라, 가르자, 요돈나.][* 누마조는 과거에 오라딘에게 당해 이미 사망한 상태이고, 민조는 극장판에서만 등장했고, 샤돈은 한 번만 등장하고 죽었기 때문에 사실상 세 명이다.]뿐이고 괴인인 사면사와 사면수는 몇 종류의 슈트에 얼굴만 바꿔 쓰는 저렴한 구성을 하고 있다. 모티브로 삼았던 [[가면 괴인]]도 최소한 괴인마다 다른 슈트를 썼으며 개인 무장까지 보유하고 있는 반면 사면사는 색만 다른 슈트를 얼굴만 바꾼 채로 사용하고 있으며 무장도 전투원 베차트가 쓰는 누마데를 그대로 쓰거나 아예 맨몸으로 싸운다. 그나마 디자인 퀄리티가 있는 사면수들도 여섯 종류의 슈트에 얼굴만 바꾸는 구성이라 슈트 재탕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괴인과 거대화된 괴수가 별개로 존재했던 [[사명체 에볼리안]]이나 [[버그러스]]보다 훨씬 퀄리티가 떨어졌고, 이 작품 이후 전대 시리즈의 괴인 슈트는 몸통을 그대로 재탕하기 시작했다. * 간부들이 대부분 요돈 황제에게 숙청을 당했다.[* 크랜튤라는 운 좋게 살아남았지만 가르자는 사망하였고, 요돈나도 요돈 황제에게 충성을 다했는데 숙청당했다.][* 사실 키라메이저가 직접 쓰러트린 간부는 [[악몽의 마에스트로 민조]]와 [[샤돈]]밖에 없다. 누마조는 오라딘 왕에게 당해 사망했기 때문.] * 크랜튤라가 새로운 지배자가 되면서 완전히 괴멸되지 않은 조직이 되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마진전대 키라메이저)]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악의 조직)] [[분류:어둠의 제국 요돈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