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66년 출생]][[분류:1927년 사망]][[분류:영국의 생물학자]][[분류:왕립학회 회원]][[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분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재직]] ||<-2>
'''{{{#white {{{+2 Ernest Starling}}}[br]{{{+1 어니스트 스탈링}}} }}}''' || ||<-2> {{{-2 {{{#white '''[[훈장(상훈)/영국#s-2.5|{{{#white CMG}}}]] FRCP [[왕립학회|{{{#white F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어니스트스탈링.jpg|width=100%]]}}} || || {{{#white '''성명'''}}} ||어니스트 헨리 스탈링 Ernest Henry Starling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white '''출생'''}}} ||[[1866년]] [[4월 17일]] || ||[[영국]] [[잉글랜드]] [[런던]] || ||<|2> {{{#white '''사망'''}}} ||[[1927년]] [[5월 2일]] {{{-1 (향년 61세)}}} || ||[[자메이카]] [[킹스턴]] || ||<|2> {{{#white '''학력'''}}}[* [[https://hekint.org/2020/06/29/ernest-henry-starling-and-the-birth-of-english-physiology/#:~:text=Ernest%20Starling.&text=He%20was%20born%20on%2017,of%20Sir%20Edward%20Sieveking%2C%20MD.|Ernest Henry Starling and the birth of English Physiology]][BR][[https://history.rcplondon.ac.uk/inspiring-physicians/ernest-henry-starling#:~:text=From%20King's%20College%20School%20he,as%20a%20demonstrator%20of%20physiology.|Royal College of Physicians - Ernest Henry Starling]] 참고] ||[[킹스 칼리지 런던|킹스 칼리지 스쿨]][* 영국의 [[퍼블릭 스쿨]]로 현재는 런던 윔블던에 위치해 있다.[br]어니스트 스탈링이 재학하던 시기의 [[https://en.wikipedia.org/wiki/King%27s_College_School|{{{#black,#white '''킹스 칼리지 스쿨'''}}}]](King's College School)은 현재와 같은 독립된 퍼블릭 스쿨이 아닌 [[킹스 칼리지 런던]] 산하의 Junior Department로 킹스 칼리지 런던의 일부였다.[br]자세한 내용은 [[킹스 칼리지 런던/역사]] 참고.] {{{-2 (졸업)}}} || ||[[킹스 칼리지 런던|가이스 병원 의과대학]][* 現 [[https://en.wikipedia.org/wiki/GKT_School_of_Medical_Education|{{{#black,#white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br][[https://www.kcl.ac.uk/people/ernest-starling|King’s People - Ernest Starling]] 참고] {{{-2 (의학 / 졸업) (1889년)}}} || || {{{#white '''소속'''}}} ||[[킹스 칼리지 런던|가이스 병원 의과대학]] 교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학과장[* Chair of Physiology] || || {{{#white '''분야'''}}} ||[[생리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어니스트 스탈링은 영국의 생리학자이다. 생리학 분야의 기본이 되는 개념들과 법칙들을 정립한 데에 업적이 크며, 이런 업적들을 인정받아 여러 차례 [[노벨생리학·의학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으나 여러 이유로 무산되었다. == 생애 == 스탈링은 [[킹스 칼리지 런던|가이스 병원 의과대학]]을 졸업한 의사였고 실제로 런던의 유명한 병원이 밀집해 있기로 유명한 할리가(Harley street)에서 의사 일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탈링의 흥미는 기초의학, 그 중에서도 생리학으로 갔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이후 [[모세혈관]]과 [[림프계]]에서의 체액 이동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군에서 일하기도 했으며, 전쟁 이후에는 실험 활동을 계속하다가 1920년 [[대장암]]에 걸려 [[큰창자|대장]] 절제를 받기도 했다. 1927년 자메이카 킹스턴 항구에 정박되어 있던 그의 배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으나 그 사인은 불명확하다. == 업적 == * 모세혈관에서의 체액 이동에 관여하는 힘들에 대한 [[스탈링 방정식]](Starling equation)의 정립. * [[심장]]에서 [[심박출량]]과 [[정맥환류량]]의 관계를 밝힌 [[프랑크-스탈링 법칙]](Frank-Starling law)의 정립. 이는 독일의 생리학자 [[오토 프랑크(생리학자)|오토 프랑크]]와 함께 연구한 결과이다. * [[십이지장]]에서 분비되어 다양한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세크레틴]](secretin)의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