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상혁)] [include(틀:디시인사이드/문화 및 유행어)]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7fc18df112cd7b9902004a854c2552a.jpg|width=100%]]}}}|| || 해당 밈과 같이 쓰이는 사진 || [[롤갤]]에서 시작된 밈으로, 특정 인물의 과거 활약상 혹은 [[흑역사]]를 재조명하는 용도로 쓰이는 말이다. 시작은 "어, 맞아맞아. 놀랍지만 그건 사실이야."로 시작하였지만, 밈이 사용되면서 축약되고 변형되어 "음음 그래그래", "놀랍지만 그건 사실이야", "맞아맞아 그건 사실이야", "어, 형이야" 처럼 조금씩 변형되어 사용되는 게 일반적이다. == 유래 == 해당 어구가 정확히 쓰인 것은 2023년 8월경 디시인사이드의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에 한 익명 유저가 [[페이커]]의 광고 사진과 함께 "어 맞아맞아. 놀랍지만 그건 사실이야."라는 제목의 글을 올린 것이 최초이다.[[https://m.dcinside.com/board/leagueoflegends4/18679438|최초 게시글]], [[https://archive.is/hgMVj|@]] 해당 글에선 깍지를 끼고 여유롭게 앉아서 살며시 웃는 페이커의 사진과 함께 겸손한 행보로 유명한 페이커가 절대로 말할 거 같지 않은 오만함이 느껴지는 대사를 함께 적어 마치 페이커가 이를 담담하게 말하는 듯한 느낌을 주어 웃음을 자아냈다. 롤갤은 [[페이커]]를 찬양하거나 까내리기 위해 각종 밈을 뒤섞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2023년에 주로 이용되던 것이 [[이재원(1988)|이재원]]의 '야 형이야' 밈이었다. 당시 페이커는 4번의 준우승[* 2022 MSI, 2022 서머, 2022 롤드컵, 2023 스프링,]을 기록하고 있었기에 이것을 갖고 앞선 '[[야 형이야]]' 밈과 뒤섞어 [[이상혁/별명#s-4|'어 (쮼쮼이)형이야']]라는 형식으로 쓰고 있었다. 이게 한 번 더 변형된 것이 본 항목의 사례인 것이다. 2023년 8월 6일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LCK 서머]] 정규시즌 마지막경기 [[리브 샌드박스]]와 [[kt 롤스터]]의 경기에서 16승 1패로 이미 정규시즌 1등을 확정지은 kt가 1세트 승리 후 프로 1군 경기 경험을 시켜주고자 전원 2군 선수들로 2세트에 출장시켰는데, 리브 샌드박스를 상대로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9주차#s-13.2|충격적인 완승을 거뒀다.]]''' [[https://www.youtube.com/watch?v=b8-lXjvtsGw&ab_channel=LCK|경기 하이라이트]] 이 때, 패배팀에 속한 [[박진성(프로게이머)|테디]]선수는 과거 [[T1]]에서 [[페이커]]와 함께했었던 동료인데, T1 소속으로 페이커 선수와 함께 [[LCK]]에서 3번 우승한 경험이 있다. 이를 가지고 테디와 함께 우승했던 페이커의 실력을 재조명하려는 의도로 쓰여진 글이다. 다만 테디가 실제로 못하는 선수라고 오해해선 안된다. 현재 테디가 부진한 상태이긴 하지만 과거에는 진에어에서 인간 넥서스라는 별명을 갖고있었고 SKT에서도 우승 당시도 슈퍼플레이를 여러번 하는 등 활약했었다. == 활용 == 특정 인물의 과거를 재조명한다는 측면에서 활용 자체가 매우 무궁무진하기도 하고, 애초에 템플릿 자체도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게 아닌 데다 대사와 짤을 바꿔가며 다양한 드립이 올라왔고, 점차 다른 커뮤니티까지 밈이 퍼지게 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용례는 스포츠 경기 직후, 해당 경기에서 좋지 못한 폼을 보인 선수(A)의 이전 동료(B)가 말하는 형식.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밈]][[분류:이상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