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탐라 군주)] [목차] == 개요 == [[탐라국]]의 성주. == 행적 == >百濟遣其臣梁浩來朝, 賜以錦繡有差. >백제가 그 신하 양호를 보내서 입조하니, 수놓은 비단을 차등 있게 하사했다. >---- >『[[원사]]』 권6, 지원 4년(1267) 봄 정월 을사. 양호는 탐라 성주로 [[1266년]] [[원종(고려)|고려 원종]]을 알현했고, 같은 해 12월에 고려의 정연 현석(玄錫)과 함께 원나라로 향했다. 이듬해 [[1267년]] 1월 6일, 양호는 [[원나라]] 조정에 입조했다. 원나라 기록에서 양호를 [[백제]]의 신하라고 부르는데, 실제로 탐라국은 600년도 전인 [[삼국시대]]에 백제에 조공했고, 성주들은 [[좌평]]의 직함을 사용하기도 했다. >長坪。在州西六里。高麗元宗時,文幸奴作難,陳兵于長坪。副使崔托、星主梁浩等討平之。 >장평: 주 서쪽 6리에 있다. 고려 원종 때 문행노가 난을 일으켜, 병사를 장평에 주둔시켰다. 부사 최탁과 성주 양호 등이 토벌해 평정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8, 전라도 제주목. 같은 해에[* 『여지도서』에 따르면 문행노의 난은 원종 8년(1267) 정묘년에 일어났다.] 원나라에 다녀온 다음으로 보이는 시점에, 탐라에서 초적 문행노가 반란을 일으켰다. 양호가 당시 탐라성주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且耽羅國王嘗來朝覲, 今叛賊逐其主, 據其城以亂, 舉兵討之, 義所先也. >또 탐라국왕은 일찍이 와서 조정에서 황제를 뵀는데, 이제 반적이 그 군주를 쫓아내고 성을 근거로 난을 일으켰으니, 병사를 일으켜 그들을 토벌하는 것을 우선하는 것이 옳습니다. >---- >『원사』 권208, 탐라 열전. 원나라 중서성과 추밀원 신하들의 논의 中. 3년 뒤인 [[1270년]] [[김통정]]이 [[삼별초]]를 앞세워 제주에 침입했다. 『원사』 기록에 따르면 김통정이 양호를 쫓아낸 것으로 보이는데, [[1272년]] 원나라의 신하들은 앞서 직접 와서 조공을 바쳤던 양호에 대한 의리를 생각해 탐라의 반적들을 처벌해야 함을 주장했다. 결국 원나라는 [[일본 원정]]에 앞서 고려와 연합해 먼저 [[삼별초의 난]] 진압에 나섰다. [[분류:탐라국 성주·왕자]][[분류:제주 양씨]][[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