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양평군 버스 목록)] [include(틀:폐선)] [include(틀:경기도의 폐선된 버스 목록)] [목차] == 개요 == [[양평군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지역면허가 변경된 버스 노선, 그리고 계획이 취소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운행경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폐선 직전 노선이며 형간전환되었던 노선의 경우 폐선 직전의 노선 형태 기준으로 작성한다. 지역면허가 변경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한다. == 농어촌버스 == === 2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삼산농장)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07:50 || || 막차 || 07:00 || 막차 || 07:5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용문터미널 - 용문성당 - 마릉1리 - 지평역 - 지평사거리 - 송현2리 - 송현3리 - 광탄삼거리 - 봉상2리 - 봉상삼거리 - 삼가리 - 고송2리 - 고송1리 - 고송분교 - 금왕1리 - 금왕2리 - 석곡2리 - 석곡1리 - 양동면사무소 - 양동역 - 삼산리 - 삼산농장 || 양평군 끝자락인 삼산리까지 갔던 노선으로, 삼산리에는 이 노선을 제외하면 양동과 원주를 오가는 원주시 시내버스 58번만이 하루 네 번 들어온다. 이 노선이 삼산리까지 다녔던 이유는 양동중.고교 통학 때문으로, 이 때문에 주말과 공휴일, 방학기간에는 삼산리까지 들어가지 않았다. 과거에는 양평터미널에서 6시 10분에 2-1번으로 출발해서 [[6번 국도]]로 삼가리까지 쭉 간 다음[* 구도로와 용문, 광탄을 모두 경유하지 않았다.] 삼가리와 고송리, 금왕리에서 학생들을 태워 양동시내까지 데려다 준 다음 삼산2리에서 7시 30분까지 대기했다가 2번으로 출발해 배내와 도소리 등 삼산리 일대를 훑고 나왔다. 이후 시간대만 바뀌었을 뿐 같은 경로로 운행했으나 단말기를 2-1번으로 켜고 운행하는지라 GBIS에 뜨지 않았다. 이후 실제로도 2-1번으로 편입되었다. 1월에는 양동중, 고교 방학기간이기 때문에 삼산리에 들어가지 않았다. === 2-7번 (1기 노선)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7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원덕리(원덕1리마을회관) || ||<|2> 종점행 || 첫차 || 14:20 ||<|2> 기점행 || 첫차 || 14:35 || || 막차 || 18:10 || 막차 || 18:25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중 → 현대아파트 → 양평군민회관 → 양평군청.양평역 → 양평시장 → KT양평지사 → 양평동초교 → 백안1리 → 백안2리 → 대흥3리 → 대흥2리 → 대흥1리 → 봉성1리 → 원덕2리 → 원덕역 → 원덕1리마을회관 → 공세1리 → 회현리 → 창대1리 → 충정아파트 → 양평읍사무소 → 양평시장 → KT양평지사 →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2015년 8월 1일부로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막차가 10분 늦춰졌다.(양평터미널 출발 18:00 → 18:10, 원덕1리 출발 18:15 → 18:25) 과거 원덕행 막차는 항금리 노선과 연계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양평터미널에서 출발해 시내를 한 바퀴 돌지 않고 '양평터미널 → 항금리 → 양평군청 → 양평시장 → 양평터미널 → 18시까지 대기 → (무정차) → 원덕리 → (현재와 같은 경로로 운행) → 양평터미널' 과 같은 경로로 운행했다. 중앙선 전철 개통 이후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면서 2015년 11월 초에 폐선되었다. === 2-7번 (2기 노선)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7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석산1리.돌고개)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7:1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07:10 || 막차 || -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0.5회 || ||<-2> 노선 ||<-4> 석산1리.돌고개 → 석산리종점 → 산음2리 → 섬미(회차) → 산음2리 → 산음정류장 → 산음1리 → 고북(회차) → 산음1리 → 향소리 → 덕수2리 → 단월면사무소 → 단월정류장 → 봉상삼거리 → 봉상2리 → 광탄삼거리 → 금곡리 → 마룡리 → 용문중.고교 → 용문터미널 → 삼성2리 → 봉성2리 → 봉성1리 → 대흥1리 → 대흥2리 → 대흥3리 → 백안2리 → 백안1리 → 양평동초교 → 양평중 → 현대아파트 → 양평군민회관 → 양평초교후문 → 양평군청.양평역 → 양평시장 → KT양평지사 →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2-3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2019년에 출발시각이 7시 10분에서 7시 15분으로 조정되었다. === 4-3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4-3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대석2리종점) || ||<|2> 종점행 || 첫차 || 20:00 ||<|2> 기점행 || 첫차 || 20:20 || || 막차 || 20:00 || 막차 || 20:2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시장 - 양평교 - 강상면사무소 - 화양1리입구 - 화양2리마을회관 - 세월리고개 - 세월초교 - 대석1리마을회관 - 대석2리종점 || === 5-6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5-6번}}} || ||<-2><:>기점||<:>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창대리(창대리)|| ||<|2><:>종점행||<:>첫차||<:>11:10||<|2><:>기점행||<:>첫차||<:>11:25|| ||<:>막차||<:>11:10||<:>막차||<:>11:25|| ||<-2><:>운수사명||<:>[[금강고속]]||<-2><:>배차간격||<:>1일 1회|| ||<-2><:>노선||<-4><:>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군청.양평역 → 창대리 → 회현리 → 양평시외버스터미널|| 2015년 8월에 폐선되었다. === 7-12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농어촌버스 7-12번}}} || ||<-2><:>기점||<:>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2><:>종점||<:>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월산리(월산3리마을회관)|| ||<|2><:>종점행||<:>첫차||<:>15:00||<|2><:>기점행||<:>첫차||<:>15:25|| ||<:>막차||<:>19:00||<:>막차||<:>19:20|| ||<-2><:>운수사명||<:>[[금강고속]]||<-2><:>배차간격||<:>1일 2회|| ||<-2><:>노선||<-4><:>'''7-2번과 역순으로 운행.'''|| 2019년 3월 4일 용문 신터미널 이전과 동시에 7-2번으로 통합되었다. === 8번 === [[파일:attachment/P508636.jpg]] 위 차량은 [[양평 버스 2000-1|2000-1번]]으로 이동하였다. ||<-6><:>{{{#ffffff 양평군 농어촌버스 8번}}}|| ||<-2><:>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문호리종점)||<-2><:>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 ||<|2><:>종점행||<:>첫차||<:>11:30||<|2><:>기점행||<:>첫차||<:>13:00|| ||<:>막차||<:>16:30||<:>막차||<:>18:00|| ||<-2><:>운수사명||<:>[[금강고속]]||<-2><:>배차간격||<:>1일 2회|| ||<-2><:>노선||<-4><:>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운길산역 - 진중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댐]] - 팔당역 - 덕소역 - 도농역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명진운수 소속 '문호리 - 양수리 - [[동마장터미널]]' 시외완행버스가 전신이다. 이후 종점이 동마장터미널 대신 청량리로 바뀌었다. 개통 당시에는 명진운수에서 [[농어촌버스]]로 운행했으며, 같은 번호의 좌석버스도 운행되었다. 양수리.진중리 - 교문리.청량리 사이를 운행하는 노선버스로 태화상운 소속 좌석 166번[* 2000년 초 입석 166-2번 전환 - 대원교통 인수 - 개편 당시 지선 2228 - 2008년 말 폐선, 대체노선 이였던 [[남양주 버스 167]]이 폐선 하게 되면서 [[남양주 버스 166]]번이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남양주 버스 167]]번이 폐선하게 되면서 [[남양주 버스 58-3]]이 추가로 생겨났다.]도 존재했는데 후자의 배차간격이 일찌기 더 양호했던 편. 한편으로는 현재 문호리 순환코스로 남아있는 8번대 부번호들도 명진운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중 문호리를 가지 않고 양수리에서 다시 양수대교로 되돌아와 남양주 조안면 시우리로 갔던, 현재 공영버스 63번의 전신격인 8-2번(아래 8-2와는 다르다)같은 노선도 있었다. 그러나 1998-99년경 명진여객.운수의 자금난으로 인해 8번 시리즈를 금강고속으로 매각하였다. 1992년에는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91400209220010&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2-09-14&officeId=00020&pageNo=20&printNo=21940&publishType=00020|같은 번호의 좌석버스가 분리 개통되었다.]] 이후 30-40분 간격으로 꾸준히 문호리 - 양수리, 구리, 서울 간 수요로 유지되다가 중앙선 전철이 국수까지 연장되고 나서는 금강고속 구리방향 농어촌버스 중 가장 크게 직격탄을 맞게 되어, 전철이 용문까지 완전 개통되고 나서는 1일 6회 운행으로 대폭 감회되었다. 그러다가 2012년 10월 18일에 [[양평 버스 8-8|8-8번]]이 신설되면서 1대가 차출되어 1일 3회 운행으로 감회되었다. 2014년 5월 1일에 금강고속 시내사업부 코스표가 개정되면서 문호리에서 12시 50분에 출발하던 시간대가 사라졌고, 8번과 8-2번이 한 번씩만 다니다가, 결국 2014년 8월에 폐지되었다. === 8-1번 === ||<-6><:>{{{#ffffff 양평군 농어촌버스 8-1번}}}|| ||<-2><:>기점||<:>[출발]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고현리종점)[br][도착]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문호리종점)||<-2><:>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7:20|| ||<:>막차||<:>06:00||<:>막차||<:>07:20|| ||<-2><:>운수사명||<:>[[금강고속]]||<-2><:>배차간격||<:>1일 1회|| ||<-2><:>노선||<-4><:>고현리종점 → 증동3리마을회관 → 증동1리마을회관 → 대아초교 → 진개울 → 국수역.양평전자과학고 → 신원리 → 양수리 → 양수리삼거리 - 운길산역 - 진중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댐]] - 팔당역 - 덕소역 - 도농역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이후 문호리종점으로 복귀)|| 2008년 12월 29일에 중앙선 전철이 [[국수역]]까지 연장하면서 폐지되었다. === 8-2번 (1기노선) === 서후리 - 문호리 - 청량리. 2014년 8월 양수리로 단축되었다. === 21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1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용두리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 || ||<-2> 노선 ||<-4> 용문터미널 - 용문우체국 - 용문역 - 용문축협 - 용문중.고교 - 마룡리 - 금곡리 - 광탄삼거리 - 봉상2리 - 봉상1리 - 단월정류장 - 단월면사무소 - 덕수2리 - 덕수1리 - 비룡2리 - 용두리터미널 || 중앙선 전철이 용문까지 연장되면서 신설된 노선.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 23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3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다대리(다대2리마을회관) || ||<|2> 종점행 || 첫차 || 09:20 ||<|2> 기점행 || 첫차 || 09:50 || || 막차 || 09:20 || 막차 || 09:5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용문터미널 - 용문중.고교 - 마룡리 - 금곡리 - 광탄삼거리 - 봉상2리 - 봉상1리 - 단월정류장 - 비룡리 - 용두리터미널 - 다대2리입구 - 다대2리마을회관 || 2-8번 + '용문 - 양평' 단축 + 다대2리 연장 = 23번이다. 24번과 함께 2015년 2월 16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ajunews.com/view/20150216131029320|관련 기사]][* 군청에서는 2015년 8월 1일 시간표에 신설노선으로 적혀 있는데 시간표를 갱신할 때 지우지 않은 듯하다.] 2017년 11월 쯤에 폐선되었다. === 24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24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양동역) || ||<|2> 종점행 || 첫차 || 20:00 ||<|2> 기점행 || 첫차 || 20:50 || || 막차 || 20:00 || 막차 || 20:5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용문터미널 - (→ 지평사거리 → 송현2리.송정 →/← 금곡리 ←) - 광탄삼거리 - 삼가리 - 너루바위 - 고송분교 - 금왕1리.점말 - 양동면사무소 - 양동역 || 23번과 함께 2015년 2월 16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ajunews.com/view/20150216131029320|관련 기사]] 이 때는 2-8번에서 다대2리 구간을 추가한 노선이었으며, 양평에서 15시, 다대2리마을회관에서 16시 10분, 이렇게 하루 한 번 운행했다. 이후 노선이 대폭 바뀌어, 용문과 지평, 양동을 오가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22번과 노선 운행구간이 동일하다. 2019년 3월 4일 용문터미널의 이전으로 신터미널을 출발하여 용문면내를 한바퀴 돌고 양동으로 향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일자 미상으로 폐선되었다. === 33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ffffff 양평군 맞춤형버스 33번}}} || ||<-6><:><#f8931f>{{{#000000 '''평일에 운행'''}}}|| ||<-2><:>기점||<:>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호평고등학교.동원아파트)|| ||<|2><:>종점행||<:>첫차||<:>07:10||<|2><:>기점행||<:>첫차||<:>08:40|| ||<:>막차||<:>07:10||<:>막차||<:>08:40|| ||<-2><:>운수사명||<:>[[금강고속]]||<-2><:>배차간격||<:>1일 1회|| ||<-2><:>노선||<-4><:>[[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시장입구 - 양평군청.양평역 - 오빈역 - 아신역입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아세아연합신학대후문]] - 복포리고개 - 국수역.양평전자과학고 - 신원역 - 양수리삼거리 - 문호리종점 - 서종면사무소 - 문호4리 - '''{{{#aaa 서종IC - 서울양양고속도로 - 화도IC}}}''' - (→ 창현초등학교 → 심석중고등학교 →) - [[46번 국도]] - 호평고등학교.동원아파트|| 이 노선은 폐선이라기보단 33-4/33-5번과 33-6번으로 쪼개졌다고 볼 수 있다. [[양평 버스 33]] 참조. === 33-1번 (1기)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양평군 맞춤형버스 33-1번(1기)}}} || ||<-6> {{{#000000 '''평일에 운행'''}}} || ||<-2> 기점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양수리 두물머리) || ||<|2> 종점행 || 첫차 || 10:30 ||<|2> 기점행 || 첫차 || 11:00 || || 막차 || 13:30 || 막차 || 14:0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1일 3회|| ||<-2> 노선 ||<-4><:> '''3번과 동일하게 운행.'''|| ||<-5> 시간표 || ||<:>1||<:>33-1||<:>10:20||<:>10:50||<:>평일만 운행|| ||<:>2||<:>33-1||<:>12:30||<:>13:00||<:>평일만 운행|| ||<:>3||<:>33-1||<:>14:00||<:>14:30||<:>평일만 운행|| === 40-10번 === ||<-6>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40-10번 || ||<-2>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항금리(항금리문화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8:25 ||<|2> 기점행 || 첫차 || 08:55 || || 막차 || 15:20 || 막차 || 15:50 || ||<-2> 운수사명 || [[금강고속]] ||<-2> 배차간격 || - || ||<-2> 노선 ||<-4> || 2019년에 노선이 신설되었다.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강하면의 도로 일부가 유실되었고, 이 중 항금리와 성덕리를 잇는 도로도 유실되어 40-10번은 4-8번과 유사한 형태(항금리문화마을에서 회차 → 동오2리로 운행)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군청과 양평터미널 시간표에는 40번대 시간표 전체가 없다. 23년 현재는 40-10번은 폐선되었다. === 40-11번 === ||<-4> [[파일:양평군 CI_White.svg|width=25]] 양평군 일반시내버스 40-11번 || ||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항금리(항금리문화마을) || || 종점행 || 13:20 || 기점행 || 14:00 || || 운수사명 || [[금강고속]] || 배차간격 || - || || 노선 ||<-3>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강하면의 도로 일부가 유실되었고, 이 중 항금리와 성덕리를 잇는 도로도 유실되어 현재 한시적으로 4-8번과 유사한 형태(항금리문화마을에서 회차 → 동오2리로 운행)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회차구간에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를 경유한다. 왕창2리 정류장이 왕창리가 아닌 광주시 퇴촌면에 있기 때문이다. 23년 현재는 40-11번은 폐선되었다. === 2000-3번 === ||<-6><:>{{{#ffffff 양평군 농어촌버스 2000-3번}}}|| ||<-2><:>기점||<:>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양평터미널)||<-2><:>종점||<:>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2><:>종점행||<:>첫차||<:>06:20 목왕리 07:10||<|2><:>기점행||<:>첫차||<:>08:30|| ||<:>막차||<:>-||<:>막차||<:>-|| ||<-2><:>배차간격||<-4><:>'''1일 1회'''|| ||<-2><:>운수사명||<:>[[금강고속]]||<-2><:>인가대수||<:>0대 (2000-1번 차량으로 운행)|| ||<-2><:>노선||<-4><:>양평터미널 - 양평군청. [[양평역(중앙선)|양평역]] - [[오빈역]]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후문) - [[국수역]] - [[신원역]] - 양서면사무소 '''(→ 강변역 방면 한정 목왕리 구간 경유 →)''' 양수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역]] - 도곡리 - [[덕소역]] - [[양정역(중앙선)|양정역]] - 남양주제2청사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광나루역]] - [[강변역]]|| ||<-2><:>목왕리 구간||<-4><:>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 부용2리 → 목왕삼거리 → 목왕1리 → 목왕삼거리 → 목왕2리 → 양수리수양관 → 양서면사무소 || 2017년 4월 폐선되었다가 다시 부활, 2023년 5월 29일 다시 폐선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양평 버스 8, version=40)] [[분류:양평군 농어촌버스]][[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