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양창섭]][[분류:야구선수/커리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양창섭)]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인 [[양창섭]]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이다.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kbreport.com/17506579_1869298043357848_1346870350_n.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6051703098_0.jpg|width=100%]]}}} || 초등학교 3학년 시절 영어학원을 빼먹고 친구와 야구를 하다가 [[노원구]] 리틀야구단에서 처음 야구공을 잡고 야구계에 발을 들였다. [[리틀야구]] 시절에는 U-12 대표팀에 발탁, [[한일전]]에 선발 출전하여 2이닝[* 리틀야구 국제대회의 투수는 최대 2이닝의 투구 제한이 있다.] 5탈삼진[* 이 때 삼진으로 처리한 타자 중 2018 NPB 신인드래프트 최대어로 평가받는 [[키요미야 코타로]]도 있었다.] 퍼펙트를 기록하는 등 일찌감치 두각을 드러냈다. 청량중학교에 진학한 후엔 투수와 3루수 중 투수를 선택하며 팀의 [[에이스]] 노릇을 했으며,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최우수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리틀야구 시절 잠실구장에서 시구를 한 적도 있었다. [youtube(YqcQC2sLYFA)]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 진학한 후 1학년 때부터 147km/h의 빠른 공을 던지는 것으로 야구팬들에게 알려진 양창섭은 고등학교 2학년인 2016년에는 최강의 팀 덕수고에서도 [[에이스]]로 우뚝 올라섰다. 덕수고 [[정윤진]] 감독의 말에 따르면 자신이 지도해본 투수들 중 [[성영훈]]을 포함해 가장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그래서 성영훈만큼 혹사 시켰나보다.--[* 정윤진 감독은 유망주 투수들을 굴리며 선수 인생을 망쳐왔다. 물론 투구수 제한이 생긴 이후에는 관리를 해주고 있으나([[장재영(야구선수)|장재영]], [[심준석]] 등) 그 이전에는 무지막지하게 굴렸고 혹사의 피해자인 [[성영훈]], [[한주성]], [[양창섭]]이 고교시절 던진 투구 수 그리고 그로인한 부상을 보면 말이 나오질 않는다. ] [[청룡기]]에서는 4경기 2승을 거두며 대회 우수투수상을, [[황금사자기]]에서는 대회 MVP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맹활약에 힘입어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6|U-18 대표팀]]에 차출, 18세 이하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 참가했다. 2017년에는 황금사자기 2연패의 주역으로 활약, '''2년 연속 황금사자기 MVP'''를 수상했다.[* 당시 덕수고 투수코치였던 [[조용준]]의 지도도 한몫했다.]이는 대회 역사상 유이한 기록으로 1984, 1985년 2년 연속 MVP를 수상했던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 외야수 [[박준태(1967)|박준태]]에 이어 2번째로 달성한 대기록이다. 다만 황금사자기 전 경기에 출전했기 때문에 정윤진 덕수고 감독은 후반기 [[고교야구 주말리그]] 엔트리에서는 제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http://naver.me/FxVQmeQu|##]] 1차 지명 시기, 예상대로 당해 서울권 1차 1순위 넥센이 [[안우진]]([[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 2순위 두산이 [[곽빈]]([[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과 계약하기로 함에 따라서 3순위 LG의 1차지명 유력후보가 되었다.[[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273961|##]] 그러나 LG가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고]]의 [[김영준(야구선수)|김영준]]을 지명하면서 양창섭은 2차 지명으로 밀렸다. 다른 선수들보다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2차로 밀리게 된 이유로는 프로 구단에서 다른 1차지명 후보들이 180 후반서 190 이상의 장신 투수들인 데 비하면 다소 작은 양창섭의 신체 조건과 어릴 때부터 고교에서까지 쉬지 않고 많은 공을 던졌다는 점 등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당해 서울권 1차 지명에는 설명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 2016년 2학년 시즌이 시작될 때 동학년 서울권 3탑이라 불리던 선수들은 덕수고 양창섭, 경기고 [[박신지]], 장충고 [[성동현]]이었다. 여기에 2학년 당시 휘문고 [[안우진]]이 바로 치고 올라와 넥센 팬들이 벌써부터 넥우진을 외칠 정도로 성장하였고, 성동현과 같은 학교인 [[최건(야구선수)|최건]] 또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017년 이들이 3학년이 되자 배명고 [[곽빈]]이 주말리그 개막전부터 갑자기 튀어나와 무섭게 치고 올라왔으며, 이 때 선린인고 김영준까지 같이 치고 올라왔다. 여기에 성남고 [[하준영]]이나 충암고 [[김재균(야구선수)|김재균]]도 꽤나 활약하고 있었고, 전학생 규정에 걸려 1차 지명 대상에서 제외된 서울고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까지 당해 서울팜은 대 호황이었다. 전년도 드래프트 당시 충암고 [[고우석]]에 그나마 휘문고 [[이정후]]밖에 없었을 정도로 흉작이었던 게 다음 해를 위한 원기옥이었나 싶을 정도. 이러한 인재 풍년 속에 안우진과 곽빈이 서울권 투수 랭킹 1, 2위를 확정지었고, 다른 선수들이 남은 한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모양새였는데 LG가 미래의 선발 자원이라는 이유로 선린인고의 김영준을 선택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12214|##]] [[정윤진]] 감독도 혹사 논란으로 인해 그가 1차 지명을 받지 못하자,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에서는 많은 이닝을 소화시키지 않고 있다.[* 덕수고 마운드가 워낙 탄탄해서 동료 투수들이 많은 점도 있고, 대학 진학에 필요한 출전 성적을 쌓기 위해 배려하는 면도 있다.]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에서는 각각 한 경기씩만 투구하고,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7|U-18 대표팀]]에 차출되어 고교야구 국내대회 커리어를 마무리지었다.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투구수 || 승 || 패 || 승률 || ERA || 피안타[br](피홈런) || 4구+사구 || 탈삼진 || 실점(자책점) || WHIP || 피안타율 || K/9 || || 2015 ||<|3>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 2 || 5.2 || 86 || 0 || 0 || 0.000 || 1.59 || 1(0) || 3+0 || 8 || 1(1) || 0.71 || 0.059 || 12.71 || || 2016 || 20 || 74.1 || 1175 || 10 || 0 || 1.000 || 2.18 || 60(0) || 29+12 || 62 || 25(18) || 1.20 || 0.225 || 7.51 || || 2017 || 13 || 50.1 || 692 || 7 || 2 || 0.778 || 1.43 || 39(0) || 7+2 || 57 || 10(8) || 0.91 || 0.219 || 10.19 || ||<-2> 3년 통합 || 35 || 130.1 || 1953 || 17 || 2 || 0.895 || 1.86 || 100(0) || 39+14 || 127 || 36(27) || 1.07 || 0.216 || 8.77 ||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9&aid=0000000263|홍희정 기자와의 인터뷰(지명받은 덕수고 선수 전원)]]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00&aid=0000000076|Lions TV(7라운드 박용민과 함께)]] 2018 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2차 1순위(2차 지명 전체 2순위) 지명을 받아 2017년 10월 10일 계약금 2억 6,000만원, 연봉 2,700만원의 조건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등번호]]는 2017년 [[신용운]]이 [[웨이버 공시]]된 뒤 결번이었던 15번을 [[김한수]] 감독의 추천으로 달고 프로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15번은 양창섭이 리틀야구 시절에 달던 등번호이기도 하다. === [[양창섭/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8양창섭.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창섭/선수 경력/2018년)] || 2018년 3월 28일 데뷔 첫 선발 경기에서 6이닝 90구 4피안타 2탈삼진 무실점 호투하면서 '''역대 최연소 첫경기 선발승(만 18세 6개월 6일)'''을 기록했다. === 2019 시즌 === ||<-5>
'''[[양창섭|{{{#FFFFFF 양창섭}}}]]{{{#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양창섭/선수 경력/2018년|2018년]] || → || '''{{{#074CA1 2019년}}}''' || → || [[양창섭/선수 경력/2020년|2020년]] || 2019년 1월 25일 선수 연봉 계약을 마친 가운데 지난해 최저 연봉 2700만원을 받은 양창섭은 올해 4300만원이 오른 7000만원을 받게 됐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44&aid=0000593069|최충연 200%, 양창섭 159.3%…삼성 영건들 연봉 대폭 인상]] 2월 25일 오키나와 스프링캠프에서 [[한화 이글스]]와의 연습 경기에 선발 등판했으나 1회만에 팔꿈치 통증을 호소하며 마운드를 내려갔고 결국 27일 검진을 받기 위해 한국으로 귀국했다. 2019년 3월 5일 결국 팔꿈치 인대손상 및 뼛조각 발견으로 수술대에 오른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386756|[캠프리포트]삼성 양창섭, 팔꿈치 수술로 시즌 아웃]] 고교때부터 꾸준히 혹사 논란이 있었는데 결국 올 시즌은 재활에 매진하게 되었다. === [[양창섭/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성_양창섭.pn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창섭/선수 경력/2020년)] || 후반기 막판에 복귀 신고식을 치렀다. === [[양창섭/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cs.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창섭/선수 경력/2021년)] || 시즌 초반 롱릴리프로 괜찮은 활약을 하나 싶다가 정작 1이닝 불펜으로서는 부진에 빠지더니, 얼마 못가 또(...)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면서 [[사이버 투수]]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사고 있다. 시즌 후 상무입대 지원을 넣었는데 1차 합격을 하였으나, 최종합격에 실패하였다. 수술경력으로 인해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거나 결혼 이후 상근예비역으로 복무할 가능성이 생겼다. 그리고 12월 16일자로 등번호를 15번에서 1번으로 바꿨다. === [[양창섭/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세자22.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창섭/선수 경력/2022년)] || === [[양창섭/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창섭/선수 경력/2023년)] || 입대 이전 마지막 시즌. 평소와 다르게 건강하게 시즌을 시작하였으며 그동안 정체되어있던 구속이 다소 빨라졌으나 컨트롤이 완벽히 무너지며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 시즌. 불펜 전환 이후에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역시나 일부 경기에서는 매우 부진하였다. 그러다 시즌 중인 8월 1일에 입대하면서 시즌을 조기에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