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48_8152.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양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48번}}} || ||<-2>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2> 배차간격 ||<-4> 60분 || ||<-2> 운수사명 || [[진명여객]] ||<-2> 인가대수 || 9대(예비 ?대)[* 주말, 공휴일에는 6대 인가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 소속된 차량 수는 단 3대였다.] || ||<-2> 노선 ||<-4> 차고지 - 덕정역 - '''__융보아파트 - 회천3동주민센터 - 회천초교 - 주원초교 - 덕정주공8단지 - 회천초교 - 회천3동주민센터 - 융보아파트__'''[*주의! 이 구간은 양 방향 차량이 회천초교 → 주원초교 방향으로 운행한다.] - 구.덕정성당 - 범양아파트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중앙역 - 시장앞 - 신곡교 - 장암주공5단지 - 호원중앙감리교회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6> [[파일:양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양주시 일반시내버스 48-1번}}} || ||<-2>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6:40 ||<|2> 기점행 || 첫차 || 11:40 || || 막차 || 07:40 || 막차 || 12:50 || ||<-2> 배차간격 ||<-4> 1일 2회 || ||<-2> 운수사명 || [[진명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차고지 - 덕정역 - '''__융보아파트 - 회천3동주민센터 - 회천초교 - 주원초교 - 덕정주공8단지 - 회천초교 - 회천3동주민센터 - 융보아파트__'''[*주의!] - 구.덕정성당 - 범양아파트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중앙역 - 시장앞 - 신곡교 - 장암주공5단지 - 호원중앙감리교회 - 회룡역 -'''__ (← 경기북부병무지청 ←)__''' - 망월사역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개요 == [[진명여객]]에서 운행했던 --농어촌버스--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0km(본선 기준)였다.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42|구 13-1번]] 도시형버스(덕정동 - 대지극장[* 미아사거리역 인근에 있었던 극장으로, 특히 이 지역에서는 굉장히 역사가 깊은 일종의 랜드마크였다. 현재의 [[CGV 미아]]이다.])가 전신이다. 이 때는 대원여객에서 운행했으며, 서울시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 덕정지구가 입주하던 2001년 초부터 덕정주공에 진입하기 시작했는데, 당시 노선은 '''차고지 - 덕정역 - 덕정중학교 - 덕정주공 1, 2단지 - 덕정주공 5단지 - 건널목[* 현재의 '''융보사거리.건널목''' 정류장이므로, 경원선이 복선전철화 되기전에 있던 철도건널목이였다. 건널목의 명칭은 원정 건널목.] - [[아모레퍼시픽|태평양]]물류센터'''[* 서울 버스는 태평양물류센터로, 경기도 버스는 당시 덕정성당으로 방송했다. 이 둘은 현재 양주신도시 회천지구 수용으로 모두 옮겨졌는데, 아모레퍼시픽 경기북부물류센터는 현재 남양주시 화도읍 답내리로, 덕정성당은 칠봉초등학교 맞은 편(도로명 화합로 1457-17(舊 고암동))으로 옮겼다.] 순으로 운행했다. 이후 덕정주공 3, 4단지가 각각 4월, 6월에 모두 입주하면서 현재의 [[양주 버스 31|31]]번과 같은 방향으로 운행했다.[* 당시 덕정주공 2단지 입주민 대표회장이 서울 버스의 덕정지구 진입을 반대하려는 로비 등의 사태가 벌어져 입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친 적이 있었다. 그 결과 당시 입주민 대표회장은 입주자의 항의를 이기지 못해 자진사퇴했고 결국 이 노선을 비롯하여 덕계동 경유의 13-2(현재의 통합 118번)번도 들어오게 됐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1148번으로 바뀌었다. 이때 도봉-미아 중앙차로 신설로 유턴이 불가능하게 되자 미아사거리까지 운행하던 것을 종암동, 하월곡동 외곽까지 연장하여 당시 서울북공고(現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노선도 개편하여 성가복지병원과 종암 SK뷰, KT 월곡지사를 경유하여 회차하는 방식이었다.[* 단, 종암동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고려대는 가지 않으나, [[51번 서울특별시도]]에 다니는 버스가 많은 관계로 연계는 가능하다.] * 종암동, 하월곡동 연장 운행 당시 노선은 '''"미아사거리역[* 당시 미아삼거리역] - 성가복지병원[* 당시 서울북공고 학생들은 모두 여기에서 하차했다.] - 종암선경아파트[* 현재의 종암 SK뷰] - 월곡전화국(회차 후 의정부 방향 동일하게 운행)"'''이었으며 2006년 5월 27일에 후술할 종로5가로 노선이 연장될 때까지 운행했다. * 2006년 5월 27일에 '미아사거리 - 미아리고개 - 혜화동로터리 → 창덕궁 → 이화장 → 흥인지문 → 종로5가 → 대학로 → 혜화동로터리' 구간이 연장됐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46|관련 공지사항]] 다만 0권역으로 들어가게 됐음에도 불구하고 번호는 1148번을 유지했다. * 2008년 6월 1일에 도봉산역까지 단축됐다. [[http://www.yangju.go.kr/site/yangju/sub.do?Key=273&mode=VIEW&myMode=&post=6850&st=A&sk=1148%EB%B2%88|관련 공지사항]] 즉, '''서울 버스인 주제에 서울 시내 정류소는 [[도봉산역]]밖에 없었다.''' * 그렇게 '''[[아웃 ○○ 노선|아웃 서울]]''' 노선이 된 1148번은, 경기도로 가는 노선을 줄이려는 서울시청과 [[서울 버스 2016#s-2.2|0213번]](효창동 - [[상왕십리역]])에 [[공동 배차]]로 참가하고 싶어하던 [[대원여객]]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2009년 8월 22일부로 폐선됐다. 그리고 대체 노선으로 [[양주 버스 48|양주시 면허]]로 다시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기존 차량들은 0213번으로 넘어갔다.][[http://2220daheung.blog.me/150067856837|관련 게시글]] 그리고 2010년 1월 25일에 [[양주 버스 118|똑같은 일이 또 벌어진다.]] * 2011년 중반 동일로(장암지구 - 장암역삼거리(쌍암사 입구) - [[도봉차량사업소]] 구간)의 심각한 상습 정체로 인해 [[회룡역]] 경유로 변경됐고, 2012년 2월 25일 의정부터미널 경유에서 의정부시장-신곡교 경유로 변경됐다. 또한 이날 31번과 중복되는 덕정주공 구간은 1~8단지 전체를 상·하행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경유하게 됐다. * 2013년에 도봉산역 광역환승센터가 개장하면서 의정부, 양주 방향은 환승센터에서만 탑승이 가능하며, 앞으로는 중앙차로에서 탈 수 없다.[* 이는 평안운수의 39, 39-1, 39-4번도 마찬가지. 본래 도봉고등학교까지가 종점이었으나(회차 장소는 아진교통 차고 앞이었다.) 광역환승센터 신설로 인해 이 노선은 물론 전술한 노선 모두 도봉고등학교를 경유하지 않게 됐다.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도봉산 등산객들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 다만 도봉산역 광역환승센터에서 내리면 1, 7호선 도봉산역으로 다이렉트 환승이 가능해진다. ~~둘 중에 하나를 골라보자~~] *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48-1번이 신설됐다. 과거 48번 본선이 '''"특정 시간대에 경기북부병무지청을 경유"'''하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도봉산역에서 출발할 때 경기북부병무지청에 들어갔다 나오는 걸 제외하면 본선과 동일하다. * 상술한 덕정주공 전체 경유와 의정부시장-신곡교 경유로 바뀐 이후부터 [[양주 버스 31|31번]]과 [[양주 버스 118|118번]]에 차량을 뜯긴 것도 모자라 결국 적자로 이어졌고, 5년 간 계속 유지됐음에도 적자가 심화되어 2017년 8월 20일 막차까지 운행 후, 21일부로 폐선됐다.[* 같은 날 1998년 당시 덕정동 연장으로 함께 했던 [[서울 버스 108|108]]번의 골프장 노선도 BIS 오류와 배차간격 관리에 차질 심화 등으로 인해 함께 사라질 예정. 결국 이 노선이 폐선됨에 따라 대원여객의 108번 본선과 대원여객 출신의 [[양주 버스 118|118번]]만 남게 됐다. 그리고 [[2022년]] 현재는 [[서울 버스 108|108번]]도 폐선되면서 [[양주 버스 118|118번]] 하나만 남게 됐다.] * 이 노선이 폐선되면서, 양주시가 '덕정지구 - 양주신도시 - 신평화로 - 민락지구 - 도봉산역' 간 직행좌석버스인 1100번을 11월 중으로 개통하겠다고 밝혔고, 이후 실제로 신설됐다. 자세한 내용은 [[양주 버스 1100]] 문서를 참조. == 특징 == * 덕정동과 의정부를 잇던 옛 22번[* 당시 같은 진명 소속이었으나, 월등히 배차가 좋았던 31번과 서울까지 나간다는 메리트가 있던 48, 118번에게 밀렸다. 결국 명진여객으로 반품된 후에 신한대학교 동두천캠퍼스-의정부역, 농협을 오가는 37번으로 대폭 변경됐다. 그러나 10-1번의 수유역 연장 때문에 의정부로 잘린데다 승객 수요가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바람에 2015년 5월 8일부로 폐선됐다.]의 뒤를 이어 운행하고 있는 [[양주 버스 31|31번]]과 더불어 간판 스타 노선이'''었'''다. 당시 배차 간격은 둘 다 평시 20분으로 비슷하지만 이쪽은 서울, 31번은 의정부까지 가는 데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3번 국도|평화로]]를 그대로 내지르는 건 물론이요[* 다른 의정부 노선을 타보면 덕계동으로 가는 노선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진여객의 25-1번이 특히 그러한데, 덕정주공을 거치지 않고 덕계동으로 직통하기에 의정부까지 빨리 갈 수 있지만 운행 차량이 몇 대 되지도 않고 적성터미널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 게다가 25번의 엇배차로 물갈이 운행을 하기에 단독으로 탈 때는 더욱 더 신경을 쓰게 될 수밖에 없다.], 그 어느 때보다도 나름대로 빠른 시간 안에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았다. * 다만 2014~15년 들어 31, 118번 등에 열심히 차를 뜯기고 있는지라 [[의정부 버스 25-1|25-1번]]에 비해서 배차에서도 밀리는 신세가 되어가고 있다. ~~망했어요~~ 이젠 3대 정도로 굴리면서 배차간격도 늘어나고 점점 배차고자가 되는 바람에 [[농어촌버스]]라는 비아냥까지 들었고[* 폐선 직전에는 1일 '''6회''' 운행이었다. --농어촌버스 맞네--] 결국 폐선됐다.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덕정역]], [[양주역]], [[녹양역]], [[가능역]], [[회룡역]], [[망월사역]][* 안골.병무청.호원예비군훈련장 정류장 하차 시 1, 2번 출입구와 연계, 장수원.신한대학교 정류장 하차 시 3번 출입구와 연계], [[도봉산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 [[의정부 경전철]]: [[의정부중앙역]], [[발곡역]][* 발곡중학교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3분], 회룡역 [[분류:양주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