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주시의 버스)] || [[파일:양주 1100번 버스(노원역 변경).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양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양주시 직행좌석버스 1100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양주 1100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노원역]]9번출구)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6:30 ||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25~50분 ||<-2> 주말배차 || 25~50분 || ||<-2> 운수사명 || [[진명여객]] ||<-2> 인가대수 || 7대[* 주말 및 공휴일에는 4대 운행.] || ||<-3> {{{#ffffff 경유 정류장}}} || || '''양주(양주신도시)''' ||<|11> ↔ || '''서울(노원구)''' || || [[덕정역]] ||<|2> [[장암역]].석림사입구[* 노원구가 아닌 의정부시에 위치해있다.] || || 덕정주공1단지.[br]회천3동행정복지센터 || || 옥정3단지(상) [br] 옥정3단지.세창아파트입구(하) ||<|3> [[수락산역]](상) [br] [[수락산역]]3번출구(하) || || 2차디에트르프레스티지(상) [br] 리젠시빌란트(하) || || e편한세상11단지.[[경기교통공사]](상) [br] 푸르지오9단지.경기교통공사(하) || || 연푸른초교.한신더휴.e편한세상19단지(상) [br] 옥정마을16단지.e편한세상18단지(하) ||<|2> [[마들역]] || || e편한세상19단지.대성베르힐.한신더휴(하) || || 덕현초교.덕고개 ||<|3> [[노원역]]9번출구 || || 유승한내들9단지.한양수자인2단지 || || 의정부민락 || == 개요 == 진명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km이다. [[https://map.naver.com/?busId=1707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양주 버스 48|48번]]이 폐선되기 전에도 이미 양주시의 발주로 논의된 직행좌석버스 계획이었는데, 이 계획이 48번 폐선 후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양주신도시 옥정지구 개발이 점차 가속화된 상태여서 옥정지구에서 서울로 이어가기 위한 발판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결과 노선 변경 후 적자가 심화되어 --농어촌버스로 격하된-- 48번을 폐선하는 대신 1100번을 개통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되었다. * 2017년 11월 16일에 옥정지구에서 [[이성호(1957)|이성호]] 양주시장, [[정성호(정치인)|정성호]] 국회의원, [[진명여객]] 사장과 [[KD 운송그룹|KD]] 임원 참관 하에 개통식을 가졌다. * 2017년 11월 17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본래 옥정지구에서 출발할 예정이었으나, 옥정지구 내 주박지가 확보되지 않은 점도 있고 덕정지구의 수요를 무시할 수 없어 덕정역부터 출발한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106756|관련 게시물]] * 2018년 4월 20일을 전후하여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배차간격이 조정되었고, 막차가 기점 기준 20분 회차지 기준 30분 늦춰졌다. [[http://cafe.naver.com/okjeongyeon/9017|출처, 가입필요]] * 나리공원에서 열린 양주시의 '천일홍축제' 접근성 확보를 위해, 행사일인 2018년 9월 15~16일 전후로 [[양주 버스 118|118번]]이 단독 정차하던 메루지마을[* BIS코드를 받기 전 정류장 구조물만 있을 때에는 '뫼루지마을' 이라고 표기되었으나, BIS 부여와 동시에 명칭이 메루지마을로 변경되었다. ([[http://kko.to/S7JVymdjp|로드뷰지점]], [[https://blog.naver.com/amuddo/220475154734|관련 포스팅]].) 다만 [[http://m.gbis.go.kr/search/StationArrivalTvItem.do?stationId=235000001&stationName=%EB%A9%94%EB%A3%A8%EC%A7%80%EB%A7%88%EC%9D%84®ionNameS=%EC%96%91%EC%A3%BC&districtCd=2&mobileNo=53923&mobileNoSi=&x=127.0827167&y=37.7845333&staOrder=30&routeDestName=%EC%88%98%EC%9C%A0%EC%97%AD%28%EC%A4%91%29&routeId=235000020&routeName=118&routeType=13&upFirstTime=04%3A20&upLastTime=22%3A00&downFirstTime=05%3A40&downLastTime=23%3A20&weUpFirstTime=04%3A20&weUpLastTime=22%3A00&weDownFirstTime=05%3A40&weDownLastTime=23%3A20&osInfoType=I|gbis]]상의 명칭과 네이버/다음 지도의 정류장 명칭이 상이하다.] (53-922, 고읍방면/53-923, 광사IC방면)에 임시 정차했다. [[양주 버스 G1300|G1300]]번도 함께 정차 중이며, 이후 다시 정류장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2019년 9월에도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75900|재정차하면서]] 행사 때마다 정차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2019년 5월 1일부터 1100번, [[양주 버스 G1300|G1300번]], [[양주 버스 8906|8906번]] 버스 공통으로 옥정지구 내 정류장이 개편되어, 도봉산방향 e편한세상19단지(53-639), 덕정방향 옥정마을16단지.e편한세상18단지(53-915)정류장에 추가정차함과 동시에 덕정방향은 e편한세상11단지(53235) 정류장 대신 푸르지오9단지(53910) 정류장 정차로 변경되었다. 후자는 멀티환승센터 조성에 따른 변경으로, 이를 통해 기존 옥정지하차도 상부를 통과하여 생긴 불필요한 시간 소모를 해결하게 되었다. * 2020년 4월 초부터 1100번, [[양주 버스 G1200|G1200번]], [[양주 버스 G1300|G1300번]] 공통으로 옥정3단지 정류장에 추가정차한다. 경로 자체는 기존 노선과 동일하다. * 2021년 8월에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2년 10월 31일부터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미경유하고 [[장암역]](환승센터), [[수락산역]], [[마들역]]을 지나 [[노원역]] 9번출구에서 회차하는 경로로 변경되었다. 해당 노선변경에 대한 대체 노선은 [[양주 버스 1101|1101번]]·[[양주 버스 118|118번]], [[포천 버스 1386|1386번,,(민락BRT한정),,]]과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열차]] 등이 있다. [[https://blog.naver.com/godtwice2018/222907157560|운수사 게시물]] * 2022년 11월 14일 부터 '옥정3단지,,(정류소 ID 39763),,'와 '옥정고,푸르지오9단지,,(정류소 ID 39670),,'에 정차하지 않고 서울행은 '회암2통마을회관.생명나무교회,,정류소 ID 39642,,'와 '2차디에트르프레스티지A'에 정차하고 덕정행은 '리젠시빌란트' 정류장, '회암2통마을회관.생명나무교회,,정류소 ID 39642,,'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c11.kr/19i93|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 민원으로 인하여 2023년 1월 2일에 회암2통마을회관.생명나무교회 정류장이 폐지되고 옥정3단지 정류장에 다시 정차하게 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72315|관련 게시물]] * 17단지(대성베르힐, 한신더휴) 입주 등에 따라, 2023년 4월 17일부터 차고지행 한정으로 e편한세상19단지.대성베르힐.한신더휴(39748)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https://cafe.naver.com/delpia/64238?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YWZlVHlwZSI6IkNBRkVfVVJMIiwiY2FmZVVybCI6ImRlbHBpYSIsImFydGljbGVJZCI6NjQyMzgsImlzc3VlZEF0IjoxNjgyMjU5Mzg3OTI3fQ.OLNAMA7yOtGqnbWHkyIGMciEnCrvtcThvaASCtutUWU|관련 공지]] 또한 비슷한 시기 53639 정류장명이 변경(e편한세상19단지 → 연푸른초교.한신더휴.e편한세상19단지)되었다. == 특징 == * 양주시 면허 최초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양주시 안으로 들어온 직행좌석버스 노선까지 따지면 [[포천 버스 3500|3500번]]과 [[양주 버스 8906|8906번]]이 있었지만 8906번은 경기순환버스로 성격이 다른데다 개통 시점에는 [[광주시]] 면허였으며, 3500번은 고읍지구 내부 미경유로 인한 수요 감소 및 적자 등으로 인해 노선이 대폭 변경되면서 양주시 내로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 [[양주신도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 정차 패턴을 만든 노선으로, 이후 개설된 G1200번 · G1300번 · 1101번 역시 양주 내 정차 정류장은 1100번과 동일하게 지정되었다. *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대한민국#s-2.4.10|민락BRT]]와 연계해 건설된 [[신평화로]]상의 의정부민락 정류장(민락동 금강펜테리움 부근)을 최초로 이용한 노선 중 하나로, [[연천 버스 G2001|G2001번]] 개통 전까지 [[신평화로]]를 가장 길게 이용하는 광역버스 노선이었다. 또한 이후 다수의 노선이 개통되었지만 해당 노선들이 양주/동두천↔민락지하차도 노선과 도봉산역/장암역↔민락지하차도 노선들이라 2021년 현재까지도 양주↔도봉산역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하지만 2022년 [[장암역]] 경유로 변경되며, 2021년 개통된 [[양주 버스 1101|1101번]]에 '유일한' 타이틀을 넘겨주게 되었다. * 담당기사들은 대부분 [[명진여객]] 시절의 22번과 평안-진명 31번 출신의 고참 기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 폐선된 [[양주 버스 48|48번]]의 후속 노선이나, 구 48번과 달리 [[공차회송|차고지에서의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이는 [[양주 버스 28|28번]], [[양주 버스 8906|8906번]], [[양주 버스 G1200|G1200번]], [[양주 버스 1101|1101번]], [[양주 버스 G1300|G1300번]]과 동일하며, 차고지~덕정역 구간은 대체 노선([[양주 버스 11|11번]], [[양주 버스 31|31번]], [[양주 버스 75|75번]], [[양주 버스 76|76번]], [[양주 버스 87|87번]], [[양주 버스 118|118번]])으로 환승하여 이용해야 한다. 서희스타힐스 거주자도 마찬가지로 기점이 '''덕정역'''이므로 덕정역에서 내려야 한다. 개통 시점에는 8906번과 동일하게 기종점 가상정류장을 인근 지명인 내촌을 딴 내촌차고지로 표기했으나, 남양주에 실존하는 [[내촌영업소]]와의 혼동이 있는데다 실제 통용되는 명칭도 아닌지라 2018년 5월 기준으로 덕정차고지로 표기가 변경되었다. * 개통일 첫차부터 무려 500명이 탑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출퇴근 시간대에만 많이 타지 평시에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 상태다. 1호선 운행에 문제가 생기는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NH 시간대엔 절반도 못 채우는 상황이다. 양주신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수요 증가와 1호선 경원선 구간의 긴 배차 간격 및 서울 108번 폐선 등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출퇴근시간대인 RH에도 45인승 버스에서 대략 25석 정도 채워간다. * 2018년 4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10041994|의정부~덕정 단전]] -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3581&page=3|만석]] * 2020년 8월 [[수도권 전철 1호선/사건사고#s-2.14|광운대~청량리 운행중단]]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63235|만석]] * 또한 같은 이유로, 인가는 8대로 받았으나 최초 도입된 5대 이후 증차는 요원한 상황이다. 개통 당시 계획은 2017년 12월에 2대 증차 후 2018년 3월 2층버스 1대 증차 예정이었다. 하지만 수요가 생각보다 나오지 않자, 증차가 보류되었다. 다만 일단 무산 단계까지는 가지 않은 듯 하며, 노원 연장과 동시에 1대 증차됨을 통해 8대 인가 자체는 유효한 것으로 파악된다. * 이렇게 출퇴근 시간 외에는 수요가 없어 공기수송 상태라 폐선해야되는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으나, 1100번은 준공영제 노선이라 폐선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2020년을 전후해 [[서울 버스 111|의정부 111번]] 노선 단축과 연계해서 수유역이나 서울역으로 연장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으나 이후 가시적인 진척은 나오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후 [[의정부시 버스 목록/폐선#s-2.67|111번]]은 2021년 8월 [[서울 버스 111|서울 면허로 재개통해]] 노선 단축 구간이 복구되었다.] 게다가 서울역으로 연장한다는 방안은 아예 독립된 노선인 [[양주 버스 1101|1101번]]을 개통하는 쪽으로 추진되었다. 결국 2022년 시에서 차선책인 노원역 연장을 추진하여 10월 31일부터 [[동일로]] 경유 노선이 되었다. * 마들역 정차 후에 다음 정차가 노원역인데 그 중간에 있는 정류장은 일종의 급행버스 역할을 하는 직행좌석버스 특성상 정차하지 않는다. * 속도 리밋은 83km/h이다.[* GPS 기준 80km/h] * 양주시 공식 유튜브에서는 [[양주 버스 G1300|G1300번]] 2층버스가 도입될 때 1100번도 2층버스를 도입한다 했으나 현재는 무산된 듯하다. [[양주 버스 1101|1101번]] 등 대체 노선이 운영되고 있어 수요가 분산되는 이유가 작지 않은 듯. === 시간표 === 2023년 9월 기준.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36329|#]] === 노선 === ||<#ff0000> {{{#ffffff 양주시 직행좌석버스 1100번}}} || ||<#ffffff,#1f2023>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6> '''노원역9번출구'''[br]'''11210''' || || 마들역[br]11829 ||<#ff0000> || || ||<#ff0000> || 마들역[br]11830 || || 수락산역[br]11197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수락산역3번출구[br]11196 || || 장암역.석림사입구[br]08324 ||<#ff0000> || || ||<#ff0000> || 장암역.석림사입구[br]08325 || || {{{#808080 장암IC[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장암IC[br]미정차}}} || || 의정부민락[br]08584 ||<#ff0000> || || ||<#ff0000> || 의정부민락[br]08585 || || {{{#808080 양주터널진입[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자금교차로[br]미정차}}} || || {{{#808080 광사IC[br]미정차}}} ||<#ff0000> || || ||<#ff0000> || {{{#808080 광사IC[br]미정차}}} || || 유승한내들9단지.한양수자인2단지[br]53733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유승한내들9단지.한양수자인2단지[br]53742 || || 덕현초교.덕고개[br]39625 ||<#ff0000> || || ||<#ff0000> || 덕현초교.덕고개[br]39624 || || {{{#808080 옥정사거리[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고읍교[br]미정차}}} || || 옥정마을16단지.e편한세상18단지[br]53915 ||<#ff0000> || || ||<#ff0000> || e편한세상19단지[br]53639 || || 푸르지오9단지.e편한세상11단지[br]53910 ||<#ff0000> || || ||<#ff0000> || e편한세상11단지.푸르지오9단지[br]39572 || || 옥정고.푸르지오9단지[br]39687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옥정고.푸르지오9단지[br]39670 || || 덕정주공1단지.회천3동행정복지센터[br]39553 ||<#ff0000> || || ||<#ff0000> || 덕정주공1단지.회천3동행정복지센터[br]39550 || || {{{#808080 봉우재사거리[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봉우재사거리[br]미정차}}} || ||<-6> '''덕정역[br]39521 · 39520''' || }}}}}} || ||<#ff0000>||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양주시 직행좌석버스 110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8년 || 274명 || - || || 2019년 || 283명 || {{{#red △ 9}}} || || 2020년 || 197명 || {{{#blue ▽ 86}}} || || 2021년 || 291명 || {{{#red △ 94}}}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덕정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양주신도시 연계 노선)] [Include(틀:민락2지구 경유 버스노선)] [[분류: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