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련 혁명군사위원회 구성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2대 노농적군 정치국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6대 혁명군사위원회 부위원장[br]{{{+1 얀 보리소비치 가마르니크}}}[br]Ян Бори́сович Гама́рник[br]Yan Borisovich Gamarni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얀 가마르니크.jpg|width=100%]]}}} || ||<|2> '''출생''' ||[[1894년]] [[6월 2일]] || ||[[러시아 제국]] [[볼린주]] [[지토미르]][br](現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주]] 지토미르) || ||<|2> '''사망''' ||[[1937년]] [[5월 31일]] (향년 42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4> '''재임기간''' ||제2대 [[노농적군]] 정치국장 || ||[[1929년]] [[10월 1일]] ~ [[1937년]] [[5월 31일]] || ||제6대 혁명군사위원회 부위원장 || ||[[1930년]] [[6월 2일]] ~ [[1934년]] [[6월 20일]] || || '''서명''' ||[[파일:얀 가마르니크 서명.png|width=150&bgcolor=#fff]]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명''' ||야코프 추디코비치 가마르니크[br]Яков Цудикович Гамарник || ||<|2> '''복무''' ||노농적군 || ||[[1929년]] ~ [[1937년]] || || '''최종 계급''' ||[[상급대장|제1사령관]] {{{-2 (노농적군)}}} || || '''주요 참전''' ||[[러시아 내전]] || || '''주요 서훈''' ||[[레닌훈장]][br][[적기훈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정치인]]. == 생애 == 상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교사]]를 꿈꾸다 17부터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1913년 [[키예프]]로 이사 후 가정교사로 근무했다. 1915년경 [[우크라이나 SSR]]의 볼셰비키 지도자들과 친분을 쌓은 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10월 혁명]] 당시 지도자들과 함께 체포됐으나 1917년 10월 31일 [[무장봉기]]로 해방에 성공했다. 이후 1918년 여름, [[블라디미르 레닌]]과 인연이 닿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진출했다. === 복무 생활 ===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하다 노농적군 정치국에서 육군정치국장과 크라스나야 즈베즈다 신문 편집장을 역임했다. 1929년 11월 중앙위원회 총회 당시 우익 정당 탄압에 앞서 [[이오시프 스탈린]]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1930년부터 1934년까지 초대 국방정치국장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명령에 따라 혁명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많은 위원들과 거리낌 없이 지냈지만, 가마르니크는 특히 [[미하일 투하쳅스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 노농적군 군사력 강화에 관심을 가졌다.[* 이때부터 투하쳅스키가 실수를 저질러도 스탈린에겐 무조건 자신이 잘못했다고 보고했다.] 1935년 11월 20일, 노농적군 역사상 최초로 제1사령관으로 진급했다.[* 계급장에 [[https://ru.wikipedia.org/wiki/%D0%9A%D0%BE%D0%BC%D0%B0%D0%BD%D0%B4%D0%B0%D1%80%D0%BC_1-%D0%B3%D0%BE_%D1%80%D0%B0%D0%BD%D0%B3%D0%B0#/media/%D0%A4%D0%B0%D0%B9%D0%BB:Red_Army_1935_collar_big_komandarm_1-go_ranga.svg|노란 별 1개, 빨간 마름모 4개]]가 있다. 마름모 하나를 현대 장성급 장교의 별 하나로 본다면 제2사령관(빨간 마름모 4개)은 대장, 제1사령관을 상급대장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소련군에 [[원수(계급)|원수 계급]]이 도입됐기 때문에 제1사령관을 원수와 일대일 대칭시키긴 어렵다.] === 몰락 === 1937년 5월 30일, [[소련 공산당 정치국]]은 가마르니크가 파시스트 세력과 협력했단 이유로 모든 직위에서 강제 추방했다. 당시 질병을 앓고 있던 보로실로프는 부하 장군들을 불러 자신과 같은 [[아파트]]에 거주 중인 가마르니크의 체포를 명령했는데, 그들이 도착하기도 전 가마르니크는 자택에서 [[총기]]로 [[자살]]했다.[* 동년 6월 1일 [[프라우다]] 신문에선 반공혐의에 대한 처벌이 두려워 자살했다고 실렸다.] 이후 투하쳅스키 처형 재판 당시 가마르니크의 이름과 행적이 다시 언급됐다. === 사후 === 투하쳅스키와 같이 체포된 자들이 가마르니크의 결백에 대한 증거들을 제출했으나 모두 기각됐다. 이후로도 치열한 법정 공방전을 치른 뒤 1955년 8월 6일, 소련 제3대 [[검찰총장]] 로만 루덴코에 의해 무혐의로 판결됐다. 사후복위는 10월 7일에 끝났다. [[분류:1894년 출생]][[분류:1937년 사망]][[분류:지토미르 출신 인물]][[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소련 공산당 14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분류:소련 공산당 1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16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17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국방인민위원회 산하 군사위원회 위원]][[분류:러시아의 자살한 인물]][[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개명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