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2년]][[분류:2012년 싱글]] |||| {{{#ffffff '''프로필'''}}} || || '''제목''' || '''約束の扉'''[br](약속의 문) || || '''가수''' || [[MEIKO]] || || '''작곡가''' ||<|4> [[일해줘P]] || || '''작사가'''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 || '''페이지''' || [[http://www.nicovideo.jp/watch/sm1928019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12년 11월 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많은 것을 취하는가 한가지를 취하는가, 자그마한 손이 고른 길은 문으로 이어져 '약속의 문(約束の扉)'은 [[일해줘P]]가 2012년 11월 4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MEIKO]]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 설명 == '''MEIKO의 본심'''[* 메이보의 곡중 특히 완성도가 높으며 조교가 잘된 곡에 MEIMO의 본심이라는 태그가 사용 된다.] 곡조는 제작자인 [[일해줘P]]가 주로하고 있는 전통식 민요풍의 곡이다. 그리고 이 민요라는 곡조에 맞아 떨어지는 매우 애절하고 안타까운 감정이 전해져 오는듯한 가사를 가지고 있는 곡이다. 그것에 맞추는 듯이 [[MEIKO]]의 조교에 울리는 느낌을 주어 서글픈 듯이 들려오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그래고 마지막 부분의 고음을 내는 부분(3:18초부터 시작하는)은 아주 높은 고음을 깔끔하게 처리한것으로 유명한 곡이다. 여담으로써 작곡가인 [[일해줘P]]가 제작한 [[네코무라 이로하]]의 [[문의 건너편]]과 가사가 일부 이어진 부분이 있다. == 싱글 == ||<-5>
'''約束の扉''' || ||<-5> [[파일:hinayukki 약속의 문 싱글.jpg|width=100%]] || || '''발매일''' ||<-4> 2012년 11월 5일 || || '''페이지''' ||<-4> [[http://karent.jp/album/1152|KARENT]] || || '''트랙''' || '''곡명''' || '''번역''' || '''가수''' || '''작곡가''' || || '''01''' || 約束の扉 || [[약속의 문]] || [[MEIKO]] || [[일해줘P|hinayukki@일해줘P]] || [[MEIKO]]의 8주년을 기념하여 KARENT에서 [[디지털 싱글]]로써 판매되었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19280191)] == 가사 == || {{{#ffffff 継がれゆく 命の名を謳えば}}} || || 츠나가레 유쿠 이노치노 나오 우타에바 || || 이어져가는 생명의 이름을 노래한다면 || || {{{#ffffff 芽吹き萌ゆ 母なる地よ}}} || || 메부키 모유 하하나루 치요 || || 싹트고 눈을 뜨는 어머니되시는 땅이여 || || {{{#ffffff 忘られた古より 目覚めた}}} || || 와스라레타 이니시에요리 메자메타 || || 잊혀진 고대로부터 눈을 뜬 || || {{{#ffffff 幼子へ 光あれと}}} || || 오사나고에 히카리 아레토 || || 어린 자에게 빛이여 있어라 || || || || {{{#ffffff 壊れゆく時に選ぶべき道は?}}} || || 코와레 유쿠 토키니 에라부베키 미치와? || || 무너져갈 때에 택해야 할 길은? || || {{{#ffffff ''(扉さえ見えない)''}}}|| || ''(토비라사에 미에나이)''|| || ''(문조자 보이지 않아)''|| || {{{#ffffff 弱き者に手を差し伸べる意味は?}}} || || 요와키 모노니 테오 사시노베루 이미와? || || 약한 자들에게 손을 뻗어야 하는 의미는? || || {{{#ffffff ''(答えはまだ…)''}}}|| || ''(코타에와 마다...)''|| || ''(대답은 아직...)''|| || || || {{{#ffffff 止まることのない 砂の器は壊せない}}} || || 토마루 코토노 나이 스나노 우츠와와 코와세나이 || || 멈출 일도 없이 모래의 그릇은 부술 수 없어 || || {{{#ffffff 一粒ごと 迫る時に身を震わせ}}} || || 히토츠부 고토 세마루 토키니 미오 후루와세 || || 한 줌 씩 다가오는 시간에 몸을 떨어가며 || || || || {{{#ffffff 繋いだ手が不意にほどけた 君が離れてゆく}}} || || 츠나이다 테가 후이니 호도케타 키미가 하나레테 유쿠 || || 이어진 손이 돌연히 풀어지며 네가 멀어져가 || || {{{#ffffff 一度きりの 約束だけ残し }}} || || 이치도 키리노 야쿠소쿠다케 노코시 || || 한 번 만의 약속만을 남기고 || || || || {{{#ffffff 繋がれた 絆の糸辿れば}}} || || 츠나가레타 키즈나노 이토 타도레바 || || 이어져가는 인연의 실을 더듬는다면 || || {{{#ffffff 終わりなく 湛う雫}}} || || 오와리나쿠 타타우 시즈쿠 || || 끝임 없이 채워지는 물방울 || || {{{#ffffff 託された人の命 想えば}}} || || 타쿠사레타 히토노 이노치 오모에바 || || 맡겨진 사람의 생명을 생각한다면 || || {{{#ffffff 躊躇いも 要らぬ筈と}}} || || 타메라이모 이라누하즈토 || || 망설임 같은것은 필요하지 않으리라고 || || || || {{{#ffffff 希望をたずさえ選ばれた道は?}}} || || 키보우오 타즈사에 에라바레타 미치와? || || 희망을 끊고 선택된 길은? || || {{{#ffffff ''(眩しくて苦しい)''}}}|| || ''(마부시쿠테 쿠루시이)''|| || ''(눈부시고 괴로워)''|| || {{{#ffffff 君だけがいないこの世界に意味は?}}} || || 키미다케가 이나이 코노세카이니 이미와? || || 당신 만이 없는 이 세상에 의미는? || || [[문의 건너편|{{{#ffffff ''(扉の向こう)''}}}]]|| || ''(토비라노 무코우)''|| || ''([[문의 건너편]])''|| || || || {{{#ffffff 止まることのない 砂の器はここに無い}}} || || 토마루 코토노 나이 스나노 우츠와와 코코니 이나이 || || 멈출 일도 없이 모래의 그릇은 여기에 없어 || || {{{#ffffff 一粒ごと 落ちる音だけが聴こえて }}} || || 히토츠부 고토 오치루 오토다케가 키코에테 || || 한 줌 씩 떨어져가는 소리만이 들려와서 || || || || {{{#ffffff 揺らいだ空 泣き虫な朝 泣いていたのは誰}}} || || 유라이타 소라 나키무시나 아사 나이테이타노와 다레 || || 흔들리는 하늘 울보인 아침 울고 있었던건 누구 || || {{{#ffffff 堅く閉じた扉をなぞる 心が冷えてゆく}}} || || 카타쿠토지타 토비라오 나조루 코코로가 히에테 유쿠 || || 단단히 닫힌 문을 더듬어가며 마음이 식어가 || || {{{#ffffff 光の中 何も見えない 君が離れてゆく}}} || || 히카리노 나카 나니모 미에나이 키미가 하나레테 유쿠 || || 빛의 속에서 그 무엇도 보이지 않고 네가 멀어져 가 || || {{{#ffffff 一度きりの 約束だけ残し}}} || || 이치도 키리노 야쿠소쿠다케 노코시 || || 한 번 만의 약속만을 남기고 || || || || {{{#ffffff ''繫いだ手が不意にほどけた''}}}|| || ''츠나이다 테가 후이니 호도케타''|| || ''잡고 있었던 손이 갑자기 풀려''|| || {{{#ffffff ''君が離れてゆく''}}}|| || ''키미가 하나레테 유쿠''|| || ''네가 멀어져 가''|| || [* 이 부분의 이텔릭체는 영상에만 존재하는가사] || [* 가사 일본어 출처 : KARENT 페이지의 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