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39호 ||<|2> ← || '''40호''' ||<|2> → || 41호 || || [[약사사 삼층석탑]] || '''약사사 석불입상''' || [[화산군#화산군 이연 신도비|화산군 이연 신도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호}}}]]''' || ||<-2> {{{#fff {{{+1 '''약사사 석불입상'''}}}[br]{{{-1 藥師寺 石佛立像}}}}}}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약사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금낭화로17길 261[br]([[개화동]] 332-1) || || '''{{{#fff 시대}}}''' || [[조선시대|조선 초기]]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 '''{{{#fff 수량 / 면적}}}''' || 석불 1軀, 토지 1.1㎡ || || '''{{{#fff 지정연도}}}''' || [[1980년]] [[6월 11일]]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약사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약사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사사석불.jpg|width=100%]]}}} || || {{{#fff ''' 약사사 석불입상[*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127&ccbaKdcd=21&ccbaAsno=0040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개화동]]에 있는 [[사찰]] 약사사의 [[불상]]. 대웅전 내부에 있다. 1980년 6월 11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받았다. 첫 등재 명칭은 '약사사 석불(藥師寺 石佛)'이었으며, 2009년 6월 4일에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 == 상세 == 머리에는 돌로 만든 갓 모양 구조물이 있다. 얼굴은 긴 타원형이며 눈, 코는 크고 귀는 길며 입은 작다. 목없이 얼굴과 상체가 딱 붙어있다. 표정은 은은한 미소를 띄우고 있다. 상체는 부피감 없이 돌에 윤곽만 낸 형태로, 추상적인 것이 특징이다. 어깨는 각이 졌으며 마치 움추린 듯한 모습이고, [[연꽃]]가지를 잡고 있는 두 손은 가슴에 붙였다. 옷주름은 몇 가닥 선으로만 묘사했다. [[불상]] 모양을 보고 [[관음보살]]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돌부처를 '[[미륵]]'으로 부르던 관습에 따라 미륵불로 보기도 한다.[*A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C%A1%B0%ED%8C%94%EA%B0%81%EC%8A%B9%ED%83%91|출처 - 위키백과: 《석조팔각승탑》 문서.]]] 상술했듯, 대웅전 내부에 있다. 원래는 약사전 옆에 있던 건물 내부에 있었는데 하반신이 땅속에 묻힌 채 있었다. 그러다 1974년에 건물을 철거하면서 드러났고 현재 대웅전 위치에 기단석을 새롭게 만들어 모셨다.[*A] [각주] [[분류:석조 불상]][[분류:입불상]][[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