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B(전반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B(후반기))] ||<-2>
[[파일:야탑고 로고.jpg|width=300]] || ||<-2> {{{#ffffff '''야탑고등학교 야구부'''}}}[br]{{{#fff '''(Yatap High School)'''}}} || || {{{#fff '''창단'''}}} || [[1997년]] || || {{{#fff '''소속 리그'''}}} || 경기권 || || {{{#fff '''감독'''}}} || 최경훈[* 1978년생으로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상고]]-[[고려대학교|고려대]]를 졸업한 [[투수]] 출신이며, 2001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지만 별다른 활약 없이 25경기 2승 2패 2홀드 평균자책 4.78 을 기록하고 2시즌 만에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 입대했다가 전역과 동시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LG 트윈스]] 등의 코치를 역임했다.] || || {{{#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1회 || || {{{#fff '''홈페이지'''}}} || [[http://www.yatap.hs.kr/doc.view?mcode=141010&cate=141010|야탑고등학교 야구부]] || ||<-2> [include(틀:지도, 장소=야탑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ff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1회(2011)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1회(2013) || 2회(2005, 2014)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1회(2004) || 2회(2007, 2011)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1회(2017) || - || 1회(2010)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1회(2013)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7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등학교]] || → || '''야탑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 [목차] [clearfix] == 연혁 == 성인고 시절에 1997년 창단되어 학교가 교명을 [[야탑고등학교|야탑고]]로 바꾼 2002년 이후에도 쭉 야구부를 유지하고 있다. 처음 이름을 날린 것은 2002년과 2003년 연속으로 봉황대기 8강에 진출하면서부터였다. 특히 2002년에는 선수단 13명[* 2002년 8월에 [[춘천고등학교 야구부|춘천고]] 감독으로 [[김호근]]이 부임하면서 선수들 상당수가 춘천고로 전학을 갔다.]만으로 봉황대기 8강까지 진출하는 작은 기적을 보여주면서 깊은 인상을 남겨준 바 있다. 당시 3학년으로 팀의 리더 역할을 했던 선수가 바로 [[오재원]].[* 전학으로 인해 3학년은 2명만 남았다. 유격수 오재원과 포수 이중훈. 이 둘은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와 [[동의대학교 야구부|동의대]]로 진학했다.] 8강전에서 공수겸장 유격수 [[김재호]]가 이끄는 [[중앙고등학교 야구부|서울 중앙고]]에 리드하다가 역전을 허용하며 결국 패했다.[[http://baseballdiary.tistory.com/758|오재원에 대한 추억]] 그리고 이 때 잠재된 능력은 2004년에 폭발했다. 창단 후 첫 결승전 진출이자 첫 우승의 기회를 잡은 광주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무등기]]에서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 [[곽정철]], [[여건욱]], [[나승현]], [[강정호]], [[김성현(1987)|김성현]] 등이 로스터에 있었다.]에 무릎을 꿇었으며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883|#]] , 바로 한 달 후 개최된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에서 에이스 [[윤석민(투수)|윤석민]]과 중심 타자인 [[오재일]]을 앞세워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우승 경험이 더 많던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정보고]]에게 패하면서 첫 우승의 기회를 날렸다.[* 투수진은 윤석민 뿐만 아니라 백자룡, 배우열, 김성준 등이 뒤를 받치고 있었다. 대회 최우수선수는 4번타자 겸 좌익수로 활약한 --대타자--[[김문호]]가 선정되었다.] 그 뒤로 꾸준히 우수한 선수들을 수급하면서 4강권에 자리를 위치하면서 정상을 노리는 팀이 되었다. 2010년 봉황대기 4강, 2011년에는 [[신유원]]과 [[강구성]], 미국으로 건너간 포수 김성민을 앞세워 정상을 노렸지만 다시 4강 1회와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고, 2013년 청룡기에서도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에게 5-18로 무너지면서 역시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2014년 시즌도 [[뉴욕 양키스]]와 계약한 [[박효준(야구선수)|박효준]]을 필두로 다시 정상에 도전했지만, 청룡기 4강 한 차례로 만족해야만 했다. 그래도 신도시 개발 이후 창단된 팀들 중에서는 가장 좋은 성과를 꾸준하게 내는 팀이다. 경기권 야구부중에서는 유신고와 더불어 가장 전국구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으며 경기도 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꾸준히 진학을 위해 테스트에 도전하고 있다고 한다.[* 야탑고등학교 자체가 초창기에는 분당에서 수준이 높은 학교가 아니었다. 야탑고등학교로 처음 교명을 바꿨던 해에 입학한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얼마 안 가 타 학교로 전학을 가 버리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었을 정도로 학교 이미지가 굉장히 시궁창이었었다. (어느 한 졸업생의 증언) 이런 학교에서 야탑고의 자존심인 야구부를 해체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하지만 지금은 명문대학교로 높은 진학률을 보이며 경쟁력 있는 학교로 탈바꿈했다. 사실 높은 명문대 진학률만으로 그 학교의 질을 판단하는 게 다소 무리이긴 하지만...~~그야말로 [[상전벽해]]~~] 2017년 주말리그 전반기에서는 [[신흥고등학교 야구부|신흥고]]에 밀려 황금사자기 티켓 획득에 실패했으며 후반기에서는 조 2위로 청룡기에 진출했으나 [[제주고등학교 야구부|제주고]]에 져 초반에 일찌감치 탈락했다. 전국체전을 제외한 정규 대회 마지막인 봉황대기에서는 8강전에서 대통령배 우승 팀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를 이겼고 준결승에서 전통 강호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에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 결승에서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에 2-1로 힘겹게 승리하며 창단 첫 전국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2021년 12월, 김성용 감독이 [[SSG 랜더스]]의 퓨처스 R&D센터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후임 감독으로 [[두산 베어스]] 출신 최경훈이 임명되었다. 중간에 [[LG 트윈스]]에서 일한 것 빼고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야구단]] 에서 무려 11년간 투수 코치를 맡으며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 이모저모 == * 2015년 9월 운동장이 무너져서 운동장 연습을 중단하기도 했다. 2016년 6월 완공되어 다시 훈련을 재개한 상태이다. * 2017년 3월 [[신민혁]] 선수가 고교야구 주말리그 유신고와의 경기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주말리그 노히트노런은 2014년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 [[김민우(1995)|김민우]]([[한화 이글스]])가 기록한 이후 3년만이라고. * [[김성용(1970)|김성용]] 감독은 1997년 11월 성인고(야탑고로 개명) 창단 감독부터 계속 한 팀에서 근무하여 팀을 이끌었고 마침내 2017년 봉황대기 우승으로 결실을 맺었다.[[http://www.thesports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327|관련기사]]. * [[SSG 랜더스]] 팬들에게는 애증의 야구부이다. 강력한 1차 지명 후보였던 [[박효준(야구선수)|박효준]]의 미국행이 그 시작이었다. [[이승진]]은 전신 SK 와이번스에서 가능성을 보이다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며 중계투수로 대활약 중이고, 이승진의 반대급부로 합류한 [[이흥련]]은 인천고 출신 로컬 포수 이재원과 함께 포수 자리를 맡고 있다. SSG로 바뀐 2021년부터는 [[오원석]]이 대체선발로 로테이션을 합류하면서 좌완투수 선발의 가능성을 보이다가, 선발 투수들의 부상으로 인한 팀 사정상 상위선발로 로테이션을 돌고 있다. 지명 당시부터 선발로 키우겠다는 언급을 했지만, 상황이 맞물려 자리를 잘 잡은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다른 1차지명 출신인 정동윤과 이원준은 이 팀의 전통처럼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이행하며 2군 담금질을 했거나 하고 있고, 이흥련과 함께 SK(SSG)로 온 김경호도 외야수로 나오다가 경쟁에서 밀리며 2021시즌 후 방출되었다. 신인드래프트에 뽑힌 길지석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 김하성이 2021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미국 진출에 성공하면서, 1년 후배 박효준과 함께 메이저리그 무대를 밟고 있다. 박효준은 마이너리그에 있다가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뉴욕 양키스에서 첫 예비엔트리 콜업을 받았으나 1번 밖에 기회를 받지 못했고, 이후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래도 이 학교 출신 유격수가 2명씩이나 MLB에 있다는 것도 큰 자부심이 될 것이다.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볼드체'''는 스탯티즈 통산 WAR이 2 이상인 선수.]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오재원]]'''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3년/신인드래프트|2003년 2차 9라운드]] ||경희대-[[두산 베어스|두산]](2007~2022) || || [[배우열]] || 투수 || 2009년 [[신고선수]] 입단 ||경희대-[[LG 트윈스|LG]](2009~2014)-[[kt wiz|KT]](2014~2019) || || '''[[오재일]]'''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3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9~2012)-[[두산 베어스|두산]](2012~2020)-[[삼성 라이온즈|삼성]](2021~) || || '''[[윤석민(투수)|윤석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05~2013)-[[볼티모어 오리올스|BAL]](2014)-[[KIA 타이거즈|KIA]](2015~2019) || || [[이흥련]]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2차 5라운드]] ||홍익대- [[삼성 라이온즈|삼성]](2013~2016)-[[두산 베어스|두산]](2017~2020)-[[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20~)|| || '''[[조용호(야구선수)|조용호]]''' || 외야수 || 2014년 [[신고선수]] 입단 ||단국대-[[고양 원더스]](2012)-[[SK 와이번스|SK]](2014~2018)-[[kt wiz|KT]](2019~) || || [[송창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3라운드]] ||제주국제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3)~~[* 지명은 롯데가 했으나 [[장성호]]와의 트레이드로 입단은 한화 이글스에서 했다.]-[[한화 이글스|한화]](2013~2020) || || [[조정원]]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5라운드]] ||건국대-[[한화 이글스|한화]](2013~2018) || || [[김민형(야구)|김민형]] || 투수 || 2015년 [[신고선수]] 입단 ||경희대(중퇴)-[[고양 원더스|고양]](2012~2014)-[[SK 와이번스|SK]](2015) || || [[강구성]]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NC 다이노스 특별지명]] ||[[NC 다이노스|NC]](2012~2018)-[[LG 트윈스|LG]](2019) || || [[김성민(1993)|김성민]] || 포수 || 2011년 아마추어 자유계약([[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br]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5라운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2012~2015)-[[성남 블루팬더스]](2018)-[[SK 와이번스|SK]](2019~2020) || || [[신유원]]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10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2012~2013) || || [[이지원(야구선수)|이지원]]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6라운드]] ||고려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7~2020) || || [[김경호(야구선수)|김경호]]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6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4~2020)-[[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20~2021)|| || [[김동우(1995)|김동우]]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4라운드]] ||연세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8~2023) || || [[김승준(야구선수)|김승준]] || 외야수[* 프로 입단 후 투수로 전향했다.] || 2022년 [[육성선수]] 입단 ||연세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 '''[[김하성]] '''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3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2014~2020)-[[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2021~) || || '''[[이승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7라운드]] ||[[SK 와이번스|SK]](2014~2020)-[[두산 베어스|두산]](2020~)|| ||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7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15~2020)-[[NC 다이노스|NC]](2020~2021)-[[두산 베어스|두산]](2021~) || || [[박효준(야구선수)|박효준]] || 내야수 || 2015년 아마추어 자유계약([[뉴욕 양키스|NYY]]) ||[[뉴욕 양키스|NYY]](2015~2021)-[[피츠버그 파이리츠|PIT]](2021~2022)-[[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2023) || || [[이훈(야구선수)|이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4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5~2019) || || [[전승현]] || 내야수 || 2016년 [[육성선수]] 입단 ||[[삼성 라이온즈|삼성]](2016) || || '''[[김태연(1997)|김태연]]''' || 내야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6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6~) || || [[정동윤(야구선수)|정동윤]]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1차지명]] ||[[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16~) || || [[최태성(야구선수)|최태성]] || 내야수[* 프로 진출 후 외야수로 전향했다.]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홍익대-[[kt wiz|KT]](2020~2021) || || [[이원준(야구선수)|이원준]]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1차 지명]]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17~2023) || || [[이중석(야구선수)|이중석]] || 외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건국대-[[KIA 타이거즈|KIA]](2023) || || [[최승주]] || 내야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8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17~2021) || || '''[[신민혁]]'''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5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8~) || || [[이승관]]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1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8~) || || [[김성진(2000)|김성진]] || 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7라운드]] ||[[LG 트윈스|LG]](2019~) || || [[길지석]]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7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20~2023) || || [[박명현]]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3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0~) || || [[박민]] || 내야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0~) || || [[안인산]]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3라운드]] ||[[NC 다이노스|NC]](2020~) || || '''[[오원석]]'''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1차 지명]]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20~) || || [[송승기]]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9라운드]] ||[[LG 트윈스|LG]](2021~) || || [[우강훈]]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5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1~) || || [[윤세훈]]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7라운드]] ||[[kt wiz|KT]](2021) || || [[이주형(2002)|이주형]] || 외야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4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1~) || || [[송정인]]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2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2~)|| || [[유제모]] || 외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1라운드]] ||동의과학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24~)|| || '''[[윤동희]]'''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3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이지훈(2003)|이지훈]]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4라운드]] ||[[LG 트윈스|LG]](2022~)|| || [[임준형(2003)|임준형]]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22)|| || [[박세직(야구선수)|박세직]] || 외야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6라운드]] ||[[SSG 랜더스|SSG]](2023~)|| || [[김도윤(야구선수)|김도윤]] || 내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0라운드]] ||[[LG 트윈스|LG]](2024~)|| == 사건·사고 ==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 집단괴롭힘 자살사건]]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266395|야구부 고교생 투신…자살동기 규명에 수사 집중]] 2020년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팀 집단 가혹행위 사건|최숙현 선수 자살 사건]]과 더불어 다시금 재조명되기도 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야탑고등학교 야구부 집단괴롭힘 자살사건)]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성남시 연고 구단]][[분류:1997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