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야쿠르트 제조사, rd1=야쿠르트 혼샤)]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구르트2.jpg|width=100%]]}}}|| || Yakult / ヤクルト || 1949년 1월 29일 설립된 [[야쿠르트 혼샤|일본 야쿠르트 주식회사]](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Yakult Honsha Co., Ltd.)[* 화장품도 만든다.]가 출시한 음료수. 개발자는 의학자 시로타 미노루(代田稔) 박사(1899~1982).[* 1930년 개발했으며 1935년 첫 출시했다.] 의미는 요구르트를 뜻하는 [[에스페란토]] 낱말 "야후르토( jahurto)"를 일본어식으로 변형한 것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1969년 우덕 윤덕병이 야쿠르트 혼샤와 합작하여 [[한국야쿠르트]]유업(현 [[hy]])을 설립하였고 1971년부터 기술제휴로 생산 중이다. 한국 야쿠르트의 야쿠르트는 발매 첫해인 1971년 하루 평균 2만 개 판매된 것을 시작으로 1990년대에 들어서는 하루에만 800만 병이 팔려 나가는 인기상품이 되어 국내 식·음료 단일 브랜드 사상 최다의 판매기록인 총 판매량 470억 병을 돌파했다. 전세계 38개국에서 일본 [[야쿠르트 혼샤]](Yakult Honsha Co., Ltd.)와 기술제휴로 생산 판매 중이다. [* 중국은 홍콩을 포함 7개 지역으로 분할되어 생산 판매중이다. 아르헨티나는 1997년부터 브라질 생산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였으며 아르헨티나 국내 생산도 고려중 이었으나, 아르헨티나 경제의 불투명성과 수입 규제로 2012년 12월 철수한다.] == 요구르트와의 차이 == 명칭이 비슷해서 많이 착각들 하지만 (특히 남양의 야쿠르트는 이름이 '남양 요구르트'다) 알고보면 '''[[요구르트]]와는 엄연히 다른 제품이다'''. 요구르트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우유]]를 [[발효]]시킨 식품이고, 야쿠르트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탈지분유]]에 [[설탕]]물을 타서 발효시킨 음료수다.[* 필수영양소, 미네랄, 물을 주고 종균을 접종하면 된다. 우유만으로 만들든 카제인에 설탕물을 섞든 유산균이 자라기는 똑같다. 갈아서 성분 분석을 하면 조금 다르긴 하겠지만.] 다만 성분표를 보면 알 수 있듯 야쿠르트에도 유산균이 많긴 하다. 당장 상기된 사진만 보더라도 건강의 상징 유산균이라는 글자가 적혀있다. [[hy]]에서 출시하는 야쿠르트 기본 제품을 보면 보통 200억 마리가 들어있다고 적혀있는데, 제품 따라 더 많은 경우도 있고 더 적은 경우도 있다. 식약처에서 권장하는 하루 유산균 양이 1~100억 마리인걸 보면 꽤나 많이 들어가있는 셈.[* 다만 [[유산균]]은 일정 수준은 더 먹어도 큰 부작용은 없다는 게 중론이다. 물론 과할 정도로 많이 섭취하는건 어떤 음식이든 권장되지 않지만. 또 몸에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엔 섭취를 일단 멈추는 것이 좋다.] 물론 유산균도 종류마다 효능이 제각각이라 무조건 총 숫자만 많다고 몸에 더 좋은 건 아니다.[* 실제 이런 이유 때문에 지금의 유산균 표시 기준을 총 유산균이 아닌 특정 유익균의 함유량을 (기업체의 일방적인 홍보가 아닌 제3기관에서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 후) 표시하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부터 나오고 있다.] 게다가 야쿠르트는 [[설탕]]이 많이 들어가 있으므로 당뇨병 같이 단 음식을 먹으면 안되는 질환에 걸린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요구르트와 야쿠르트는 유산균이 들어있는 것은 같지만 제조 방법이 완전히 다른, 별개의 음료이다. 야쿠르트는 요구르트보다는 [[사와#s-4|삼강사와]], [[쿨피스]]나 [[쿨피스|쥬시쿨]]과 더 유사하다. 쿨피스는 야쿠르트처럼 탈지분유로 만들고 유산균이 들어있지만 쿨피스를 요구르트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듯이, 야쿠르트도 요구르트가 아니다. 다만 '야쿠르트'는 야쿠르트사의 상표명이므로, 다른 제조사의 비슷한 음료 제품은 이 야쿠르트라는 명칭을 쓸 수 없다. 그런데 상식적으로 그렇다면 쿨피스처럼 다른 명칭을 고안해야 했지만 엉뚱하게도 유제품 제조사들은 이 음료수를 요구르트라는 이름으로 팔았다. 그래서 [[한국]]에선 요구르트는 야쿠르트 같은 제품군을 통칭하게 되었고, 진짜 요구르트는 야쿠르트에 밀려 [[요거트]]로 통칭되는 게 일반적이게 되어버렸다. 그래서인지 야쿠르트와 요구르트를 합쳐 {{{#008888 '''야'''}}}{{{#ff8800 '''구르트'''}}} 혹은 {{{#ff8800 '''요'''}}}{{{#008888 '''쿠르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래서 이 문서는 야구르트를 입력해도 들어올 수 있다. == 맛 == 야쿠르트를 마시면서 느낄 수 있는 특유의 맛은 한마디로 '''매우 달달한 [[설탕]]물 맛에 새콤하게 발효된 탈지분유 맛이 난다'''. 이런 맛의 원조는 [[칼피스]]라 할 수 있지만, 미묘하게 다른 맛이다. 점성이 꽤 있어서 손에 묻으면 끈적끈적거리는데, 덕분에 목 마를 때 마시면 꽤 갈증해소 효과가 있지만 칼피스와 달리 입안이 찝찝해진다. 참고로 컵에 야쿠르트 넣고 우유를 섞어먹으면 맛도 부드러워지고 양도 불어나서 야쿠르트 많이 먹고 싶을 때 해볼 만하다. 다만 [[우유]]가 야쿠르트보다 비싸다. 그 외에도 샤베트처럼 얼려먹어도 꽤 맛있다. 야쿠르트의 단맛이 조금 약해지는 느낌이 있긴 하지만, 얼리지 않은 것과 큰 차이는 없다. 다만 너무 꽝꽝 얼리면 냉동되면서 부피가 커져 윗뚜껑이 볼록해진다. 물론 콜라처럼 터지진 않지만 야쿠르트가 '''새어나오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너무 오랫동안 얼리진 말자. 새어나온 야쿠르트의 끈적함 탓에 아포칼립스(?)가 도래한다. [[인터넷]] 괴담으로 야쿠르트 30병을 연속으로 마시게 되면 구역질을 한다는 소리가 있다. 물론, 구역질 이전에 설사병으로 고생을 할 수 있으니 주의.[* 당분의 특성상 장벽으로 물이 나와 변을 묽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얼리는 과정에서 단 성분이 아래로 내려가고 위쪽은 얼음만 남아 아래쪽의 단맛을 느끼기 위해 일부러 아래쪽부터 먹는 기행(?)이 한동안 유행하기도 했었는데, 이런 소비자들의 피드백이 있었는지 상기한 '기행'을 방지하고[* 다만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 방심하지 말자.] 얼려먹는 맛을 극대화할 수 있는 '얼려먹고 거꾸로 먹는 야쿠르트'라는 상품이 나오게 되었다.[* 파 먹기 위해선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지만 더 쉽게 파려면 포크를 써도 된다.] [[파일:야쿠르트_거꾸로.jpg|width=30%]] == 규격 == 기본형 제품의 경우 65ml라는 매우 미묘한 정량을 가지고 있는데, 예전에는 '''[[우유]]'''마냥 200밀리리터 즉, 양빨로 몰아 붙이던 시절도 있었다고 한다. 헌데, 양빨로 밀어붙이는 것은 좋았지만, 엄청난 단맛으로 인하여 다 마시지 못했기 때문에 버리는 게 다반사였다.[* 다방이 성업중이었던 70~80년대엔 업소용 1L를 생산하기도 했었다. 지금은 없어진 해태유업에서는 2000년대말까지 대형 마트에 용량 1L 제품 '새코미'를 납품하였다. 2015년경부터 PB상품을 시작으로 업체마다 다시 1L 수준의 대용량이 다시 부활하는 추세다.] 다만 대만에서는 기본 200미리 이상에 1리터짜리 페트병 사이즈로도 판매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파는 야쿠르트보다 덜 끈적거리고 뒷맛이 깔끔해서 많은 양을 마실 수 있다. 사과맛 등 한국보다 바리에이션이 넓은 것도 특징. 기회가 되면 마셔봄직하다. 가격도 굉장히 저렴하고 편의점이나 슈퍼에서 흔하게 살 수 있다. 일본에서도 500미리 종이팩에 담긴 100엔 짜리 야쿠르트를 쉽게 볼 수 있다. 이전까지는 한국 지사에서 소형 용기를 개발해서 대박을 쳤다는 일화가 위키에 기재되어 있었는데, 정작 한국 야쿠르트 본사 홈페이지에서는 관련 이야기를 찾아볼 수 없고, 일본 원조 야쿠르트 쪽에서 종래에 초소형 유리병을 사용하다가 1968년 혁신하면서 생산라인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끼워지도록 디자이너 켄모치 이사무(剣持 勇)에 의해 오목한 허리가 추가된 현재의 값싸고 안전한 폴리스티렌 용기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아예 2010년대 들어선 [[편의점]], [[대형마트]] 구분할 것 없이 300ml 전후의 대용량 야쿠르트도 다시 나오고 있는 추세다. 일본에서 개발된 초기에는 정해진 용기가 없이 소매점에서 유리병에 담아 팔았기 때문에 용량도 가격도 제각각이었다고 한다. 그 후 야쿠르트 본사에서 규격화된 유리병에 담아 야쿠르트 아줌마를 통해 팔았는데 유리병의 경우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먹고 난 이후에 회수했는데 이 병을 회수하는 것 자체가 고된 일이어서 그 후 먹고 버릴 수 있도록 플라스틱으로 된 지금과 같은 형태의 병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중간에 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마실 때 한 번에 음료가 다 들어오는 게 아니라 중간에 홈에 걸려서 남게 됨으로써 적은 양이지만 많이 마신 듯한 느낌이 들게 하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 [[http://www.tv-asahi.co.jp/shirushiru/contents/bk/0032/|출처: TV아사히의 정보예능방송 시루시루미시루]]. [[파일:야쿠르트 대용량.jpg]] 일부 [[편의점]]에선 PB상품으로 웬만한 요구르트 4배 정도 용량의 제품도 나오고 있는데, 편의점 따라 종류가 달라서 맛도 다르므로 자기 취향대로 마시자. 자이언트 7은 좀 시큼한 편이고, 반대로 동원 빅은 꽤 달다. 다만 가격 대비 용량을 따져보면 그냥 '''작은 제품 여러개를 사는 게 더 싼 것'''이 아이러니. [[http://www.homeplus.co.kr/app.product.GoodDetail.ghs?comm=usr.detail&good_id=126319475|#]] [[홈플러스]]에서는 '''750mL에 1500원''' 하는 대용량 버전도 있다.(...) 크기는 큰데 병의 형태는 작은 것과 같은 것이 압권. 대용량이라 그런지 단맛이 좀 덜한 편. == 여담 == * 야쿠르트 관련해 제품들을 배달하는 [[프레시 매니저]]가 통칭 '야쿠르트 아줌마'로 유명하다. * [[고려대학교]]에서 [[막걸리]] [[사발식]]을 할 때 술 못 마시는 사람은 야쿠르트나 [[아침햇살]] 사발식을 시킨다고 한다. * 감옥에서는 햇볕이 드는 봉창에 이틀 정도 놔두면 발효되어 [[막걸리]]가 된다는 전설이 있다. 면회 방문할때 반입금지 품목이기도 하다. * 간혹 상점 같은데 가면 야쿠르트 관련 노래가 흘러나오기도 한다. '야쿠르트 아줌마 야쿠르트 주세요 야쿠르트 없으면 요--구--쿠르트 주세요'가 대략적인 가사. * 가끔 야쿠르트 여러 개 먹기라는 대회&내기가 열리기도 한다. 하지만 생각보다 어렵다. 너무 달아서 5개 넘어가고 10개쯤 되면 거북하고 구토가 나올 지경이다. [[크리스피 도넛]]을 앉은 자리에서 한 더즌을 먹어치울 수 있을 정도로 단맛에 내성이 있다고 해도, 이때부터는 용량이 문제가 된다. 야쿠르트 한 병의 용량이 65ml인데, 이거 15개만 되어도 975ml이다. 성인의 평상시 위 용량보다 더 많은 용량이며 천조국의 기상을 보여주는 미국 스타벅스의 트렌타(30온스/916ml)보다 더 많은 양이다. 보통 내기의 개수는 20개 혹은 그 이상인데, 저걸 한 번에 마시면 토한다. 안 토하면 건강, 아니 생명에 무리가 오는 수준.[* 사실 이건 당연한 게, 야쿠르트는 액체를 떠나서 유산균이다. 당연히 토할 수밖에...] 물론 한 번에 [[철구(인터넷 방송인)|100개를 연속으로 마시는 괴인]][* 중간중간 뿜어가면서 뱃속에 넣었다 뺀 것. 야쿠르트 100개면 6.5리터 정도 되는데, 일반적인 변기탱크 용량(6L)보다도 500ml 많은 것이다. 성인 남자라고 해도 소화해낼 수 있는 액체의 양이 아니다.]도 존재하긴 한다. 일본에선 2ch의 vip판에서 100개 마시기 도전스레도 나름 유명했었다고 물론 이쪽도 중간중간 토해가며 마신 거지만... * 한국에서 야쿠르트와 그 유사품들 중에 희한하게 남양 요구르트와 지금은 없어진 영남 요구르트는 느낌이 약간 차이가 난다. 맛이 더 진하고 새콤함은 비교적 적다. [각주] [[분류:야쿠르트 그룹]][[분류:유제품]][[분류: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