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234, #002664 20%, #002664 80%, #000234)" '''{{{#fecb00 {{{+1 야야 딜로 제루}}}[br]Yaya Dillo Djérou}}}'''}}}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2> '''출생''' ||[[1974년]] [[12월 18일]] || ||[[차드]] || ||<|2> '''사망''' ||[[2024년]] [[2월 28일]] (향년 49세) || ||[[차드]] [[은자메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차드)] || || '''종교''' ||[[이슬람]] || || '''학력''' ||[[오타와 대학교]] || ||<|4> '''경력''' ||에너지부 장관 || ||[[2008년]] 9월 ~ [[2009년]] 3월 || ||국경없는사회당 대표 || ||[[2021년]] [[8월 6일]] ~ [[2024년]] [[2월 2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차드]]의 정치인. == 생애 == [[2005년]], 당시 [[이드리스 데비]] 차드 대통령 시절 여당이었던 애국구원운동을 탈퇴하고 변화, 통합, 민주주의 플랫폼이라는 단체를 설립해 수장이 되어 탈영병들과 함께 반정부 활동을 시작한다. 이들은 데비 대통령과 그의 민족인 자가와족들의 [[제노사이드]]를 목표로 했으며 차드 정부에게 [[정치범]] 석방을 요구했다. 이후, 그는 반정부 활동을 멈추며 데비 대통령의 광산에너지부의 장관이 되어 2008년 9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약 6개월관 장관으로 지냈다. [[2020년]], 영부인인 힌다 데비를 보건부와 교육부의 특정 인물들에게 특혜를 준담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결국 명예훼손죄로 고소를 당한다. [[2021년]] [[2월 27일]], [[차드군]]이 딜로의 집을 급습해 딜로의 어머니와 아들을 살해했다. 또한, 딜로의 친척들 5명이 부상을 입었다. 차드군은 딜로의 체포를 위한 급습이었다고 해명했다. 이후, 야당 대표들인 살레 케브자보, 마하마트 요스코 브라힘, 은갈레지 요롱가르가 군사주의적인 방식으로 불투명한 투표에 반대하며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했다. [[2021년]] [[4월 11일]], 국경없는사회당 대표로 2021년 차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24년]] [[2월 28일]], 은자메나에 위치한 국경없는사회당 당사에 차드군이 급습했고 야야 딜로는 사망한다. [[분류:1974년 출생]][[분류:2024년 사망]][[분류:차드의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