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 힐랄 S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006000 '''야세르 알샤흐라니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AFC 챔피언스 리그|[[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2559e; font-size: 0.9em" [[AFC 챔피언스 리그|{{{#ffffff '''ACL 베스트팀'''}}}]]}}} ||<-3>[[틀:AFC 챔피언스 리그 2015 베스트팀|2015]] · [[틀:AFC 챔피언스 리그 2017 베스트팀|2017]]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0_d76f873381.png|width=100%]]}}} || ||<-2> '''알 힐랄 SFC No. 12''' || ||<-2> '''{{{#0028F0 {{{+1 야세르 알샤흐라니}}}[br]ياسر الشهراني | Yasser Al-Shahrani}}}''' || || '''본명''' ||{{{-1 야세르 가르산 사이드 알모함마디 알샤흐라니}}} [br] ياسر غرسان سعيد المحمدي الشهراني [br] {{{-2 Yasser Gharsan Saeed Al-Mohammadi Al-Shahrani}}} || ||<|2> '''출생''' ||[[1992년]] [[5월 25일]] ([age(1992-05-25)]세) ||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 '''신체 조건''' ||[[키(신체)|키]] 170cm / [[체중]] 63kg || || '''포지션''' ||[[레프트백]] || || '''주발''' ||오른발 || || '''소속팀''' ||[[알 카디시야 FC]] (2008~2012) [br] '''[[알 힐랄 SFC]] (2012~ )''' || || '''국가대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0]]]] 73경기 2골[* 2022년 11월 22일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2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의 축구선수. 빠른 발과 막강한 공격력 덕에 자국에선 '사우디의 [[마르셀루]]'로 불린다. == 클럽 경력 == [[알 카디시야 FC]]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후, [[2012년]] [[알 힐랄 SFC]]로 이적한 뒤 10년 가까이 자국 리그에서 정상급 레르트백으로 군림하고 있다. [[AFC 챔피언스 리그/2021년/결승|2021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인 포항과의 경기에서 후반 [[바페팀비 고미스]]와 교체되어 실점없이 막아내며 팀의 통산 3번째 우승에 보탰다. == 국가대표 경력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수비수로 출전하였고, 팀은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지만 나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C조/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2022 카타르 월드컵 아르헨티나전]]에서 선발 출전했다. 앙헬 디 마리아를 잘 막아내는 등 수비진을 이끌며 좋은 경기력을 보였다. 그러나 후반 추가시간, 동료 골키퍼인 [[모하메드 알오와이스]]의 무릎에 얼굴을 직격당하면서 뒤통수로 피치에 떨어졌다. 리플레이를 보여주는 것 자체가 방송사고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심하게 부딪혔지만 다행히 실려나가면서 의식을 되찾고 따봉까지 하는 모습을 보여 축구팬들을 안도하게 했다. 이 와중에도 빈치치 주심은 경기를 강행해서 비판을 받았다. 아랍에미리트 일간지 걸프 투데이는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빈 살만]] 왕세자가 (샤흐라니의 응급 수술을 위해) 독일로 향하는 개인 제트기를 준비시켰다"고 보도했다. [[https://naver.me/GOQ1bgB7|#]] 검진 결과 턱과 왼쪽 얼굴 골절 및 치아 손상에 내출혈 증세[* 들것에 실려가던 당시에도 이미 그전에 응급처치로 비강과 구강에 상당량의 거즈를 가득 쑤셔넣어 지혈했다는 사실을 볼 수 있었다. 출혈이 심할 때가 아니면 그런 처치는 호흡만 방해하므로 오히려 나쁠 수 있는데도 의료진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한 것은, 출혈 수준이 일반적인 부상보다 훨씬 심각했기에 덜 지혈하는게 오히려 출혈된 혈액으로 인해 호흡이 방해될 수 있고 거즈를 많이 넣어 최대한 얼굴근육을 못 움직이게 하는게 뇌에도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들것에 실려가기 전까지 다른 부상선수들보다 누워있던 시간이 두세배 이상 길었던 것도 응급처치를 여러 부위에 해서 시간이 소모됐기 때문이다. ]까지 보였다고 한다. 결국, 더 이상 카타르 월드컵에는 뛸 수 없게 되었다. 팀의 수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던 선수라 그의 공백을 우려하는 여론이 많았는데, 이 때문인지 사우디는 남은 두 경기 모두 괜찮은 게임을 했지만 이 공백 때문에 아쉽게 탈락하고 말았다[* 두 경기중 무승부 1번만 했으면 16강에 갈 수 있는 상황이였다.] == 플레이 스타일 == 공격적인 성향이 강한 오른발잡이 역발 레프트백으로, 폭발적인 오버래핑과 날카로운 킥력으로 좌측면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선수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2년 출생]][[분류:담맘 출신 인물]][[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알 카디시야 FC/은퇴, 이적]][[분류:알 힐랄 SFC/현역]][[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5 AFC 아시안컵 호주 참가 선수]][[분류: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축구 와일드카드]][[분류:2011 FIFA U-20 월드컵 콜롬비아 참가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무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