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시리즈/기술)]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yamatogun-color_테.png|width=76]]}}}||'''야마토 포''' ,,Yamato Cannon,, ({{{#fff Y}}})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terran=, t=2)] / 재사용 대기시간: 71  /  융합로 / ({{{#fff R}}})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terran=, m=150, g=150, t=100)][* 융합로에서 연구명은 '야마토 포 연구'가 아닌 '무기 재장비 연구'다.] 강력한 플라스마 포로 대상을 공격하여 240의 피해를 줍니다. || > ''"완충된 포는 작은 핵폭발과 비견될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 > ― 이거 하나는 정말 인정해줘야지.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나]]도 뻥뻥 터지는 게 좋아. (Credit where it's due. I love me some big booms.) > - [[야전교범(스타크래프트 2)|야전교범]]의 [[전투순양함]] 항목. {{{+1 Yamato Cannon}}} 일정 에너지와 시간을 모아 [[에너지파]] 식으로 쏘는 [[전투순양함]]의 특수 스킬이다. 공통적으로 단일 대상이며, 스타 1에서는 260의 절대 명중을 가진 폭발형 피해를 주는 기술이고[* AI는 현재 체력이 200~450인 적을 상대로만 야마토포를 사용한다.], 스타 2에서는 장갑 무관 240의 피해를 준다. 바로 사용할 수는 없고 [[물리 연구실]](스타 1), [[융합로]](스타 2)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한다. 명칭을 대놓고 일본어를 사용하였는데, 초창기에는 '[[야마토]]'라는 단어가 생소해서 [[초딩]]들은 '야마톤포'니 '야마톰포'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았다. --[[신음|야메떼]] 포 라고도 하는경우가 있다.-- 게임 서적 중에서도 '[[야마모토]]포'로 잘못 적은 것이 있다. 전투순양함의 결전병기인 포의 이름을 이렇게 정한 것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스타크래프트의 [[일본]] 시장을 노리기 위해서 이렇게 지었다는 썰이 있으나[* 야마토의 어원부터 일본의 이전 국호인 [ruby(大和, ruby=やまと)]에서 왔다.][* 그래서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은 [[일본어]] 더빙은 발매됐지만 [[한국어]] 더빙은 없다. 그런데 스타크래프트가 대박친 곳은 일본이 아니라 [[대한민국]]이었다. 심지어 일본에서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워]]조차 정발하지 않을 정도로 부진했다.], 그보다는 일본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우주전함 야마토]]의 [[오마주]]였다는 설이 더 타당하다. 실제로 블리자드의 개발진 중엔 [[샘와이즈 디디에]] 같은 [[와패니즈]] [[양덕후]]가 다수 있었고[* 디디에는 [[사무로]]라는 일본식 이름을 따로 지었을 정도고, [[워크래프트 3]]에서도 농담 대사긴 하지만 유닛 대사 중 일본어 대사([ruby(山葵, ruby=わさび)]!)가 하나 있다.], 게임 속 야마토포의 연출 및 모티브는 애니메이션 속의 [[야마토(우주전함 야마토)|동명의 전함]]이 쓰는 [[파동포]]와 닮았다. 그래서인지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용어 중 유일하게 존재하는 [[일본어]]이다. 스타 1에서는 에너지 150을 소모하기 때문에 최대 에너지 업그레이드를 해도 한 대가 짧은 시간 동안 2방 이상을 연속으로 발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스타 2에서는 에너지 소모가 없는 대신 쿨타임이 있다.[* 스타 2 초기에는 스타 1과 동일하게 에너지를 소모하는 기술이었으나, [[고위 기사]]가 와서 야마토 쓰려는데 [[환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환류]]로 끊어먹는 일이 비일비재해서 이후 [[전술 차원 도약]]과 함께 쿨타임 기술로 변경했고, 종국에는 환류의 딜량까지 반토막났다.] 길고 긴 [[테테전]]을 끝낼 수 있는 궁극의 무기. 보통 이걸로 시즈모드된 [[공성 전차|탱크]]나 [[미사일 포탑]], [[골리앗(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골리앗]] 등을 하나하나 짜르면서 자원적으로 이득을 본다. 참고로 야마토 포 기술은 절대 명중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이 효과는 언덕이나 장애물, 그리고 다크스웜의 효과를 무시하고 무조건 피해를 주는 것이다. 아마도 막대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술이 겨우 지형지물이나 스웜에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효과는 EUD같은 특수 에디터로 야마토 포를 뜯어보면 확인할 수가 있다. 이와 비슷하게 핵 미사일 또한 전용 효과가 달려있어 체력에 비례하는 피해를 주는 것이다. [[파일:질럿은 야마토 한방에 안죽어.gif]] 스타 1의 대미지 셈법이 잘 드러나는 기술로, 풀피 [[광전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광전사]]를 [[질럿은 야마토 한방에 안죽어|한 방에 잡지 못한다.]][* 스타 2에서는 질럿을 한 방에 잡을 수 있다. 스타2로 스타1 캠페인을 리메이크한 매스 리콜에서도 한 방에 잡힌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Stetmato Cannon.png|width=76]]}}}||'''이곤마토 포''' ,,Stetmato cannon,, ({{{#fff Y}}})[anchor(이곤마토 포)]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width=24]] 100 / [[파일:SC2_Coop_Abathur_time_zerg.png|width=24]] 1.5  /  메카 거대 둥지탑 / ({{{#fff E}}})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100, g=100, t=90)] 강력한 플라스마 포로 대상을 공격하여 300의 피해를 주고 과대망상을 일으킵니다.|| [[이곤 스텟먼/협동전 임무|협동전 스텟먼]]은 아마토 포를 모방한 이곤마토 포가 있다. '야마토'에 [[이곤 스텟먼]]의 이름을 끼워넣은 것. 쓰는 유닛도 [[무리 군주]]에 전투순양함과 [[우주모함]]의 기능을 합친 '메카 전투모함 군주'이다. 원본 야마토 포보다 더 세고, 아군을 강제 공격하는 상태이상까지 건다. 다만 상태 이상 효과는 웬만한 유닛들은 이곤마토 포 한 방에 죽고 영웅급 유닛들에게는 면역이기 때문에 전투순양함, 토르, 우주모함같은 유닛들이 아닌 이상, 없는 것에 가깝다. 이밖에도 아몬의 전투순양함은 체력+보호막 합이 225 이상인 적에게 야마토 포를 쓰기 때문에 싼값에 체력이 많은 유닛을 투입해 야마토 포를 빼고 고급유닛을 보호하는 전술을 쓰기도 한다. 여담으로, 야마토 포의 설정 상 작동 방식은 핵폭탄이 터지는 것과 비슷한 위력의 폭발(스타 1 당시 1매뉴얼에는 소형핵폭탄을 터트려서 그 에너지를 쓰는방식이었다)을 플라즈마로 통제해서 하나의 불덩어리 또는 광선 모양으로 모은 뒤, 그걸 발사하는 구조라고 한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현실에서 [[오리온 프로젝트]]라는 걸 구상할 때부터 나온 것이기도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야마토(동음이의어), version=43, paragraph=4.1)] [[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기술]][[분류:테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