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야마가타현 제1구}}}}}}'''[br]{{{-1 {{{#ffffff 山形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Yamagata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02,702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야마가타현]]|| ||<-2><:>'''하위 행정구역'''||<-2><:>{{{#!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br][[히가시무라야마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엔도 도시아키]]|| [목차] [clearfix] == 개요 == [[야마가타현]]의 남동부 지역인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엔도 도시아키]]. == 상세 == 자민당의 [[엔도 도시아키]]와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의 카노 미치히코가 경합을 벌였던 지역구다. 재미있는 점은 카노 미치히코는 자민당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이후 탈당해 민주당 의원이 되었고, 엔도 도시아키는 무소속으로 첫 당선되어 [[일본신당]]을 거쳐 나중에 자민당 의원이 되었다. 둘 다 각료을 역임했고[* 카노는 농림수산대신, 총무청 장관[* 현재는 자치대신, 우정대신과 합쳐져 [[총무성#s-3|총무대신]]으로 재편되었다.]을, 엔도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경기대회 담당 국무대신을 역임했다.], 카노 미치히코는 두 번이나 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로는 3승 3패 무소속이라는 최종 전적을 남긴 채 더이상의 라이벌 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엔도 도시아키가 압승하고 있다. 카노는 2013년 제23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낙선한 이후로 정계를 은퇴했다. 카노 미치히코는 2021년 10월 21일에 7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야마가타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카노 미치히코]]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엔도 도시아키]]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카노 미치히코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엔도 도시아키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81,047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48.31%'''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60,74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6.21%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야마자키 신고 || 15,002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8.9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다쓰오 || 10,95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5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7,752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카노 vs 엔도 1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가이후 도시키|제1차 가이후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미야자와 기이치|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총무청 장관을 지냈으나, 이후 정치개혁을 내걸고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신당 미래, 자유개혁연합을 거쳐 [[신진당]] 창당에 합류한다. 엔도 도시아키 의원은 [[일본신당]] 추천을 받아 무소속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다른 일본신당 의원처럼 신진당에 합류하지 않고 자민당에 입당, 같은 야마가타현 유력 정치인인 [[가토 고이치]]의 최측근이 된다. 아무래도 카노 의원의 정치적 중량감이 높기에 손쉽게 당선된다. 엔도 의원은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90,34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2.03%'''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70,29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4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아키코 || 12,99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3,635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카노 vs 엔도 2차전''' - 이번에도 카노 의원이 큰 차이로 승리했다. 엔도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 부활도 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00,76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9.8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81,58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0.39% || 비례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사이토 쇼스케 || 12,266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6.0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쇼 || 7,35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6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1,966표 ||<|2> '''투표율'''[br]67.20% || || 선거인 수 || || '''카노 vs 엔도 3차전''' - 카노 의원은 민주당 부대표를 지내던 도중, 비서가 이권에 개입하고 뇌물을 받는 바람에 [[2002년]] [[2월 6일]] 민주당을 탈당했다. 카노 의원의 친족이 경영하는 기업의 사원들이 의원실의 비서로 등록되어 부당하게 급여를 수령받았다는 의혹도 있었다.[* 이에 관련된 내용은 [[일본어 위키백과]]의 [[https://ja.wikipedia.org/wiki/%E6%A5%AD%E9%9A%9B%E7%A0%94%E4%BA%8B%E4%BB%B6|업제연 사건(業際研事件)]] 문서를 참조할 것.] 약 1년 6개월 동안 무소속으로 있다가 총선 직전 [[오카다 가쓰야]] 간사장의 복당 요청을 받고 [[2003년]] [[9월 23일]]에 민주당에 복당하나, 이미지가 나빠져서 거꾸로 자민당 엔도 전 의원에게 10% 가까운 격차로 패배한다. 그래도 민주당이 이 선거에서 상당한 선전을 하면서 석패율제 구제를 받아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25,77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6.3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86,75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8.8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쇼 || 10,53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065표 ||<|2> '''투표율'''[br]73.81% || || 선거인 수 || 305,878인 || '''카노 vs 엔도 4차전''' -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한 총선이라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엔도 의원이 압승했고, 카노 의원은 이번에는 비례대표로도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한다.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106,20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23%'''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04,91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67% || 비례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이토 카오리 || 11,419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9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마사유키 || 6,02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6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모리 다이고로 || 1,149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5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9,702표 ||<|2> '''투표율'''[br]75.71% || || 선거인 수 || 306,052인 || '''카노 vs 엔도 5차전''' -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압승하는 덕분에 이번에는 카노 미치히코 후보가 당선된다. 4년만의 중의원 복귀이다. 다만 민주당이 압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구에서 1%도 안되는 격차로 승리하는 바람에, 확실히 예전보다 정치적으로 많이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엔도 의원도 선거구에서는 근소하게 밀렸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생환한다.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02,16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4.6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카노 미치히코]] || 70,41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7.6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쇼 || 14,44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7,027표 ||<|2> '''투표율'''[br]63.02% || || 선거인 수 || 305,571인 || '''카노 vs 엔도 6차전''' - 카노 미치히코 의원은 4년만에 중의원에 복귀해서 [[간 제1차 개조내각]]부터 [[노다 제1차 개조내각]]까지 농림수산대신을 꽤 오래 지내는등 다시 주목받으나, 민주당과 [[노다 제3차 개조내각]]에 대한 낮은 지지를 극복하지 못하고 다시 낙선한다. 이후 카노 미치히코는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낙선하자 정계를 은퇴한다. 따라서 카노와 엔도의 대결은 이번 선거가 마지막이었다.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98,50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1.1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라다 마사히로 || 46,02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8.5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쇼 || 16,57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1,114표 ||<|2> '''투표율'''[br]54.21% || || 선거인 수 || 304,983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04,22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7.27%'''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아라이 간 || 62,407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4.2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시카와 쇼 || 15,35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4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1,988표 ||<|2> '''투표율'''[br]59.80% || || 선거인 수 || 309,496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가타현 제1구}}}}}}'''[br]{{{#fff 야마가타시, 카미노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무라야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엔도 도시아키''' || '''110,68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9.97%'''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5]]]] || 하라다 마사히로 || 73,872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0.0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4,560표 ||<|2> '''투표율'''[br]61.59% || || 선거인 수 || 303,982인 || 현역 자민당 [[엔도 도시아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하라다 마사히로 야마가타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에서도 지난 총선에 출마한 이시카와 쇼 후보를 공천했으나, 9월 19일 이를 철회하고 각 야당의 지방조직이 입헌의 하라다 후보를 통일후보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엔도 후보와 입헌민주당 하라다 후보의 1대1 대결이 이뤄졌다. 카노 미치히코 전 농림수산대신의 정계 은퇴이후 자민당 초강세지역이 되었는데, 야당이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지난 참의원 선거]]에서 야마가타현의 현역 자민당 의원을 꺾은 기세를 몰아 이 지역구를 다시 경합지역으로 만들지 주목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엔도 후보가 20% 차이로 비교적 여유있는 승리를 거두었다. 비록 다선 의원에 대한 심판 열풍이 있었지만, 엔도는 [[기시다 후미오]]의 최측근으로 분류되고 최근에 당 4역 중 하나인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되었기에 심판 열풍을 어느정도 피해갔다. 물론 [[아마리 아키라]] 간사장처럼 지역구에서 패한 거물도 있지만, 엔도는 딱히 물의를 일으킨 것이 없기에 큰 표차로 지역구를 수성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자민당에서는 엔도 도시아키 의원의 10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하라다 마사히로 전 현의회 의원이 현역 지부장이며, 차기 총선에 재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야마가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