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야나기사와 아쓰시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J1리그|[[파일:J1리그 엠블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9em" [[J1리그|{{{#fff '''J1리그 베스트 11'''}}}]]}}} ||<-3>[[틀:1998 J1리그 베스트 XI|1998]] · [[틀:2001 J1리그 베스트 XI|2001]] · [[틀:2008 J1리그 베스트 XI|2008]]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일본의 前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anagisawa.jpg|width=100%]]}}} || ||<-2> {{{#000000 '''이름'''}}} || '''{{{+1 야나기사와 아쓰시[* 아츠시라고도 한다.]}}} [br] 柳沢 敦 / Atsushi Yanagisawa''' || ||<-2> {{{#000000 '''출생'''}}} ||[[1977년]] [[5월 27일]] ([age(1977-05-27)]세) /[br][[일본]] [[도야마]] 현 [[이미즈]] 시 || ||<-2> {{{#000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 {{{#000000 '''신체'''}}} ||[[키(신체)|키]] 178cm || ||<-2> {{{#000000 '''포지션'''}}} ||[[스트라이커(축구)|스트라이커]] || ||<-2> {{{#000000 '''프로 입단'''}}} ||1996년 [[가시마 앤틀러스]] || ||<|2> {{{#000000 '''소속''' }}} || {{{#000000 '''선수''' }}} ||[[가시마 앤틀러스]] (1996~2003) [br] [[UC 삼프도리아]] (2003~2004) [br] [[ACR 메시나|FC 메시나]] (2004~2006) [br] [[가시마 앤틀러스]] (2006~2007) [br] [[교토 상가 FC]] (2008~2010) [br] [[베갈타 센다이]] (2011~2014) || || {{{#000000 '''지도자'''}}} ||[[가시마 앤틀러스]] (2015~2018 / ^^코치^^) || ||<-2> {{{#000000 '''국가대표'''}}} ||58경기 17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998~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前 [[축구]] 선수. [[J리그]] 베갈타 센다이 등 여러 클럽에서 스트라이커로 뛰었다. 배번으로 '13번'을 고수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프로 데뷔 이후 등번호로 13번을 달지 못한 경우는 메시나에 임대되었던 시즌(20번), 베갈타 센다이 이적 첫 시즌(30번), 1997년 FIFA 청소년 월드컵(10번) 뿐이다.] [[미즈노(브랜드)|미즈노]]의 스폰서를 받고 있어 경기할 때는 미즈노에서 제작한 축구화를 신는다. 배우자는 [[모델]]이자 [[가수]]인 오바타 유카리(小畑由香里)이다. == 선수 경력 == 1996년에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데뷔했으며, 1997년 리그에서 25경기에 출전해 8골을 넣어 'J리그 올해의 유망주'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1997년 FIFA 청소년 월드컵 당시 일본 국가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1998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였다. 이후 [[2000 시드니 올림픽]][*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 당시 일본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으며, 2000년 [[AFC 아시안컵]][* 마지막 12개국 본선 진출 아시안컵 대회]에 출전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득점하기도 했다. 2001년에는 리그에서 26경기에 출전해 12골을 넣어 소속팀의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으며, 국가대표팀에서도 5골을 넣어 '일본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파일:Screenshot_20221216-043554_Gallery.jpg]] 특히, 러시아전에서 [[야나기사와 아츠시]]의 패스가 간 시점에 이나모토의 왼발이 러시아 최종 수비수보다 앞에 있었다. 당시에는 공을 안받더라도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으면 오프사이드였고 2005년부터 공을 직접 받는 선수만 오프사이드로 개정되었으며, '''[[https://m.youtube.com/watch?v=ebzXz-dHlos|다른 일본 선수가 명백히 오프사이드에 있었으나, 오프사이드 선언을 안했다.]]''' 그래서 러시아에서는 폭동이 일어났다.] 국가대표팀 대표로 16강 진출을 하였으며[* 2002월드컵 일본 16강 9위], 2003년까지 J리그에서 총 178경기에서 71골을 넣으며 리그를 대표 공격수로 자리매김했다. 2003년 [[이탈리아]] [[세리에 A]]의 [[UC 삼프도리아]]가 200만 [[유로]]에 야나기사와를 영입하기로 합의해 일본 선수로서는 다섯 번째로 이탈리아 무대에 진출했으며, 시즌이 끝난 이후 삼프도리아를 떠나 [[ACR 메시나]]로 팀을 옮겨 이탈리아 생활을 지속했다. 하지만 적응 실패로 출장 기회조차 제대로 잡지 못하며 1시즌 반만에 자신의 친정팀인 가시마 앤틀러스로 복귀해 무득점으로 이탈리아 생활을 마감했다. 가시마 앤틀러스로 복귀한 뒤 가진 첫 경기인 2006년 J리그 개막전에서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해 '''유럽에서 세 시즌 동안 한 골도 뽑아내지 못한 선수가 복귀하자마자 해트트릭을 터뜨렸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FIFA 월드컵]] 직전에는 [[발가락]]에 [[골절]]상을 입어 월드컵에 나오지 못할 뻔 했으나, 다행히 회복해서 --전설로 남을-- 본선 무대를 밟았다. 이후 2008년부터 교토 퍼플 상가로 이적했으며, 2011년 베갈타 센다이로 다시 팀을 옮겨 뛰다 2014년 이후 은퇴했다. == 은퇴 이후 == [[2015년]]에 [[가시마 앤틀러스]] 코치가 되었다. 그러나 [[2018년]] [[4월 6일]] [[쇼난 벨마레]]전 전날에 호텔에서 한 여성과 밀회하고 있는 장면이 한 매체에 포착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결국 [[4월 8일]] 그는 구단 측에 사의를 밝히고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참고로 야나기사와는 현역 시절에도 [[필립 트루시에]] 재임기에 있었던 시드니 올림픽 예선 때 숙소를 이탈해 유명 연예인이었던 린카를 만난 전적이 있었으며 당시 J2 득점 상위랭커이자 [[콘사도레 삿포로]]의 레전드 요시하라 코타에게 올림픽 대표 포워드 자리를 뺏기기도 하였다. == 기타 == 이 선수가 [[한국]]에서 유명해진 계기는 '''희대의 개발슛''' 두 개 때문이었다. [youtube(FXAMyny7F0s)] 2003년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과의 [[A매치]] 경기에서 바로 앞에서 주워먹으라고 찔러 준 패스를 뒤로 어이없게 튕겨내는 개발슛을 날렸고, 벤치에서 그걸 지켜보던 [[지쿠]] 감독은 머리를 싸매며 안타까워했다. 이 영상은 특히 한국 [[축빠]] 사이에서 '''후지산 대폭발 슛'''이라는 이름으로 회자되며 개그 요소가 되었다. 당연히 일본에서도 이 장면을 보고 뒷목잡은 팬들이 이 상황에 대한 야나기사와의 발언을 두고 QBK(갑공와;갑자기 공이 와서)라며 깠다. [youtube(sz0K8cMAlGQ, start=195)] 2006 독일 월드컵 [[일본]] 대 [[크로아티아]]의 조별리그 2차전, 역시 이번에도 툭 건드리면 바로 골이 될 수 있었던 패스를 [[스티페 플레티코사|골키퍼]] 가랑이 사이로 날리며 이번에도 [[지쿠]] 감독의 뒷목을 잡게 했다. 이른바 [[신칸센 대탈선슛]]. 이 경기에서 야나기사와가 골을 넣지 못한 탓에 결국 일본은 크로아티아와 [[무승부]]로 끝났고, 다음 경기였던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에는 1-4로 대패하며 곧바로 짐을 쌌다. 그래도 팀에 전혀 보탬이 안 됐던 건 아니다. 1차전 호주전에서 [[나카무라 슌스케|나카무라]]의 크로스 때 [[마크 슈워처]]와 충돌하여 공을 못 잡게 했던 장본인이 바로 야나기사와이다. 그 덕분에 일본이 공짜로 한 골 넣을 수 있었으니 [[나름]] 밥값은 한 셈이다. 결국 2006 독일 월드컵이 끝나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youtube(AB1f1TaOkCU)] 2011년 8월 20일, 역습 상황에서 상대 팀의 골키퍼마저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수비수의 실책으로 따낸 공을 또다시 빈 골대 왼쪽으로 대탈선 시키는 사고를 저질렀다. 신칸센에 비하면 충분히 여유있는 상황에서 저랬으니 임팩트는 이 쪽이 더할지도 모르겠다. 이런 희대의 개발슛만 보면 도대체 어떻게 일본 축구 국가대표로 선발 되었는지 이해가 안 갈 수 있겠지만 연계 능력은 나름 뛰어나다. [youtube(v5Bz6n1gX8k)] 이 영상에서 야나기사와의 연계능력이 잘 드러난다. 코너킥 → 일본 수비 클리어링 → 야나기사와 다이빙 헤딩 패스 → 나카무라 드리블 → 다이빙 헤딩 후 넘어진 야나기사와 어느새 일어나서 전진 → 나카무라 야나기사와에게 패스 → 야나기사와 원터치 패스 → 다카하라 찬스 생성 2014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 관련 항목 == * [[신칸센 대탈선슛]] [각주] [[분류:1977년 출생]][[분류:이미즈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1996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가시마 앤틀러스/은퇴, 이적]][[분류:UC 삼프도리아/은퇴, 이적]][[분류:ACR 메시나/은퇴, 이적]][[분류:교토 상가 FC/은퇴, 이적]][[분류:베갈타 센다이/은퇴, 이적]][[분류:일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200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7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말레이시아 참가 선수]][[분류:인터넷 밈/운동선수/일본]][[분류:스트라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