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USS_Theodore_Roosevelt_DVIDS157652.jpg|width=960]] [[파일:external/3f60d26d582c2943a3a232b38e997027a9c12d021cdcd38ae3a053000e232020.jpg|width=960]] [[파일:external/1abbaa5297e7184c4a6d5c7410b24a14c227b18c2228c27b359898ba83347765.jpg|width=960]] [목차] == 개요 == [youtube(GirVOiHFvcs)] [youtube(nz4DC9n1Ll8)] '''Allison T56''' [[미국]] 앨리슨社[* James A. Allison (1872~1928)이 1904년 설립한 회사로서 초기에는 경주용 자동차 엔진을 제작하다가 제임스 앨리슨의 사후 항공기 엔진 사업으로도 진출했다. 1929년 수랭식 엔진의 개발을 시작해 V-1710이라는 12기통 명품 엔진을 개발해냈고 [[미 육군]]에 납품되어 [[P-38]]과 [[P-40]] 등의 기종에 적용된다. T56의 개발 이전에는 [[P-80]] 전투기의 J33 원심식 [[터보제트]] 엔진을 개발했었고 [[제너럴 모터스]]와 파트너쉽 관계를 지니기도 했었는데, 1995년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에 인수된다.]가 개발한 압축 14단, 터빈 4단 구성의 [[터보프롭]] 엔진이다. 1954년 [[C-130]]의 동력원으로 채택되어 생산이 시작됐는데, 앨리슨社는 1995년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에 인수되어 현재 존재하지 않기에 그냥 롤스로이스의 제품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첫 생산이래 지금껏 70개 국가에 걸쳐 약 20,000기에 달하는 엔진이 판매됐고 누적 비행시간을 합산하면 무려 2억 시간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치가 되는데, 대부분 군용 버전인 T56이 세운 기록이라고 보면 된다. 민수용 버전인 501-D 라인업도 있긴 하지만 채택한 기종들이 하나같이 시원하게 쫄딱 망하는 바람에 거의 존재감이 없다(...) 원래 1940년대 후반에 개발된 T38이라는 [[터보샤프트]] 엔진이 있었는데 복잡한 구조때문에 민수용 시장에서의 관심이 없자 이를 개선하려는 소박한 의도로 개발이 시작됐다. 1953년 [[C-130]]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출력이 모자라거나 심지어 폭발하는 등의 자잘한 문제가 발생했지만 2번의 설계변경을 거쳐 안정성을 개선하고 압축부와 온도계통을 좀 손봐서 써먹을 만한 엔진으로 만드는데 성공한다. 압축기와 터빈이 약 14,000 [[RPM]] 가량의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감속기어는 가장 효율적인 [[프로펠러]] 회전수를 전달해주고 있으며, 800 lbf의 추력이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4,000 shp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후 1954년에 [[B-17]] 폭격기의 동체 전면부에 부착시켜 테스트를 완료했고 양산형 C-130과 [[L-188]] 여객기의 [[대잠초계기]] 파생형인 [[P-3]]에 채택되기에 이른다. C-130 계열에만 대략 10,000기 이상의 T56이 장착됐는데, 1996년 발표된 최종 발전형 C-130J에는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의 AE2100이 적용되어 T56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사라지게 된다. 한편 롤스로이스는 2012년에 [[미 공군]]의 C-130H와 우방국의 P-3 계열에 탑재된 엔진을 대상으로 3.5 "Engine Enhancement Package"라는 일종의 수명연장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밝혔는데, 뭐 항상 그렇듯 연비와 신뢰성의 향상과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등의 기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미 공군의 입장에서는 [[C-141]]도 없는데다가 엄청나게 찍어댄 C-130E까지 퇴역하여 그 만큼 빵꾸나는 전술수송전력의 보완책이 반드시 필요했기에 매우 반가운 조치이긴 하나 총 사업비용으로 약 20억 달러가 발생할 예정이다(...) == 파생형 == === 501-D === || '''명칭''' || '''길이[br]{{{-3 (m)}}}''' || '''지름[br]{{{-3 (m)}}}''' || '''중량[br]{{{-3 (kg)}}}''' || '''최대추력[br]{{{-3 (shp)}}}''' || '''압축기-터빈[br]{{{-3 (LPC-HPC-HPT-LPT)}}}''' || '''압축비''' || '''적용''' || || '''501-D13A''' ||<|4> 3.71 ||<|4> 1.13 ||<|4> 820~830 || 3,750 ||<|4> 0-14-4-0 ||<|4> 9.4~9.6 || [[L-188]]A/C || || '''501-D13D''' || 3,460 || CV-580[* 컨베어社가 개발한 [[C-47]]과 비슷하게 생긴 쌍발 여객기다. 원래는 [[P&W]]의 [[R-2800]] [[왕복엔진]]을 탑재한 기체였으나 약간은 실험적인 시도로 T56을 장착했는데 의외로 반응이 괜찮아 민수용 시장에서 그나마 좀 성공한 사례에 속한다. [[B707]]이나 [[DC-8]]과 같은 제트 여객기가 도래하기 전의 어정쩡한 시기에 활동한 기체여서 그리 긴 기간동안 운용되지는 못했다.] || || '''501-D22A''' || 4,590 || [[L-100]]-20/-30 || || '''501-D22C''' || 4,370 || B-377SG/SGT[* [[B377]]의 군용 파생형인 C-97J를 개량한 기체로서 "Super Guppy"라고 불리며 [[NASA]]에서 운용했다. [[A300-600ST|벨루가]]나 [[보잉 747/특수목적용#s-2.4.1|드림리프터]]처럼 부피가 큰 화물수송을 위해 동체가 마치 [[꼽등이]]처럼 위로 엄청나게 솟아있어 [[아폴로 계획]]의 [[새턴 로켓]] 발사체를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는데, 이런 괴상한 외모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못생긴 비행기로 알려져 있다(...)] || 민수용 사양으로서 [[록히드]]의 [[L-100]], [[L-188]] 여객기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해당 기체들이 죄다 상업적으로 실패하는 바람에 거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런데 엉뚱하게도 501-K라는 [[가스터빈]] 파생형으로 개량되어 해군 함정에 널리 적용되기 시작했는데 일반 동력원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발전기]]의 역할을 하고 있다. 1970년대 초반에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발전기로 채택된 것을 시작으로 [[키드급 구축함]]과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에도 적용되었고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과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각각 3기씩 탑재되어 전기를 생산하는데, [[대한민국 해군]]에 적용되는 물량은 [[삼성테크윈]]이 [[라이센스]] 생산했다. [[해상자위대]]의 [[공고급 구축함]]에도 적용됐지만 [[아타고급 구축함]]은 롤스로이스 [[Spey]] 엔진을 개량한 SM1C 가스터빈을 발전기로 사용한다. 제트엔진을 이렇게 함정용 가스터빈으로 개량한 경우는 꽤 많은데 [[GE]]의 [[CF6]]를 개조한 LM2500이 가장 대표적이고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사례가 되겠다. 앨리슨社가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에 인수된 후 AG9140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산업용이나 플랜트의 발전용 모델은 [[지멘스]]에서도 생산하고 있다. 무려 1950년대에 기본적인 설계가 이루어진 제품인데 지금까지도 활용되는 것을 보면 그 신뢰성과 성능은 이미 충분히 입증받았다고 할 수 있다. === T56 === || '''명칭''' || '''길이[br]{{{-3 (m)}}}''' || '''지름[br]{{{-3 (m)}}}''' || '''중량[br]{{{-3 (kg)}}}''' || '''최대추력[br]{{{-3 (shp)}}}''' || '''압축기-터빈[br]{{{-3 (LPC-HPC-HPT-LPT)}}}''' || '''압축비''' || '''적용''' || || '''T56-A-1''' ||<|13> 3.69~3.71 ||<|13> 1.13~1.24 ||<|13> 830~880 || 3,250 ||<|13> 0-14-4-0 ||<|13> 9.1~12.0 || Y[[C-130]]A || || '''T56-A-4''' || 3,750 || C-131H[* CV-580의 군용 수송기 버전이다.], VC-131H || || '''T56-A-5''' || 2,100 || YH-16B[* 탠덤로터 방식을 채택한 구조헬기로 개발하려 했으나 1956년 시험비행중 추락사고로 프로젝트가 취소됐다.] || || '''T56-A-7''' || 3,750 || C-130B/E/F/G[br][[AC-130]]E[br][[EC-130]]E/G[br]HC-130E[br]KC-130F[br]LC-130F[br]MC-130E[br]WC-130B/E || || '''T56-A-8''' || 4,100 || [[C-2]]A, [[E-2]]A/B || || '''T56-A-9'''[* T56-A-1과 함께 유일하게 3엽 [[프로펠러]]에 최적화된 파생형이다.] || 3,750 || C-130A/D[br]AC-130A || || '''T56-A-10''' || 4,200 || [[P-3]]A, EP-3B || || '''T56-A-14''' ||<|4> 4,590 || P-3B/C, EP-3E || || '''T56-[[IHI]]-14''' || P-3C || || '''T56-A-15''' || C-130H/K[br]AC-130H[br]EC-130E/H/Q[br]HC-130H/N/P[br]KC-130H/R/T[br]LC-130H/R[br]MC-130H/P[br]WC-130H || || '''T56-A-16''' || AC-130U[br]MC-130H/W || || '''T56-A-425''' || 4,590 || C-2A, E-2C || || '''T56-A-427''' || 5,250 || E-2D || [[C-130]]의 동력원이 된 이후 1961년에 [[E-2]]A [[조기경보통제기]]에 적용되었고, 이른바 "Series III"라 불리는 T56-A-425 모델이 1973년 E-2C에 채택된다. E-2의 파생형인 [[C-2]] Greyhound COD (Carrier Onboard Delivery) 수송기도 비슷한 시기에 등장 및 개량과정을 거쳤고, 1980년대 후반에는 8엽 [[프로펠러]]와 함께 약 20% 가량의 힘과 10% 정도의 연비를 개선한 최종개량형 T56-A-427이 등장한다. T56-A-7은 C-130E로 대표되는 2세대 대량 양산형에 장착된 모델로서 미군 기준으로 모두 퇴역이 완료됐고, 1970년대 중반에 개발된 T56-A-15/-16 모델이 C-130H를 포함한 파생형의 엔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앞서 서술했듯이 C-130J는 엔진이 아예 새로운 모델로 교체된다. == 관련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Allison_T56|(영문 위키백과) Allison T56]] [[분류:제트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