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앤서블(Ansible)은 각종 [[사이언스 픽션|SF 소설]]에 등장하는 단어로, [[초광속]]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1966년 [[어슐러 르 귄]]의 소설 로캐넌의 세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 상세 == 인류는 전기나 전파 등 다양한 수단을 사용해 통신하고 있으나, 이 중 빛보다 빠른 전송수단은 단 하나도 없다. 지구에서야 광속으로 인한 통신 지연은 밀리초 수준이라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주세기가 열리면 이는 큰 문제로 다가오게 된다. 각종 통신정보도 일단은 전자기파(빛)이다 보니, 전달되는 데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100[[광년]] 너머의 상대에게 통신을 전하면 그게 전달되기까지 최소 100년, 답신이 오기까지 100년. 총 200년이 걸린다. 이렇게 된다면 각 집단은 중세 이전의 구대륙과 신대륙 이상으로 서로 고립된 셈이 되어 통합된 정부를 구성하기는 커녕 교류조차 제대로 하기 힘들게 된다. 가끔 이런 고립되어 발전한다는 사실 자체가 세계관의 핵심인 경우도 있긴 하며 대체로 우주개발 초기를 다룬 작품이거나 하드 SF인 경우가 많다. 만일 [[초광속]] 여행이 가능한 세계관일 경우 통신 정보는 초광속으로 이동할 수 없으나 물질로 된 우주선은 초광속 여행이 가능하므로 직접 정보를 전달해주는 '연락선'에 의지해 교류하는 모습도 나온다. 이런 경우 인근 지역 간의 통신에 수 주 정도가 걸리게 되므로 성간 국가라는 것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그 체제는 오히려 [[파발]] 제도 등에 의해 유지되며 지방 분권적인 고대 제국과 유사하게 된다.[* 다만 이런 경우는 해당 문명이 지배하는 항성계가 두~세자리수 정도일 때는 유효할지 몰라도 은하 단위의 문명에서 이를 이용해 체제 유지가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즉 항성 간의 실시간 통신이 없으면 [[스페이스 오페라]]에 자주 등장하는 중앙 집권적이고 지역간 교류가 활발한 성간 제국의 모습을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가상의 [[아티팩트]]가 바로 앤서블인데, '''공간적 거리에 관계없이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기구이다.'''[* 사실 이 '동시성'이란 것은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없다.''' 이것조차 광속 및 관측자들의 관성계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그 정도까지 엄격하게 따지면 SF 소설에서 상상의 자유도가 제한되므로 앤서블 개념을 사용하는 작품에서는 편의상 이를 무시한다. 너무 절망적이니까 허용할 수밖에 없다.] [[미국]]의 SF작가 [[어슐러 K. 르 귄]]이 [[헤인 연대기]]에서 창안한 것이 시초이다. 워낙 편리한 개념이었기에 이후 많은 SF작가들이 이 개념을 차용해 쓰기 시작했고, 지금에 와서는 이쪽 동네에서 일반명사 취급받으며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국내]]에서도 [[이영도]]가 <카이와판돔의 번역에 관하여> 및 이하 단편들에서, [[듀나]]가 [[대리전]]에서 차용했다. ~~여러모로 [[동인설정]]과 비슷한 느낌.~~ 앤서블 개념을 차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대화는 실시간으로 가능하지만 직접 그곳으로 가려면 엄청난 [[시간 지연]]을 감수해야 한다''''라는 설정은 꽤 매혹적인 것이어서, 르 귄은 헤인 시리즈 곳곳에서 이 [[설정]]에 기대어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양자 얽힘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해보자는 아이디어가 많이 나오면서 [[http://www.joysf.com/forum_sf/4812430|어쩌면 가능할지도 모르겠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이 것은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불가능하지만, 상대성 이론에 틀린 점이 있다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양자 얽힘이 거리에 무관하게 작동한다는 것은 사실이며, 이 것은 빛보다 빠른 것은 없다는(심지어 정보 전달도 빛보다 빠를 수 없다) 상대성 이론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현재의 견해는 양자 얽힘이 빛보다 빠른 건 사실이지만 문제는 양자 얽힘을 증명한 실험에서 쓴 양자 스핀은 쓸 수 없는 정보이기에 여전히 상대성 이론이 유효하다는 게 아직까지는 [[학계의 정설]]이다. 아직까지는 우주에서 빛보다 빠른 건 우주라는 시공간 자체가 팽창하는 속도 뿐이다. 그런데 저 링크에서 나온 내용은 양자스핀을 관측하는게 아니라 파동함수의 붕괴를 관측하는 것으로 만약 가능하다면 광속보다 빠르고 사용할 수도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셈이니 상대성 이론에 틀린 점이 있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 다른 창작물에서 == * [[스타워즈 시리즈]]에 나오는 범은하계 정보 [[네트워크]] '홀로넷'은 엔서블과 비슷한 원리로 추정된다. * [[스타트렉]]에 나오는 아공간 통신은 광속보다 빠르게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이다. * 미국의 SF작가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시간의 블랙홀]]>에서도 엔서블과 비슷한 설정이 나온다. 거기서는 앤서블 같은 기계가 아니라 소수의 [[쌍둥이]]들이 [[종특]]으로 [[텔레파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것이 공간을 초월한다. 즉 인간 앤서블이다. * [[Warhammer 40,000]]의 [[인류제국]]에서는 초장거리 텔레파시에 특화된 사이커인 아스트로패스들을 이용해 행성간 교신을 한다는 설정. 아스트로패스들의 텔레파시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타락을 막기 위해 [[황제(Warhammer 40,000)|황제]]의 영혼과 연결시키는 소울 바인딩(Soul Binding)이라는 처치를 받게 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부작용으로 대부분 맹인이 된다. 다만 아무래도 이것이 [[이마테리움]]을 통한 통신이다보니 40k에서 워프 항행의 경우와 비슷하게 워프 우주의 상태에 따라서 정보가 왜곡되거나 전달이 크게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간혹 발생한다고 한다. * [[자유의 날개|스타크래프트 자유의 날개]] 캠페인의 유령이 나타났다 임무 완료 후 [[짐 레이너|레이너]]와 [[가브리엘 토시|토시]]가 6광년 쯤 떨어진 거리에서 실시간 통신을 한다. * [[은하영웅전설]]의 통신도 실시간 통신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이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불명이다. 그냥 초광속통신이라고 부른다. * [[스칼렛 위저드]] 시리즈를 비롯한 일부 SF에서는 전파만을 워프시키는 통신중계위성을 사용한다. 우주의 환경이 안 좋아서 워프는 할 수 없어도 통신은 가능하다. * [[아바타 시리즈]]에서는 양자역학을 응용한 슈퍼루미널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다만 현실적 제약이 많아 시간당 3비트의 정보만 송신이 가능하며, '''1비트당 7,500달러(!)'''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소모된다. * [[마크로스 시리즈]]에서는 세계관 내의 [[워프]] 항법인 [[폴드#s-1.3|폴드]] 항법을 응용하여 [[전파]]나 [[빛]]을 보내는 통신 기술인 폴드 통신이 앤서블의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하여 [[은하]] 전체에 걸친 초광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기에 [[지구]]와 각각의 이민 [[행성]] 및 [[이민선단]] 간에는 서로 간의 거리가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빛의 속도를 넘어서서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고(반대로 직접 그곳으로 가려면, 그렇게까지 막대한 규모의 시간 지연을 감수해야 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폴드 항법을 통해서도 꽤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은하 규모의 [[방송|방송망]]이나 [[인터넷]]도 구축될 수 있었다고 한다. * [[배틀테크]]에서는 [[컴스타#s-6|초전파 송신기(Hyper Pulse Generator)]]가 앤서블의 역할을 한다. 이 기술이 없던 시절에는 초광속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초광속 우주선을 이용한 [[파발]] 제도를 운영해야 했었다는 설정이다. 또한 상기한 초전파 송신기 외에도 블랙 박스 팩스 머신라는 초광속 통신 기술이 또 있는데, 초전파 송신기에 비해선 성능의 제약이 크지만 휴대성은 보다 좋은 편이라 설정되어 있다. [[분류: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