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앤디 윌리엄스,영어명=ANDY WILLIAMS,분야=음악,입성날짜=1982년 11월 3일,위치=6667 Hollywood Blvd.)] ||<-2> '''{{{+1 앤디 윌리엄스}}}[br]Andy William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앤디 윌리엄스.webp|width=100%]]}}} || || '''본명''' ||하워드 앤드류 윌리엄스[br]Howard Andrew Williams|| ||<|2> '''출생''' ||1927년 12월 3일|| ||[[아이오와 주]] 월 레이크|| ||<|2> '''사망''' ||2012년 9월 25일 (향년 84세)|| ||[[미주리 주]] 브랜슨||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가수, 배우, 레코드 프로듀서|| || '''장르''' ||스탠다드 팝, [[이지 리스닝]]|| || '''활동''' ||1938년 ~ 2012년|| || '''링크''' ||[[http://andywilliams.com/|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대중 가수. 이지 리스닝 장르를 대표하는 가수중 한 명 이다. 1927년 12월 3일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태어나 2012년 9월 25일 향년 84세에 방광암으로 별세했다. 사망 1여년 전부터 지속된 [[방광암]] 투병으로 고생하면서 이 날 밤에 타계하였는데, 공교롭게도 [[헨리 맨시니|본인이 커버했던 그 노래 작곡가]]가 떠난지 18년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또한 크리스마스 캐롤 송에서 그 유명한 한 곡의 원곡자이기도 한다. == 활동 == 4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제들과 함께 '윌리엄스 브라더즈'로 데뷔했고 1950년대 후반부터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다만 완전히 독립한 것이 아니라 종종 4형제가 같이 공연하기도 했으며, 특히 연말에 방영되는 앤디 윌리엄스의 크리스마스 TV쇼엔 언제나 4형제가 모여 출연했다.][* 어릴 때부터 형제들과 교회에서 합창을 자주 했다고 한다. 그리고 형제들 끼리 목소리가 다들 비슷비슷하다보니 합창을 할때 마치 같은 사람 4명이 부르는 듯한 느낌이 난다.] [[오드리 헵번]]이 출연한,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에 나오는 [[Moon River]]가 그의 대표 곡이다. Moon River는 미국의 작곡가 [[헨리 맨시니]][* 우연인지 필연인지 맨시니도 윌리엄스와 같은 아이오와 주 출신이다.]가 작곡했는데, 원래 윌리엄스를 위한 곡이 아니라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의 주제가로 만들어진 곡이었다. 노래가 대히트한 후 아카데미상에 노미네이트되어 수상 발표식에서 이 곡을 부르게 된 앤디 윌리엄스가 처음으로 이 노래를 녹음했고, 그 후 Moon River는 앤디 윌리엄스의 대표곡으로 자리잡게 된다. 즉 엄밀히 말하자면 Moon River는 윌리엄스의 곡은 아니다. [[https://youtu.be/flm4xcOyiCo|앤디 윌리엄스의 Moon River 라이브 영상.]] [[장비를 정지합니다]]로 유명한 [[Free as the wind]]도 불렀다. 부드럽고 편안한 목소리로 국내에서도 인기가 좋아 여러 번 내한 공연을 하였다. 일본에서도 몇차례 콘서트 공연을 한 이력이 있고 1991년 12월 31일 당시 제42회 [[NHK 홍백가합전]]에 출전한 이력이 있다.[* 당시 홍팀 사회자는 배우 아사노 유코가 맡았고 백팀 사회자는 가수 사카이 마사아키가 맡았다.] 앤디 윌리엄스의 '''This Land is Mine(이 땅은 나의 것)'''이라는 곡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과 엮어 적절하게 패러디한 애니메이션도 있는데 퀄리티가 높다.[* 아래에 나오는 것처럼 원곡이 이스라엘 건국 스토리를 다룬 영화 [[엑소더스]]의 주제곡이므로 대놓고 노린 거다.] [youtube(8tIdCsMufIY)] == 대표곡 == * Moon River (1962) * Days of Wine and Roses (1963), 영화 [[술과 장미의 나날들]] 리메이크 * It's the Most Wonderful Time of the Year (1963)[* [[빙 크로스비]]하면 [[화이트 크리스마스]]인 것처럼, 앤디 윌리엄스의 캐롤을 대표하는 간판 캐롤이며 이 크리스마스의 노래 만큼은 진짜 원곡자이다.] * More (영화 [[몬도 카네]] 메인음악을 가사를 붙인 노래다.) * (Where Do I Begin) Love Story (1971), 영화 [[러브 스토리]](Love Story) OST * Speak Softly Love (1972), 영화 [[대부(영화)|대부]] (The Godfather) OST [[https://www.youtube.com/watch?v=PQBW6G0hSrs|노래]] * The [[엑소더스|Exodus]] Song 'This Land is Mine'[* 원곡은 한국에서 영광의 탈출로 개봉된 영화 [[엑소더스]]의 OST. [[주말의 명화]]의 오프닝 곡이다.] * Happy Heart[* 영화 쉘로우 그레이브(Shallow grave) 엔딩곡. 야구선수 [[허도환]]의 [[넥센 히어로즈]] 시절 응원가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 Love is a many splendored thing 영화 <모정> OST * Solitaire (1973)[* 1972년에 [[닐 세다카]]가 작곡하여 부른 것이 원곡이며 앤디 윌리엄스가 이듬해 불러 히트한 후, 1975년에 [[카펜터스]]가 불러서 또 다시 히트한 곡이다.]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이 영화 주제가이다. 그리고 본인 노래도 아니다. 가사가 없는 곡에 가사를 붙이거나 영화 히트 후(또는 동시)에 다시 부른 것이 대부분. 뭔가 날로 먹는 느낌이지만, 리메이크도 엄연히 노래의 한 분야이므로 폄하할 일은 아니다.[* 실제로 앤디 윌리엄스가 녹음한 크리스마스 캐롤은 그 특유의 부드럽고 편안한 톤으로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 [[분류:미국 남가수]][[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1927년 출생]][[분류:1938년 데뷔]][[분류:2012년 사망]][[분류:색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방광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웨일스계 미국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네덜란드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