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AndrewMelville.jpg]] >하나님의 어리석은 종이여(God's silly vassal), 이 말은 꼭 해야겠습니다. [[스코틀랜드]]에는 두 왕과 두 왕국이 있습니다. 하나는 [[제임스 1세|제임스 왕]]과 국가이며, 다른 하나는 [[예수|왕 그리스도 예수]]와 그 분의 교회입니다. 제임스 6세는 이 왕국의 신민으로 왕도, 귀족도, 머리도 아니며, 단지 한 사람의 구성원에 불과합니다. >---- >[[http://m.blog.daum.net/kkho1105/17881#toc|포클랜드(Falkland) 궁전에서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6세(영국 왕 제임스 1세)에게]] == 소개 == '''Andrew Melville''' [[1545년]] ~ [[1622년]]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자. 개혁주의 [[장로회]]의 뿌리이지만 한국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이다. 앤드류 멜빌은 장로회주의의 아버지(Father of Presbyterianism)로 불린다. 장로회 시스템은 [[존 녹스]](John Knox, 1513~1572년)가 만든 것이 아니다. 멜빌의 장로회신수설은 영국 왕 [[제임스 1세]]의 [[왕권신수설]]과 충돌한 것으로 유명하다.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Second Book of Discipline, 1578)로 장로회 국가 시스템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멜빌은 오늘날 [[기독교 근본주의]]의 조상격으로, 기원전 4천년에 우주가 창조되었다고 주장했다. 또 [[디아스포라|흩어진 유대인]]들이 회심해 장차 세상을 통치할 것도 믿었다. 멜빌은 [[시오니즘]] 신자였는데, 그 정도가 루터나 칼빈보다 더한 후천년설 신봉자로 현대 이스라엘 국가 건립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루터가 십계명을 강조했고, 칼빈이 사도신경을 강조했다면, 멜빌은 주기도문을 강조했다는 특징도 빼놓을 수 없다. 루터가 전천년주의적[* 천주교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25년?~1274년)도 6천년설(벧후3:8)을 믿었다. 신학대전을 보라. 루터는 1566년 예수 재림을 믿었었다. 처음에는 친유대적이었으나 훗날 반유대주의 모습도 보인다.] 무천년주의라면, 칼빈은 무천년주의적 후천년주의, 멜빌은 완전 후천년주의자인 것이다. 멜빌은 칭의와 성화가 완전 다른 것임에 매우 예민했다. 오늘날 [[정교분리]] 사회의 초석을 놓은 인물이기도 하다. == 업적 == 앤드류 멜빌은 스코틀랜드와 세계 전역의 장로회주의의 창시자이다. 많은 사람들은 [[존 녹스]]가 장로교회 교단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만, 앤드류 멜빌이 장로교회 교단을 만들었음으로 존경하는 것은 당연하다. 존 녹스는 자신을 복음 설교자로 생각했지 교회조직의 창시자는 아니었다. 앤드류 멜빌은 감독제의 모든 형태에 반대했고, [[스코틀랜드 장로회]]에 장로회주의 조직의 기초를 놓았다. 또한 앤드류 멜빌은 흔히 큰 논쟁을 야기한 가르침인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 반대하여 스코틀랜드 학계에 피터 라무스(Peter Ramus, 1515-1572)의 사상들을 소개했다.[* http://caledonianhighlander.blogspot.kr/2006_10_01_archive.html ㅡ 문단 전체 인용] [[분류:1545년 출생]][[분류:1622년 사망]][[분류:영국의 장로회 신자]][[분류:기독교 신학자]][[분류:종교 개혁가]][[분류:장로회]][[분류:스코틀랜드 출신 인물]][[분류:스코틀랜드 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