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전설의 무기, rd1=엑스칼리버)] [INCLUDE(틀:가면라이더 위자드/무기 목록)] || {{{+2 '''황휘부검 액스칼리버'''}}}[br]煌輝斧剣 アックスカリバー / Axcalibur || || [[파일:액스칼리버.png|width=100%]] || || '''턴 온!''' - 액스 모드 음성[br]'''턴 오프...''' - 칼리버 모드 음성[br]'''하이 터치!''' - 핸드 오서 터치 시[br]'''키라키라~! 키라키라~!''' - 필살기 대기음[br]'''샤이닝 스트라이크~!''' - 드래곤 샤이닝 발동음[br]'''플라즈마 샤이닝 스트라이크~!''' - 플라즈마 드래곤 샤이닝 발동음 || [목차] == 소개 ==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주역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위자드]] [[인피니티 스타일]] 전용 무장이자 [[위자드래곤]]이 무기로 변한 모습. 이름의 유래는 [[엑스칼리버]]의 말장난. 커넥트 위자드 링을 써서 꺼내오는 [[위자소드건]]과 달리, 인피니티 스타일에서 위자드래곤을 직접 소환한 다음 변화해서 사용한다. 소환시 위자드래곤이 하얀색 결정의 형상으로 날아와 액스칼리버로 변한다. 위자드래곤의 힘으로 만들어진 경이적인 파괴력을 담고 있으며, 위아래를 바꿔 들어서 도끼 형태와 검 형태 양방으로 운용할 수 있다. 다만, 액스 모드에서의 손잡이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칼날을 잡고 써야 하는 어색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액스 모로 전투하는 장면은 첫 등장 이외에는 잘 나오지 않고, 턴 온 직후 바로 필살기를 쓰는 장면만 나온다. 또한 인피니티 스타일을 가속시키는 능력도 있다. 도끼 모드에서 중앙부에 위치한 핸드 오서에 인피니티 링을 낀 손으로 '''하이 터치'''하면 '''샤이닝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뜨며 도끼를 거대화시켜 적을 두동강내는 필살기인 '''드래곤 샤이닝'''을 발동할 수 있으며, 5번 터치할 시 '''플라즈마 샤이닝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뜨며 도끼를 원격조종해 적을 난도질하는 필살기 '''플라즈마 드래곤 샤이닝'''을 발동할 수 있다.[* [[가면라이더 대전]]에서는 핸드 오서를 3번 터치해 도끼를 거대화시켜 원격조종하는 방식도 등장하였다.] 후속작인 가면라이더 가이무부터 최종 폼 전용무기가 사라져서 '''헤이세이 라이더 마지막 최종 폼 전용무기가 되었다.'''[* 위자드 이후의 헤이세이 라이더 최종 폼들은 중간 폼의 무기를 그대로 쓴다.([[화승대등 DJ 총]], [[트레일러 포]], [[선글라슬래셔]], [[가샤콘 키 슬래셔]], [[풀 보틀 버스터]], [[최강 기레이드]])] 이후 8년만에 레이와 라이더 작품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 [[인왕검 크로스 세이버]]가 오래간만에 최종폼 전용 무장으로 등장했으나, 크로스 세이버는 변신 아이템도 겸하기 때문에 액스칼리버처럼 순수 무기의 역할만 수행하는 최종 폼 전용무기는 크로스 세이버의 2년 뒤에 등장한 [[기츠 버스터 QB9]]이 액스칼리버 이후 최초다. == 국내 완구 정발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액스칼리버/국내판액스칼리버.jpg|width=100%]]}}} || 마침내 액스칼리버도 국내에서 정식 발매됐다. 명칭을 잘 보면 '''액'''스칼리버가 아니라 '''엑'''스칼리버다. 박스 뒷면을 보면, 동봉된 인피니티 링의 변신 음성이 원어대로 '''"불, 물, 바람, 땅~ 보, 자바, 뷰, 드곤~"'''으로 더빙[* 불, 물, 바람, 땅만 한국어, 보, 자바, 뷰, 드곤은 원어로 반씩 나오는 게 아니라 '''전부 다 더빙'''했다.]된 것도 모자라서 드래곤 샤이닝의 발동음이 반짝반짝이 아니라 원어 그대로 '''키라키라'''로 나온다고 돼 있다. 하지만 반다이코리아와 대원의 방침 차이[* 반다이는 일본어로 돼 있는 부분만 더빙하고, 대원은 전부 다 더빙한다.] 때문에 TV 방영분에서는 '''블링블링'''으로 나왔다. 정확히는 '''박스만 한글화 되어있고 내용물은 일판 그대로'''인 물건. 그렇지 않아도 [[위저드라이버]]도 한본어 더빙으로 비판받고 있는데, 액스칼리버마저 완전한 더빙이 아닌 원판 그대로 나온 탓에 덩달아 비판받고 있다. == 각 부위 설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액스칼리버/axecaliber01.jpg|width=100%]]}}} || || {{{-2 왼쪽 위 부터 시계방향으로 서술한다.}}} || || '''드래곤 뮤럴''' || ||[[위자드래곤]]의 두부 모양을 한 렐리프 형태의 엠블럼. 위자드래곤의 마력으로 액스칼리버 자체를 강화하여 보존할 수 있다. || || '''액스톤''' || ||칼리버 스톤과 대조되는 매직 스톤. 마력의 중계점으로 이곳을 통해 블러디 투스에 마력을 보낼 수 있다. || || '''그랩 링 킬''' || ||칼리버(검) 모드에서 그립이 되는 부분. 표면이 위자드래곤의 피부와 같은 구조로 돼 있어 위자드의 힘을 정확히 송출할 수 있다. || || '''핸드 오서''' || ||마력을 감지해 액스칼리버에 담긴 마력을 개방하는 장치. 검 형태로 운용하는 칼리버 모드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간섭하여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위자드를 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액스(도끼)모드에서는 필살기인 드래곤 샤이닝을 발동할 수 있게 해 준다. || || '''위자드 사인''' || ||위자드의 힘을 표출하는 마법의 문장. 인피니티 링과 공명하여 액스톤에 위자드와 인피니티 링의 힘을 송출한다. || || '''프로토 킬''' || ||액스(도끼) 모드 시 그립 부분이 되는 부분. 그랩 링 킬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 || '''칼리버 스톤''' || ||액스톤과 대비되는 매직 스톤. 마력의 중계점으로 이곳을 통하여 스케어리 탈론에 마력을 주입한다. || || '''스케어리 탈론''' || ||칼리버(검) 모드의 칼날이 되는 부분. 한번 휘둘러서 여러마리의 [[팬텀(가면라이더 위자드)|팬텀]]을 베어낼 정도의 예리함을 갖추고 있다. || || '''블러디 투스''' || ||액스(도끼) 모드 시 도끼날이 되는 부분. 예리함보다 위력을 중시한 육중한 도끼날은 강인한 팬텀조차 때려부술 정도의 위력을 갖고 있다. 내구력도 상당하여 위자드래곤과 위자드의 마력을 동시에 받아도 붕괴지 않으며 마력이 증가하면 할수록 위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 || '''아다만트 프리즘''' || ||마력이 결정화된 아다만트 스톤제 도신(刀身). 마력 저장고 역할을 하며 마력을 개방할 시 아다만트 스톤의 결정이 반사를 일으켜 복잡한 빛을 내뿜는다. || [[분류: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분류:가면라이더 위자드/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