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EC 하이퍼카 클래스 참가 팀)] [include(틀:IMSA GTP 클래스 참가 팀)] ||<-3> '''{{{#e12a32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BR]'''{{{#e12a32 Aciton Express Racing}}}''' || ||<-3><#fff> [[파일:axr_logo.png|width=335]] || ||<-2><#e12a32> '''{{{#FFFFFF 본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댄버 || ||<-2><#e12a32> '''{{{#FFFFFF 설립년도}}}''' || 2010년 || ||<-2><#e12a32> '''{{{#FFFFFF 파트너 스폰서}}}''' || [[https://www.whelen.com/|[[파일:ax-logo-whelen-350x125-01.png|width=30%]]]] [[모빌 1|[[파일:mobil-1-logo.jpg|width=30%]]]] || ||<-2><#e12a32> '''{{{#FFFFFF 국적}}}'''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3><#e12a32> '''{{{#FFFFFF 수뇌부}}}''' ||<#FFF> '''{{{#e12a32 수장}}}'''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밥 존슨 || ||<#FFF> '''{{{#e12a32 감독}}}'''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게리 넬슨 || ||<#FFF> '''{{{#e12a32 기술 감독}}}''' || [[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이안 왓 || ||<#e12a32> '''{{{#FFFFFF 드라이버}}}''' ||<#FFF> '''{{{#e12a32 No.31}}}'''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피포 데라니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잭 에이킨]][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톰 블롬퀴비스트]][* 미쉐린 인듀어런스 컵 경기 추가 참가] || ||<-2><#e12a32> '''{{{#FFFFFF 차량}}}''' || [[캐딜락 V-시리즈.R]] || ||<-2><#e12a32> '''{{{#FFFFFF 공식 SNS 및 웹사이트}}}'''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x_racing, 크기=25)] [[https://instagram.com/ax_racing?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axracing.com/|[[파일:axr_logo.png|width=80]]]] || ||<-3><#000000> '''{{{#FFFFFF 챔피언쉽 우승 기록}}}''' || ||<|3><#de0b00> '''{{{#FFFFFF IMSA 미쉐린[br] 내구레이스 컵}}}''' ||<#FFF> '''{{{#e12a32 프로토타입}}}''' || '''2014, 2015, 2016, 2017, 2018''' || ||<#FFF> '''{{{#e12a32 DPi}}}''' || '''2019''' || ||<#FFF> '''{{{#e12a32 GTP}}}''' || '''2023''' || ||<|3><#de0b00> '''{{{#FFFFFF IMSA 시즌 우승}}}''' ||<#FFF> '''{{{#e12a32 프로토타입}}}''' || '''2014, 2015, 2016, 2018''' || ||<#FFF> '''{{{#e12a32 DPi}}}''' || '''2021''' || ||<#FFF> '''{{{#e12a32 GTP}}}''' || '''2023''' || [목차] == 개요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q_0qxXEAECP23.jpg|width=100%]]}}}|| ||<#fff> {{{#e12a32 '''휠렌 엔지니어링 레이싱 No.31'''}}} ||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은 밥 존슨과 [[나스카 시리즈]]에서 디렉터 경력을 다진 게리 넬슨이 2010년에 세운 레이싱 팀이다. 팀의 소유주는 나스카와 IMSA 시리즈의 회장인 짐 프랑스. 2022년 IMSA DPi 클래스에 31번 캐딜락 DPi-V.R을 운용하였고 2023년부터는 칩 가나시 레이싱과 함께 [[캐딜락]]의 팩토리팀으로서 IMSA GTP 클래스에 V-시리즈.R로 출전하고 있다. == 역사 == === 2010년 === 첫 참가에서 라일리 섀시를 임대하여 [[데이토나 24시]] 우승을 이루어 내었다. === 2011년 === === 2012년 ===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 === 2016년 === === 2017년 === 이번 시즌부터는 규정이 변경됨에 따라 사용 차량을 코요테 콜벳 DP에서 [[캐딜락 DPi-V.R]]로 교체하였다. === 2018년 ===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이번 시즌부터 4개의 미쉐린 내구레이스 컵 경기에 [[핸드릭 모터스포츠]]와 협력해 Ally 캐딜락 48번 차량을 추가로 투입하기 시작했다. 드라이버 라인업은 사이몬 파제노, 마이크 로켄펠러, 코바야시 카무이, 그리고 지미 존슨이다. 로켄펠러와 카무이는 르망 24시와 데이토나 24시에서 우승한 전적이 있는 드라이버이고 파제노는 예전 [[인디카 시리즈]]와 ALMS 챔피언이어서 많은 팬들의 기대가 쏠렸다. 지미 존슨의 프로타입 경험 부족에도 불구하고 데이토나 24시에서 2등을 거머쥐었다. 또한 데이토나 24시 한정으로 31번 차량에 [[체이스 엘리엇]]이 4번째 드라이버로서 합류했다. ||[[파일:펠리페 나스르-피포 데라니 2021 DPI 우승.jpg|width=100%]]|| 그리고 최종전인 쁘띠 르망에서 WTR 10번 아큐라와 챔피언 경쟁을 한 끝에 마지막 랩에서 10번 아큐라에 탔던 리키 테일러의 도박수에도 불구하고 챔피언쉽 우승을 달성하였다. 이 시즌을 끝으로 나스르는 포르쉐 펜스키 모터스포츠로 합류하게되면서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과는 이별하게 된다. === 2022년 === 이번 시즌부터 [[펠리페 나스르]]를 대신해 마쓰다 DPi를 주행했던 트리스탄 누네즈가 새로 합류했었으나, 새로운 차량에 적응하기가 어려워 부진한 탓인지 6라운드인 디트로이트 전부터는 올리비어 플라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 누네즈는 리저브 드라이버로 내려갔다. 디펜딩 챔피언이지만 작년과는 달리 시즌 초반의 부진과 드라이버 교체 이후에도 단 한 번의 우승도 거두지 못하면서 챔피언 경쟁권을 갖지 못했다. 최종전인 쁘띠 르망에서는 31번이 2위, 48번이 3위로 완주하면서 DPi 클래스 시대를 좋게 마무리하게 되었다. 특히 48번은 2021년 데이토나 24시를 이후로 포디움에 들어가게 되었다. === 2023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dillac-V-LMDh-race-car-livery-reveal-January-2023-005.jpg|width=100%]]}}}|| ||<#fff> {{{#e12a32 '''캐딜락 V-시리즈.R 31번'''}}} || DPI 클래스가 GTP로 교체되는 2023년 시즌부터는 [[캐딜락 레이싱|칩 가나시 레이싱]]과 함께 캐딜락 팩토리 팀으로서 활약할 예정이다. 이전처럼 48번 차량을 미쉐린 내구레이스 컵 경기에 추가로 투입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적어도 [[데이토나 24시]]에는 아마도 48번 차량이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팀이 데이토나 전에 캐딜락으로부터 2번째 섀시를 받을 수 있는지도 문제이고 설사 받을 수 있다해도 새로운 차를 두대나 캠패인 할 수 있는지도 문제이다. ] 게리 넬슨이 조심스럽게 예측했던만큼 결국 데이토나 24시에서는 48번 차량은 볼 수 없게 되었다. 풀시즌 드라이버 라인업 또한 피포 데라니를 그대로 두며, 팀메이트로 [[알렉산더 심즈]]를 데려왔다. 예전에 미쉘린 인듀어런스 컵이나 데이토나 24시에 참가했던 토요타 드라이버들인 마이크 콘웨이, [[코바야시 카무이]]는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이 캐딜락 팩토리 팀이 됨으로서 드라이버 라인업에 포함될 확률이 적어졌고 결국 콘웨이와 코바야시가 2022년을 끝으로 팀과의 관계를 마무리 짓게 되면서[* 토요타 가주 레이싱이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지는 않지만 유럽에서 토요타가 칩 가나시 레이싱과 함께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에 참가함을 생각하면 캐딜락에서 허가가 떨어질 확률이 다소 적은 편. 같은 토요타 드라이버인 하틀리조차도 토요타와 만날 일은 없는 아큐라를 쓰는 [[웨인 테일러 레이싱]]의 4번째 드라이버로서 데이토나 24시에만 출전했다.] 전 F1드라이버이자, GT, ELMS LMP2 에서 큰 활약을 한 [[잭 에이킨]] (한세용)이 내구레이스 한정 드라이버였던 콘웨이의 공백을 채웠다. 새로운 캐딜락 V-시리즈.R 차량으로 맞이한 1라운드 데이토나 24시에서는 포디움권과 우승권에서 경쟁을 했었으나 도중에 데라니 차례에서 GTD 차량과의 충돌로 인해 왼쪽 후방 서스펜션에 문제가 생겨 개러지에서 25분을 소비하여 포디움 권에서 멀어졌고, 이후 다시 트랙으로 나와 최종적으로 GTP 클래스 순위 5위로 완주하였다. 2월 28일, 르망 24시 엔트리에 등록되면서 100주년 르망 24시에도 출전한다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팀 역사상 르망 24시 진출은 처음인 셈. 2라운드 [[세브링 12시]]에서 피포 데라니가 퀄리파잉에서 폴포지션을 차지하였고, 이후 난장판이었던 본경기에서 생존하면서[* 이 차량과 [[BMW M 팀 RLL]] 25번만이 순위권에 남아있었고 다른 GTP 차량들은 [[마이어 섕크 레이싱]] 60번을 제외하고 모두 리타이어했다.] 오랜만에 우승을 거두었다. 여기서 얻은 폴투윈 덕분에 챔피언십 포인트에서 WTR 아큐라 10번과 10점 차이로 리드하게 되었다. 라구나 세카에서 3위를, 그리고 왓킨스 글렌에서 2위를 기록하며 챔피언십 선두를 지켜나갔으나 캐나디안에서는 AXR 답지 않은 무기력한 페이스로 7위, 뒤이어 로드 아메리카에서는 폴포지션을 차지하였으나 웜업 세션에서의 사고로 최후미 스타트를 하였고, 결국 6위로 피니시하며 시즌 후반 페이스가 살아난 [[웨인 테일러 레이싱]] 10번에게 챔피언십 선두를 내주고 말았다. 최종 라운드 쁘띠 르망에서는 6위로 끝냈지만, 포인트 경쟁팀이 말 그대로 박살나면서 시즌 챔피언을 차지했으며, 2024년도 르망 24시 출전도 확정되었다. === 2024년 === GTP 경쟁팀이었던 마이어 섕크 레이싱의 풀시즌 드라이버였던 [[톰 블롬퀴비스트]]를 내구레이스 경기 한정 추가 드라이버로 영입하였다. == 여담 == * 수뇌부를 포함해 나스카에서의 경력이 있는 인력이 많이 있는 편이다. * 캐딜락 DPi 48번 차량의 엔트리 네임은 Ally 캐딜락 레이싱이다. 주요 스폰서로 Ally 파이낸셜의 후원을 받는 [[지미 존슨]]이 드라이버 라인업에 있는것이 크게 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투입했던 48번 DPI-V.R 차량에는 핸드릭 모터스포츠의 타이어 크루를 고용하고 있기도 했다. [[분류:모터스포츠 팀]][[분류:캐딜락]][[분류: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