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2>
{{{#White '''{{{+3 חֵץ}}}'''[br]''Hetz''}}}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Arrow_anti-ballistic_missile_launch.jpg|width=100%]] || ||<-2> {{{#White '''제원'''}}} || || '''종류''' ||탄도탄 요격 유도탄 || || '''국가''' ||이스라엘 || || '''설계''' ||התעשייה האווירית לישראל[br](Israel Aerospace Industries) || || '''설계년도''' ||1994년 || || '''제작''' ||התעשייה האווירית לישראל[br](Israel Aerospace Industries) || || '''제작년도''' ||2000년 || || '''중량''' ||1,300 kg || || '''길이''' ||6.8 m || || '''직경''' ||800 mm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의 대탄도 미사일. == 개발 == 1991년 [[걸프전]] 당시 [[이라크군]]의 [[스커드 미사일]] 공격을 계기로 [[패트리어트 미사일]]만으로는 방어가 부족해서 본격 개발에 착수되었는데, 처음 개발된 애로우-1은 패트리어트 초기형인 [[PAC-2]]처럼 적 미사일 근처까지 비행한 후 폭발, 파편을 발생시켜 간접 요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후 직격을 목표로 하지만 여전히 대형 탄두와 근접신관을 사용해 빗나가더라도 요격할 수 있도록 한 애로우-2가 개발되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 배치되기 시작하였다. 아이러니한 것은, 첫 요격 실험에 사용된 TM-91C 표적은 스커드를 모의한 애로우-1 미사일이라는 것. 이후 완전 직격 요격 방식을 사용하는 애로우-3가 개발되었다. 애로우-3는 요격고도 100km 이상의 대기권 외부에서 요격을 위한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이는 [[샤하브-3]] MRBM을 요격하기 위한 목적이다.[[http://pgtyman.tistory.com/entry/PAC3%EC%95%A0%EB%A1%9C%EC%9A%B02%EC%95%A0%EB%A1%9C%EC%9A%B03THAADSM3-%EC%8A%A4%ED%8E%99%EB%B9%84%EA%B5%90|#]] 다른 요격 미사일들과 마찬가지로 테스트에서 실패의 고배를 맛보기도 했으나,[[http://www.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9155|#]] 2015년에 블록 4.5 버전으로 요격 테스트에 성공했다.[[http://pgtyman.tistory.com/entry/%EB%AF%B8%EA%B5%AD%EC%9D%B4%EC%8A%A4%EB%9D%BC%EC%97%98-%EA%B3%B5%EB%8F%99-%EA%B0%9C%EB%B0%9C%EC%9D%98-%EC%95%A0%EB%A1%9C%EC%9A%B03-Arrow3-%EC%9A%B0%EC%A3%BC%EC%97%90%EC%84%9C-%EB%AA%A9%ED%91%9C%EB%AC%BC-%EC%9A%94%EA%B2%A9-%EC%8B%9C%ED%97%98%EC%97%90-%EC%84%B1%EA%B3%B5|#]][[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045637|#]] 이 테스트가 의미가 큰 것이, 디코이들을 발사하여 흔히 요격미사일에 탄도탄이 대응하는 회피기동과 디코이 사출하여 요격미사일이 위협체를 제대로 감지하기 힘든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한 요격 테스트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운 조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에 이스라엘과 미국에서는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며 요격성공률을 높여 나갈 것으로 보인다. 2020년대 이후 애로우-3의 후속 미사일로 애로우-4도 개발 중이다. 미국은 애로우의 개발에 공동 참여하고 있다. 미국의 다양한 요격 실험 데이터가 애로우 미사일의 개발에 적용되는 한편, 애로우의 데이터 역시 [[THAAD]]를 비롯한 미국의 요격 미사일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애로우 미사일의 해외 판매는 미국 보잉사와 협력해서 진행하고 있으며, 수출시 미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 특징 == 마하 9에 이르는 고속의 요격 성능을 갖춘 90~148km 사거리에 최대 요격 고도 50~60km를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100km 버전이 개발 중이다. 예상되는 목표물 4m 내외로 접근할 정도의 상당한 명중률을 지녔다. 접근과 더불어 150kg에 이르는 대형 탄두를 기폭, 적 미사일을 파괴하는 방식이며 수동 열추적과 능동 레이더 2개의 유도 장치를 혼용한다. [[패트리어트]]가 스커드급의 단거리 SRBM 탄도미사일을 저고도에서 요격하는 '하층(lower-tier) 방어' 단계인 반면, 애로우는 사거리 1,000km 이상의 중거리 탄도미사일이 정점을 지나 중간권에 진입한 단계에서 요격하는 '상층(upper-tier) 방어'를 위한 요격 무기다. 다시 말해서 패트리어트에 앞서 1~2차례의 사전 요격기회를 확보하고, 요격 성공률을 높인다는 개념. 이 점에서 미국의 THAAD와 비슷한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애로우-3의 경우 요격고도는 THAAD보다 낮지만 대신 사거리가 길어 각자 일장일단이 있다. == 형식 == === 애로우-1 === === 애로우-2 === === 애로우-3 === === 애로우-4 === == 도입 == 애로우 시리즈 미사일들은 [[그린파인 레이더|슈퍼 그린파인 레이더]]와 연동하여 현재 이스라엘에 위협이 되는 [[IRBM]]-[[MRBM]]-[[SRBM]]에 대한 요격을 담당하는 핵심으로 배치되고 있다. 2017년 1월, 이스라엘이 [[http://www.janes.com/article/67291/israel-adds-upper-tier-missile-defence-capability|애로우 3의 개발 완료, 실전배치 착수를 발표했다.]] 2017년 3월 17일, 팔미라를 폭격하고 귀환하던[* 팔미라는 이스라엘 입장에서 다마스커스보다도 후방에 있는 곳이지만 이스라엘군은 레바논 영공의 무단비행과 장거리 스탠드오프 무기등을 통해 결국 팔미라의 헤즈볼라 지휘관을 폭격으로 사살했다고 한다.] 이스라엘 공군기에 시리아군이 [[S-200]]을 발사하였으나, 이스라엘군이 애로우 미사일로 이를 요격하는데 성공했다(!).[[http://edition.cnn.com/2017/03/17/middleeast/israel-jets-syria-strikes/|#]] 최근 버전의 애로우 미사일은 중구경 로켓탄이나 지대공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게 개량되었다고 하며 이는 상황에 따라서는 자국 영공에서 적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나 [[BM-30]]같은 대구경 방사포 위협을 부분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독일이 애로우-3를 구매하기로 결정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405155000079?section=international/all|#]] 3개 포대를 2025년부터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라프 숄츠]] 총리가 추진하는 유럽 방공망 통합 계획, ESSI의 핵심 체계 중 하나로서 사용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의 경우도 도입 이야기가 존재하지만, 실제로 이 미사일이 도입될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 이미 [[L-SAM]]이 애로우-2와 동등한 요격 구획, 더 뛰어난 요격능력[* L-SAM은 [[THAAD]]와 [[SM-3]]에 적용된 DACS, IR 시커 등의 핵심기술을 개발해 적용하였다.]을 목표로 개발 중이며, 외기권 영역에서의 요격을 목표로 하는 애로우-3의 영역은 매우 비싸기도 하거니와 1개 포대 및 해군의 소수 [[SM-3]] 정도만으로 북한의 고각샷 위협에 대해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관계로, 최소한의 경제성을 맞추기 힘들어 국산화를 추진할 가능성도 낮다. 최근에는 아예 [[THAAD]]급 성능의 L-SAM2 개발을 시작했으므로 애로우 계열 미사일을 도입할 확률은 매우 낮다. [[분류:IAI]][[분류:지대공 미사일]][[분류:이스라엘군/미사일]][[분류:독일 연방군/미사일]]